2025년 2월5일
오늘의뉴스로
배우는세상
(2025.02.05) U.S.Market
- DOW ▲ 44,556.04 (0.3%)
- S&P500 ▲ 6,037.88 (0.7%)
- NASDAQ ▲ 19,654.02 (1.4%)
- RUSS 2K ▲ 2,290.21 (1.4%)
- PHLX 반도체 ▲ 4,976.59 (1.1%)
- 02/05 미 증시, 미 중 협상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하며 상승
- 뉴욕증시, 관세 협상 기대감에 일제히 상승…금값 사상 최고가
- 뉴욕증시, 美中 협상 기대에 3대 지수 '상승'
- 뉴욕증시 관세전쟁 유예 힘입어 상승 마감 나스닥 1.35%
- 미·중 무역전쟁 협상 여지에 동반 상승…팔란티어 24%↑
- 나스닥 1.35% 상승…미국-중국 관세 협상 돌파구 기대감
- 트럼프와 시진핑 통화 연기.
- 트럼프발 관세 전쟁 우려 일단 진정되며 상승 마감하며 트럼프-시진핑 대화에 촉각
- -투자자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의 사례를 보며 양국의 무역 갈등이 격화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
- '美·中 관세전쟁'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서두르지 않아…적절한 때 하겠다"
- 음료 회사 펩시코는 연간 순익이 월가 기대치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하며 4.51% 하락
- Palantir 주가 24% 급등
- 구글 클라우드 매출, 전망치 미달…알파벳 시간외 주가 7% 하락
- 금값, 무역 전쟁에 따른 안전 자산 수요에 최고가 경신
- 美 의회도 암호화폐 실무그룹 만든다…공화·민주, 진흥책·규제틀 논의
- 미 상원 은행위원장 "3개월 내 2개 주요 암호화폐 법안 상원 통과 예상"
- [뉴욕 코인시황/마감] 암호화폐 차르 “디지털 자산 황금기 창출” 언급에도 비트코인 9.7만달러 아래 후퇴
- 미 증시는 미-중의 관세 부과 소식에 보합권 혼조세로 출발.
- 그러나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이 오늘 중으로 트럼프와 시진핑 통화가 있을 것이라고 발표하자 상승.
- 여기에 고용지표 부진에도 경기 불안보다 달러 약세와 금리 하락, 관세 이슈에 더 주목.
- 물론, 장중 트럼프와 시진핑의 전화통화가 없을 것이라는 언론 보도로 주춤하기도 했지만 기대 심리는 지속.
- 중국 기업들의 강세가 이를 방증. 더불어 트럼프가 중국의 대 미 관세 부과는 괜찮고, 시진핑과 전화통화는 없었지만 적절한 시기에 할 것이라고 주장한 후에도 협상 기대를 반영하며 강세는 지속. (다우 +0.30%, 나스닥 +1.35%, S&P500 +0.72%, 러셀2000 +1.41%,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05%)
- *변화요인: 미-중 무역 분쟁, 고용지표 부진
- 미국의 대 중국 관세가 발효된 가운데 중국 또한 미국의 일부 품목에 대해 관세 부과를 발표.
- 이는 트럼프와 시진핑의 전화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가운데 미국 정부의 관보 개제에 따른 관세 부과와 그에 따른 중국의 대응으로 추정.
- 결국 지난 2018년 무역 분쟁 진행된 후 미-중 양국의 무역 전쟁의 시작을 알림.
- 다만, 중국이 광범위한 관세가 아닌 일부 품목에 국한시켰다는 점에서 중국의 화해적 입장을 시사.
- 그런 가운데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이 관세에 대한 미-중 통화가 오늘 진행될 예정이며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보자고 언급.
- 여기에 트럼프의 무역 조치가 성공하면 미국 경제가 소득세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서 관세 수입으로 구조적인 전환이 진행될 것이라고 주장.
- 그동안 무역 적자로 1조 달러가 매년 해외로 나가고 있다고 언급.
- 더불어 무역대표부 대표 후보인 그리어가 중국에 대한 301조 관세를 재조정할 것이라고 발표.
- 관련 소식에 경제지표 영향과 더불어 미국 달러 약세, 금리 하락, 주식시장 상승이 진행.
- 그러나 장중 일부 언론에서 트럼프와 시진핑이 오늘 전화통화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주식시장이 주춤하는 등 무역 분쟁 영향은 여전.
- 장 마감 전 트럼프는 이란에 대한 제재 각서, UN 인권이사회 탈퇴 서명 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의 보복 관세는 괜찮다고 언급.
- 시진핑과 통화는 하지 않았지만 서두르지 않고 적절한 시기에 통화할 것이라고 발표.
- 한편, 미국 구인 건수가 815.6만 건에서 760만 건으로 55.6만 건이 감소하며 고용시장의 냉각이 진행.
- 고용인원은 550만 명으로 고용률은 3.4%로 변화가 없었음.
- 전문 및 비즈니스가 22.5만 건이 감소하고 교육 및 의료 서비스가 19.4만 건, 금융 및 보험이 13.6만 건 감소.
- 산불 등으로 인한 결과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돼 금요일 발표되는 고용보고서 결과에 대한 불안 심리가 부각. 이에 달러화는 약세, 국채 금리는 하락.
- *특징 종목: 시간 외 알파벳 6% 하락. AMD 2% 하락, 브로드컴은 알파벳 효과로 5% 상승
- 엔비디아(+1.71%)는 미-중 관세 부과 소식에도 트럼프와 시진핑의 전화 통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장중 통화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주가는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 심리도 영향.
- 더불어 독일 반도체 제조업체인 인피니언(+10.37%)이 올해 매출 전망을 감소에서 약간 증가로 상향 조정한 후 독일 시장에서 급등한 점도 영향.
- TSMC(+2.13%), ARM(+4.21%), 브로드컴(+2.16%), 퀄컴(+1.64%), 마이크론(+0.82%) 등도 상승.
- 이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05% 상승.
- AMD(+4.58%)는 EPS는 예상과 부합된 가운데 매출은 상회. 그러나 데이터센터는 예상 하회. 1분기 기대 매출은 예상을 상회. 시간 외로 2% 하락. .
- 테슬라(+2.22%)는 전일 미국 켈리포니아, 유럽의 프랑스에 이어 스웨덴에서도 상당한 판매량 감소 소식이 전해진 여파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멕시코 관세 연기, 중국과의 전화통화 언급 등으로 결국 상승.
- 리비안(+3.87%), 루시드(+4.32%)의 강세가 뚜렷한 가운데 퀀텀 스케이프(+2.01%), 앨버말(+2.52%), 리튬 아메리카(+6.62%) 등 2차 전지 업종 들도 동반 상승. 중국 탄산리튬 가격 상승도 관련 종목 상승에 영향.
- GM(+1.40%), 포드(+2.73%), 스텔란티스(+4.12%) 등 완성차와 마그나 인터내셔널(+1.64%), 리어 코퍼(+2.07%), 애디언트(+3.11%) 등 자동차 부품업체도 강세
- 애플(+2.10%)은 트럼프와 시진핑의 전화 통화를 앞두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전일 하락을 뒤로하고 상승에 성공.
- 아마존(+1.95%)은 중국과의 무역 분쟁으로 중국 저가형 앱인 Shein과 Temu가 피해를 입어 아마존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에 상승 지속.
- 메타 플랫폼(+0.96%)은 스마트 안경 매출 확대에 올해 AR/VR에 200억 달러 투자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 MS(+0.35%)는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 둔화 우려가 여전히 진행되며 제한적인 등락.
- 알파벳(+2.50%)은 장 마감 후 매출 특히 클라우드 매출이 예상을 하회. 올해 자본 지출 전망이 580억 달러보다 증가한 750억 달러로 발표. 시간 외 6% 대 하락. 반면, 엔비디아는 1%, 브로드컴은 5% 상승 중.
- 알리바바(+3.79%), 핀둬둬(+8.37%), 진둥닷컴(+2.82%) 등 중국 소매 유통업종과 니오(+2.57%), 샤오펑(+8.29%), 리오토(+5.99%) 등 중국 전기차, 바이두(+5.89%) 등 기술주가 미-중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상승. 트럼프와 시진핑의 전화 통화 앞두고 있다는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여기에, 중국의 일부 보복관세가 광범위한 것이 아니라 일부 품목에 국한된 점은 중국의 화해적인 입장을 시사한 점도 영향.
- 스포티파이(+4.20%), 캐나디안 내셔널 리소스(+3.23%), 캐나디안 내셔널 레일웨이(+3.03%) 등 캐나다 기업들은 관세 연기 소식에 상승.
- 모더나(-6.51%), 화이자(-1.26%), 바이오엔텍(-2.24%) 등은 백신 회의론자인 케네디에 대한 청문회 결과가 상원 재무 위원회에서 14:13으로 통과되고 인준 투표가 진행된다는 소식에 하락.
- 비만치료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물이라는 점에서 일라이릴리(+1.93%), 바이킹 테라퓨틱스(+2.70%) 등도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지만, 국채 금리 하락과 노바티스 CEO가 비만치료제 후보물질의 기준이 매우 높아서 신규 진입보다 M&A를 통해 접근할 것이라고 주장한 점도 강세 요인. 이는 관련 산업의 진입장벽이 높다는 점을 반영.
- 머크(-9.07%)는 부진한 실적과 연간 가이던스 발표 특히 자궁경부암 백신인 가다실 매출 부진이 하락 요인으로 작용
- 펩시코(-4.51%)는 분기 매출 부진과 연간 이익도 예상을 하회한 가운데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청량 음료 등에 대한 수요 약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에 하락.
- 코카콜라(-1.07%), 큐리드 닥터 페퍼(-3.87%), 몬스터 베버리지(-1.87%) 등 음료 업체들이 동반 부진.
- 화장품 업체인 에스티로더(-16.07%)는 부진한 실적 발표와 직원 감축 발표로 하락.
- 페이팔(-13.17%)은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15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지만, 조정 실적이 예상을 하회했고 다음분기 또한 예상을 하회한 결과라는 점이 불안을 주며 큰 폭으로 하락.
- 팔란티어(+23.99%)가 견조한 실적과 향후 전망등을 발표하자 큰 폭으로 상승.
- 이에 C3AI(+8.20%), 사운드하운드AI(+10.32%)등 AI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앱시코프(+17.57%), 깅코 바이오웍스(+11.21%) 등 AI활용한 바이오텍크 기업들이 동반 상승.
- 엑손모빌(+2.68%), 셰브론(+2.60%)등 에너지 업종은 트럼프의 이란 제재 부활 언급에 국제유가가 상승하자 강세.
- 폭스(+4.80%)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연말까지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 출시 계획을 발표하자 상승.
- 루멘테크(+3.49%)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과 자본지출 등을 발표한 후 시간 외 6% 넘게 급등.
- 엔페이지 에너지(+3.66%)도 시간외 실적 발표 후 13% 급등, 스냅(+3.85%)도 9% 상승 중
- 시간외로 알파벳은 매출 특히 클라우드 관련 매출 부진과 성장률 둔화로 6% 하락.
- 그러나 자본지출을 크게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전체 매출 중 9%가 알파벳인 브로드컴이 6% 시간외로 상승 중
- 엔비디아는 5% 정도 차지하는데 1% 정도 상승 중입니다..
- 물론 아마존 등은 하락 중이고요.. AMD는 매출은 예상을 상회했지만 데이터센터 매출이 예상을 하회하자 3% 하락 중입니다.
2월 5일 시황. 관세 우려 완화, 팔란티어 실적, 고용 둔화
- 관세 우려 완화, 팔란티어 실적, 금리 하락에 상승
- 일단 관세 전쟁 우려가 완화된 점 긍정적 평가
- 캐나다, 멕시코 관세 유예. 중국과의 대화도 예정
- 미국측 관세, 중국측 맞보복 공개했으나 영향 제한
- 미중 관세 뉴스는 두 가지 측면 모두 봐야
- 경제 대국간 충돌은 글로벌 경제 전반적 부담
- 반면 실질적 조치 보다 위협적 조치라는 평가
- 전일 중국이 발표한 구글 조사. 원유 관세는 애매
- 구글은 중국에서 사실상 사업 철수한 상태
- 중국 원유 수입 중 미국 비중은 상당히 낮은 편
- 10일부터라는 시한도 사실상 협상용이라는 평가
- 블룸버그는 중국의 대응이 절제된 편이라고 분석
- 실제 부과 규모 140억달러로 미국 5,250억달러 대비 작음
- 한편 시진핑과의 통화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음
- 미국과 중국 시차 감안하면 우리 증시 장중 가능성
- 트럼프는 시진핑과의 통화 서둘지 않겠다고 언급
- 베어드, 그간 강세장 소비와 실적에 의한 것
- 이 스토리 균열 없다면 조정시 매수 판단
- 관세는 비무역 부문 양보 얻기 위한 수단
- 인프라 캐피털, 경제 관세 아닌 정치 관세로 지속성 없을 것
- Robeco Group. 관세 이슈 진정까지 신중해야
- 팔란티어 주가 강세도 기술주 상승에 긍정적 영향
- 호실적 공개 후 20% 이상 급등하며 지수에 영향
- 12월 JOLTS 구인 760만으로 예상 800만 큰 폭 하회
- 고용 둔화로 금리 금리 압박이 약해졌다는 평가
- 에버코어. 연준의 금리 압박감을 덜어주는 지표
- 10년물 금리 4.5% 초반으로 내려가며 기술주에 영향
- 시총 10위 대형주들 모두 상승
- 슈퍼 마이크로. 사업 관련 업데이트 보도에 급등
- 유가 반등 기대에 에너지주, 관세 우려 완화에 자동차 강세
- 케네디 주니어 보건 장관 임명 임박에 모더나 급락
- 마감 후 알파벳 실적 매출 예상 하회, 이익 예상 소폭 상회
- 매출 964.7억달러, EPS 2.15달러.
- 자본 지출 750억달러로 예상 580억달러 상회. 시간 외 하락
장중 움직임이 있는 종목
- 팔란티르 테크놀로지스
— 소프트웨어 회사는 예상보다 강력한 4분기 실적을 보고한 후 22% 급등했습니다 . Palantir는 이러한 수익과 매출 상승을 인공 지능 플랫폼의 성장에 기인했습니다. 이 주식은 2024년 2월 6일 30.8% 상승한 이후 최고의 하루를 보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에이엠씨
— 로스가 주식을 매도에서 중립으로 상향 조정한 후 영화관 주가가 2% 상승했습니다 . 이 회사는 AMC가 긍정적인 흥행 콘텐츠 주기에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지오그룹, 코어시빅
— 엘살바도르가 미국 범죄자와 불법 이주민을 감옥에 가두겠다고 제안한 후 민간 교도소 주식은 각각 8%와 3% 하락했습니다. 두 주식 모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후 상승했습니다. - 피비에이치(PVH), 일루미나
— Calvin Klein의 소유주이자 생명공학 기업인 이 회사의 주가는 중국이 이 회사들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에 올린 후 각각 0.8%와 6% 하락했습니다. 두 회사 모두 이제 제재 위험이 커졌습니다. - 스포티파이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첫 번째 완전한 수익성을 기록한 후 주가가 9% 급등했습니다 . Spotify는 2024 회계연도를 11억 4천만 유로의 순이익으로 마감했고 4분기 매출을 뛰어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 시리우스XM
—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약 5,400만 달러에 약 230만 주를 매수한 후 위성 라디오 주식이 0.8% 상승했습니다 . 버크셔의 소유권은 현재 SiriusXM의 약 35.4%입니다. - 화이자
— 제약 주식은 1% 이상 하락하여 이전의 상승세를 회복했습니다. 이 회사는 화요일에 기대치를 뛰어넘는 4분기 실적을 보고했습니다. Pfizer는 177억 6천만 달러의 매출에 대해 63센트의 조정된 수익을 기록했는데, 이는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했던 173억 6천만 달러에 대한 46센트를 넘어섰습니다. - 페이팔
— 디지털 결제 회사가 카드 처리에서 성장 둔화를 보고한 후 주가가 11% 폭락했습니다 . 그러나 PayPal은 4분기 실적과 매출을 뛰어넘었고, 분석가들의 추정치를 뛰어넘는 전망 안내를 발표했습니다. - 펩시코
— 펩시가 4분기 매출 미달을 보고한 후 식품 및 음료 대기업은 4.4% 하락했습니다 . 펩시는 이 미달의 원인을 북미 시장에서 5분기 연속으로 간식 및 음료 수요가 감소한 데 일부 기인했습니다. - 페라리
— 고급 자동차 제조업체는 2024년 순이익이 21% 증가했다고 보고한 후 7.5% 상승했습니다 . 페라리는 또한 2025년 순수익이 최소 5%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 머크
— 제약 대기업은 실망스러운 연간 실적 및 매출 지침을 발표한 후 10.3% 하락했습니다. Merck는 2025년 실적이 주당 $8.88에서 $9.03 사이가 될 것으로 예측했고, FactSet에서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은 주당 $9.13 정도를 예상했습니다. - 에스티 로더
— 미용 제품 회사의 회계 3분기에 대한 실망스러운 전망에 따라 주가가 16.4% 하락했습니다. Estée Lauder는 분기별 연간 매출이 10%에서 12% 사이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FactSet에서 설문 조사한 분석가들이 예상한 6.9% 감소보다 더 높습니다. - 클로록스
— 이 청소 제품 회사는 2분기 실적과 매출이 이보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6.1% 하락했습니다. Clorox는 또한 이전 예상보다 연간 실적 지침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
— 대체 자산 관리자는 엇갈린 4분기 실적을 발표한 후 2.6% 하락했습니다. Apollo의 유입은 지난 분기의 420억 달러에서 330억 달러로 감소했습니다. 반면, 회사의 주당 2.22달러 수익은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했던 1.89달러를 상회했습니다.
2025년 2월 5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설 민생지원금을 뿌린 기초 지자체 → ▷전남 영광 1인당 50만원(설 50만원, 추석50만원 예정) ▷보성 30만원 ▷나주 10만원 ▷전북 김제(50만 원) ▷정읍 ▷남원 ▷완주(각 30만 원) ▷진안(20만 원) ▷경기 광명 ▷파주 각 10만원... 자체 세수로 공무원 월급도 주기 힘든 곳이 다른 지자체가 낸 세금으로 돈을 퍼주는 건 도덕적 해이를 넘어 범죄라는 지적도...
2. 서울, 올겨울 첫 한파 경보 → 한파주의보는 몇 차례 있었지만 ‘경보’(전날보다 15도 이상 하강, 영하 15도 이상이 2일 이상, 주의보보다 더 큰 피해 예상)는 처음. 호남 서해안과 세종시를 중심으로 대설 특보가 발효. 영하 10도 강추위 다음주 초까지 계속 예보
3. 대학생 대상 ‘주거 안정 장학금’ → 본가와 다른 교통권의 원거리 소재 대학에 다니는 기초·차상위 가정 대학생. 최대 월 20만원. 다음 달 18일까지 접수, 다니는 대학에 ‘자기진술서’ 제출하면 돼. ‘원거리’ 기준은 편도 2시간 이상 사실상 통학이 불가능한 거리
4. 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범사업 성과 저조 → 전국 확대에 앞서 지난해 12월 27일부터 9개 시군에서 시범 사업을 진행 중. 시범사업 발급률 1%도 안 돼. 귀찮다, 불편하다 외 장년층 이상에겐 ‘모바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도 한 이유. 3.28일부터 전국 발행 확대
5. 이러니 일본 여행가지... → 서울, 아시아에서 가장 물가 비싼 도시. 서울의 물가지수는 80.6(뉴욕 100 기준)으로 아시아 톱. 홍콩(75.9), 싱가포르(70.8), 도쿄(61.0) 등 보다 크게 높아. 19개 신선·기호식품, 서울이 도쿄보다 평균 23.9% 비싸. 통계 사이트 넘베오
6. 이것이 ‘트럼프식’ 협상 방식? → 캐나다, 멕시코에 25% 관세폭탄 발효 불과 몇 시간 전 한달 간 전격 유예. 加·멕, 마약 단속·국경 관리 협조 합의. 철회가 아닌 ‘유예’여서 불씨는 여전
7. 연말, 설 보너스 받아 대출금 갚았나? → 10개월 만에 줄어든 가계대출 규모. 5대 시중은행의 지난 1월 가계대출 잔액은 733조 6588억원. 이는 지난달에 비해 4762억원 감소한 수치. 마이너스 통장 등 신용대출 잔액 감소(1조 5950억)가 주요인으로 분석
8. 학령인구는 감소하는데 사교육비는 3년간 40.1% 늘어 → 2023년 사교육비 총액은 27조원으로 2020년 19조원에서 40.1% 늘어(2023년. 통계청). 이 기간 학령인구는 14.5% 감소... 재수·삼수하더라도 상위권 대학, 의대 가자는 풍조... ▼
9. 설연휴 응급실 내원환자 32% 감소... 응급실 혼란 없었다 → 국민들이 가벼운 증상인 경우에 응급실 이용을 자제한 덕분...
10. ‘골백번’은 몇 번? → 순 우리말 숫자 단위는 하나(1), 열(10), 온(100), 즈믄(1,000), 골(10,000), 잘(억), 울(조)... 따라서 골백번은 10,000 x 100이니 ‘백만’이 된다
GOOGL | Alphabet Q4 FY24 실적 요약
- 주요 실적
• 주당순이익(EPS): $2.15 (예상: $2.13) 🟢
• 매출: $96.47B (예상: $96.62B) 🔴
•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30.97B (예상: $30.72B) 🟢
• 2025년 예상 자본 지출(Capex): 약 $75B (예상: $57.9B) 🔴 (전년 대비 대폭 증가) - 부문별 매출 성과
• Google Cloud: $11.96B (예상: $12.19B) 🔴 전년 대비 +30% 증가
• Google 광고(Advertising): $72.46B (예상: $71.73B) 🟢
• Google 검색 & 기타(Search & Other): $54.03B
• YouTube 광고(YouTube Ads): $10.47B (예상: $10.22B) 🟢
• Google 네트워크(Google Network): $7.95B 🔴 (전년 대비 감소)
• Google 서비스(Google Services): $84.09B (예상: $83.46B) 🟢
• 구독, 플랫폼 & 기기(Google Subscriptions, Platforms & Devices): $11.63B 전년 대비 +8% 증가
• 기타 사업(Other Bets): $400M (예상: $573M) 🔴 - 핵심 재무 지표
• 트래픽 획득 비용(TAC): $14.85B (예상: $15.01B) 🟢
• 총 운영비(Operating Expenses): $30.97B
• 자유현금흐름(Free Cash Flow): $26.01B 전년 대비 +20% 증가 - 전략 및 가이던스
• 2025년 Capex 약 $75B 투자 계획 (AI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강화 목적)
• CEO Sundar Pichai가 AI 혁신 강조:
• Gemini 모델, Google Cloud AI, AI 기반 검색 개선
• Cloud & YouTube, 2024년 연간 매출 실행(run rate) $110B 돌파
• 검색, 클라우드, YouTube 수익화에서 AI 기반 수요 지속 증가 - 배당금 발표
• Alphabet 최초의 배당금: 주당 $0.20 지급 - CEO Sundar Pichai 코멘트
“AI 리더십과 핵심 비즈니스의 모멘텀으로 강력한 4분기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AI 개발 속도를 높이고,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며, Cloud & YouTube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우리의 투자가 성장 기회를 가속화할 것입니다.”
간밤에 발표된 암호화폐 관련 주요 소식
- 🔥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시작
↳ SEC Crypto 이메일 생성(Crypto@sec.gov)
- 🔥 디지털 자산 기자 회견에서 나온 내용
- 태스크포스, 디지털 자산과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연방 규제 체제를 제안할 목적
- 스테이블코인 법안은 USD를 세계 기축 통화 지배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할 것(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채권의 최대 구매자 중 하나)
-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 우리는 디지털 자산의 황금기를 만들 것
↳ "우리는 비트코인 준비금을 평가하고 있으며 관리자가 가장 먼저 살펴볼 것 중 하나 국부펀드의 개념은 별개다."
↳ NFT는 유가증권이 아니라 수집품
- 스캇: "우리는 100일 이내에 법안이 상원을 통과하기를 원함
- 🔥 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책임자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 토큰 발행자에 대한 "소급 구제" 가능성 공개
↳ "태스크 포스는 또한 발행 기관 또는 책임을 질 의향이 있는 다른 기관이 특정 특정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며, 사기 혐의 사건이 발생할 경우 위원회의 관할권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기로 동의하는 코인 또는 토큰 제공에 대해 일시적, 전향적, 소급 구제를 제공하기 위해 위원회 조치를 권고할 가능성에 대해 고려하고 있습니다."
2/5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 Bloomberg
2/5 개장전꼭 알아야할 5가지Bloomberg 1) 통화 변동성의 시기. 다음은 EU?다음 타겟은 유럽이 될 것이라는 전망에 유로화도 이제 통화 변동성에 노출되기 시작.옵션 시장에서는 내달 유로화가
moneymaker1000.com
2/5(수) 국내
● 세계
· "자세히 보면 협상 해보자는 것"…中 보복조치에 담긴 메시지
· 관세 지렛대로 한 ‘충격과 압박’ 협상 전술 통했나 트럼프發 관세 전쟁
· 속보 멕시코 관세 유예한 트럼프, 캐나다 총리 통화도 "매우 좋았다"
● 정치
· 김문수 "대선 출마 검토한 바 없어…지지율 상승은 답답함 때문인 듯"
· “노상원, HID 요원들에 ‘원격 폭탄조끼’ 입혀 폭사시켜라 지시”
· '노상원 단골' 무속인 "배신자 색출 점괘 봤다"…野 "비화폰도 지급" 경호처 "확인 못해줘"
● 경제
· "진짜 잘나가네"…'K뷰티 성지' 올리브영, 美에 매장 낸다
· 연금계좌서 해외ETF 배당받으면 ‘이중과세’…세법 개편에 ‘우왕좌왕’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실탄 충격 딛고 中 반응 주시…반등 출발
● IT, 과학
· 갤럭시 S25 시리즈 국내 사전판매, S시리즈 중 최다
· '오픈AI' 샘 올트먼 방한...삼성·SK·카카오 전방위 협업
· 정부 “올해 AI 핵심 인프라 GPU 1만5000개 확보”
● 사회
·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송철호-황운하 2심 무죄… 1심 뒤집혀
· 윤 대통령 "선관위 군 투입, 내가 김용현에 지시"
· 헌재, 김봉식 전 청장 증인 채택…한덕수·이경민은 보류
mstr 전환사채가 인기인 이유
마이크로스트래티지전환사채가 인기인 이유 비트코인에 절대로 투자할 것 같지 않은 보수적인 기관 투자자들도 ‘채권화된 비트코인’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
moneymaker1000.com
2/5(수) 주요 언론
(조선)
- 1면 : ‘선거법 위반’ 이재명, 위헌 심판 신청
- 1면 : 올트먼·이재용·손정의 ‘AI 3국 동맹’
- 1면 : 이진우 “대통령은 체포 지시도 국회 의결 저지 지시도 없었다”
- 1면 : ‘펜타닐과 전쟁’ 꺼낸 트럼프, 중국엔 유예 없이 관세 때렸다
- 사설 ① : 中에 ‘셰셰’만큼 낯 뜨거운 트럼프 노벨상 추천
- 사설 ② : ‘울산 선거 공작’ 2심 무죄, 숱한 유죄 증거에 눈감았나
- 사설 ③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전격 회동, ‘한미일 AI 동맹’ 추진을
(중앙)
- 1면 : 12·3 계엄선포 그날 밤, 尹∙홍장원 '10시53분 전화'의 진실
- 1면 : 관세 서로 때렸다, 트럼프·시진핑 리턴매치
- 1면 : 이재용 무죄 다음날, 올트먼·손정의와 ‘AI 회동’
- 사설 ① : 윤 대통령, 국군통수권자답게 계엄 진상 밝혀야
- 사설 ② : 중국은 AI 굴기, 한국은 AI 인재 유출에 의대 광풍까지
(동아)
- 1면 : 尹 “선관위에 軍투입… 내가 김용현에 얘기”
- 1면 : 의정 갈등속 ‘병원 초과사망’ 6개월간 3136명
- 1면 : 트럼프 ‘中에 10% 추가 관세’ 강행… 손내민 캐나다-멕시코엔 “30일 유예”
- 1면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한미일 AI 동맹’ 손잡았다
- 1면 : 한강도 얼어붙었다… 오늘도 한파 최저 영하17도
- 사설 ① : 尹 면전서 나온 “싹 다 정리해” 증언… 거듭 확인된 “의원 끌어내”
- 사설 ② : “尹 신문·방송사 단전단수 지시”… 언론 봉쇄 계획 전모 밝혀야
- 사설 ③ : 의료 공백 초기 반년간 제때 치료 못 받아 숨진 환자 3136명
(경향)
- 1면 : 윤석열 “내가 선관위 군 투입 지시했다”
- 1면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3자 회동’…한·미·일 ‘AI 동맹’ 시동
- 1면 : 트럼프, 캐·멕 ‘관세폭탄’ 일단 멈춤…대중국 추가 관세는 예정대로 발효
- 1면 : 국내 최초로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맺은 카카오···“공동 제품 개발”
- 사설 ① : 윤석열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이게 나치가 벌인 짓이다
- 사설 ② : 일반 시민까지 ‘좌표’ 찍는 극우 공격 엄단해야
- 사설 ③ : 고객 예금으로 사익 추구한 은행, 이런 곳에 돈 맡길 수 있나
(한겨레)
- 1면 : 트럼프표 ‘스타게이트’ 잰걸음…올트먼, 서울서 최태원·이재용 만나
- 1면 : 과기부 장관 “GPU 2027년까지 3만장 확보”
- 사설 ① : 김성훈 경호차장의 내란 공모 의혹 전모 밝혀야
- 사설 ② : ‘현란한 협상술’ 보인 트럼프, 거국적 대응 체제 갖춰야
- 사설 ③ : 속속 드러난 ‘윤석열 거짓말’,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
(한국일보)
- 1면 : 홍장원 "尹, 싹 잡아들여 말해" 尹 "계엄 무관, 간첩 수사 얘기"
- 1면 : 미중 2차 무역 전쟁 발발… 미국 ‘10% 추가 관세’ 발효에 중국도 맞불
- 1면 : 尹 앞에 오니 입 무거워진 군 지휘관들 "형사재판 때문에…"
- 1면 : 이재용·최태원·정신아·김창한...'오픈AI' 올트먼, 서울서 반나절 만에 다 만났다
- 1면 : 송철호·황운하 무죄 이유는 "증언 신빙성 떨어지고 직접 증거 없어"
- 사설 ① : 올트먼·손정의와 3자 회동한 이재용, 한국 AI 도약 발판으로
- 사설 ② : 결국 재판 지연 꼼수 꺼낸 이재명, 이건 아니다
- 사설 ③ : 예측 불허 트럼프 '관세전쟁', 결국 중요한 건 소통
※ 2/5(수) 키워드 : 윤석열·탄핵·5차변론·궤변 / AI·이재용·올트먼·손정의·카카오·스타게이트 / 트럼프·관세전쟁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10.gif)
mstr 전환사채가 인기인 이유
마이크로스트래티지전환사채가 인기인 이유 비트코인에 절대로 투자할 것 같지 않은 보수적인 기관 투자자들도 ‘채권화된 비트코인’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
moneymaker1000.com
mstr가 세금을 내지 않는 이유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수십억 달러의 세금을 내지 않는 이유This is a fantastic thread on CAMT and FASB Accounting for “Digital Assets”. Well worth a read for understanding $MSTR implications: 1/ 결론
moneymaker1000.com
디지털 금융 기술 분야에서 미국 리더십 강화 행정 명령
디지털 금융 기술 분야에서 미국 리더십 강화 행정 명령 2025년 1월 23일 번역) 미국 헌법과 법률에 따라 대통령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경제적 자유를 보호하는 동시에 디지털
moneymaker1000.com
'뉴스로 배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7일 (0) | 2025.02.06 |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6일 (0) | 2025.02.06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4일 (0) | 2025.02.03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3일 (0) | 2025.02.02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2일 (0) | 2025.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