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30일
오늘의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8.30) U.S. Market
- DOW ▼ 41,091.42 (-0.4%)
- S&P500 ▼ 5,592.18 (-0.6%)
- NASDAQ ▼ 17,556.03 (-1.1%)
- RUSS 2K ▼ 2,190.11 (-0.6%)
- PHLX 반도체 ▼ 5,059.56 (-1.8%)
- 08/30 나스닥, 견고한 경제지표에 상승 후 엔비디아 여파로 장 후반 하락 전환
- 뉴욕증시, 혼조...다우 ‘또’ 사상 최고
- ‘실적 실망’ 엔비디아 정규장에서도 6.38% 급락
- 뉴욕증시, 엔비디아에 휘둘린 투심…혼조 마감
- 긍정적인 경제지표로 상승세를 보이던 미증시는 막판 엔비디아의 하락 폭 확대로 혼조세 마감했습니다
- 뉴욕증시, PCE 물가 지표 주목하며 혼조 마감…다우 신고가
- 엔비디아 하락에도 美 GDP 호재가 투심 떠받쳐…다우 최고가
- GDP 호조에도 엔비디아에 흔들린 뉴욕증시 ‘혼조’…나스닥 0.23%↓
- 다우, 사상최고치 기록했지만 엔비디아 하락으로 3대 지수 혼조 마감
- "기대가 너무 높았다." 라는 말로밖에 설명되지 않는 엔비디아의 실적 후 주가 하락이 계속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 하락에 나스닥 소폭 하락…다우는 최고치
- ‘시장 높은 기대에’ 美 엔비디아 주가 6.3% 털썩…시총 다시 3위
- 엔비디아 6% 급락에도 반도체지수는 0.60% 하락에 그쳐
-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 엔비디아 높은 기대치에 못 미치는 실적에 6% 이상 빠져
- 애플, 결국 오픈AI 주주되나…1000억 달러 가치에 투자검토
- 엔비디아도 오픈AI에 투자한다…MS · 애플 등 앞다퉈 돈보따리 푼다
- 투자사 '시장수익률 상회' 등급 부여, 테슬라 0.26%↑
- 델, 분기 실적 발표…기대했던 비트코인 매수는 없었다
- S&P500은 엔비디아의 실적 후 하락세에도 투자심리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상승세를 보였는데요. 여기에는 애플과 세일즈포스의 선전이 숨어 있습니다. 애플은 인공지능 기능이 포함될 아이폰16의 부품을 추가 주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세일즈포스는 예상보다 강력한 실적으로 기술주에 대한 투자심리를 살려냈습니다
- 이번주 주말 카말라 해리스의 단독 TV 인터뷰부터 다음달 첫 대선토론까지 이제 대선 불확실성이 본격적으로 시작
- 해리스, 오늘 첫 TV 인터뷰…트럼프와 4%p 격차
- 케네디 사퇴 효과?…“해리스, 7대 경합주서 트럼프와 접전”
- [뉴욕 코인시황/마감] 반등 시도 무산되며 소폭 후퇴 ... 비트코인 $61K 돌파 후 $60K 아래 하락 | 블록미디어
- 다음주 월요일 미국은 노동절 휴장입니다/ 연휴를 앞둔 월말 마지막 거래입니다
- 미 증시는 엔비디아(-6.38%)가 실적 발표 후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2분기 GDP 성장률이 상향 조정되는 등 견고함을 보이자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하며 상승 출발.
- 더불어 AI 산업의 확장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에 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였고, 여기에 애플(+1.46%) 등 개별 이슈에 강세를 보인 종목군의 영향도 이어져 상승 지속.
- 그러나 차익 실현 욕구와 엔비디아의 낙폭이 확대되자 지수는 상승을 축소하거나 하락 전환(다우 +0.59%, 나스닥 -0.23%, S&P500 -0.00%, 러셀2000 +0.66%,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60%)
- 미국증시는 생성형 인공지능(AI) 랠리를 이끌고 있는 엔비디아의 실적을 앞둔 시장 참가자들은 보수적인 태세를 유지하며 하락 마감
- 미 달러화 강해져,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보다 0.57% 오른 101.12 기록
- 제조업체인 슈퍼마이크로 컴퓨터(SMCI)는 회계조작 혐의를 입은 상황에서 회사가 연차 보고서 제출을 미루며 19.02% 급락
- 엔비디아의 실적을 앞둔 부담감에 투자심리 제한적, 엔비디아 -6.38% 하락
- *변화 요인: 경기에 대한 자신감 Vs. 차익 실현 욕구
- 미국 2분기 GDP 성장률이 잠정치 2.8%에서 3.0%로 상향 조정.
- 개인 소비지출이 2.3%에서 2.9%로 크게 상향된 데 힘입은 것으로 추정.
- 총 국내 소득 (GDI)은 순이자 지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직원 보상이 4.9% 증가한데 힘입어 +1.3%로 집계돼 경기에 대한 우려는 약화. 양호한 성장률을 바탕으로 8월 초 시장에 영향을 줬던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 이에 달러 강세, 국채 금리 상승, 주식시장 상승이 진행
- 그렇지만, 초과저축이 마이너스로 전환돼 향후 소비 증가 기대가 크지 않다는 점은 부담.
- 이런 가운데 달러 제너럴(-32.15%)이 실적 발표 후 EPS 전망을 크게 하향 조정하며 큰 폭 하락. 달러 제너럴은 저소득층 소비자에게 매력적인데 이들은 인플레이션이나 기타 경제 침체로 인한 고통을 더 일찍 또는 더 심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음.
- 그런데 올해 특히 3,4분기에 더욱 위축될 것이라고 전망해 향후 경기에 대한 우려는 여전. 주식 시장 강세가 확대되지 못한 요인 중 하나
- 한편, 엔비디아(-6.38%)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예상보다는 양호했지만, 기대했던 만큼의 실적이 아니라는 점에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
- 더 나아가 성장률의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했으며 마진율이 하향 된 점도 부담.
- 그럼에도 AI 산업의 확대가 지속될 수 있다는 기대는 확대. 이에 엔비디아의 주가는 하락했지만, 전반적인 반도체와 대형 기술주, AI 관련 종목군의 강세가 뚜렷.
- 그렇지만, 그동안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욕구는 여전하기에 관련 종목군의 변동성이 확대되며 장 마감 앞두고 지수 상승분을 반납.
- 달러와 금리 등의 변화는 제한된 가운데 주식시장의 변동성만 확대됐기에 장 후반 상승 반납은 차익 실현 욕구 확대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목 변동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
- 특징 종목: 엔비디아 하락 Vs. 애플, 테슬라 상승
- 엔비디아(-6.38%)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에도 더 높아진 눈높이를 일부 충족하지 못한 여파로 하락.
- 더불어 매출 성장률의 성장 둔화와 마진율 둔화가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요인.
- 그렇지만, AI 산업의 확산은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 브로드컴(-0.79%), AMD(-0.59%), 마이크론(+0.75%), 인텔(+2.65%), TSMC(-0.03%), ASML(-0.05%),
- 특히 AI PC에 대한 기대로 ARM(+5.27%) 등 대부분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상승하기도 했음.
- 그렇지만 장 마감 앞두고 엔비디아 매물이 확대되자 상승 반납하거나 하락 전환하며 결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60% 하락.
- 애플(+1.46%)은 시티가 AI 관련 최고의 주식으로 선정한 데 힘입어 강세. 알파벳(-0.67%)은 애플이 OpenAI에 대한 투자 참여를 논의 중이라는 소식에 매물 출회.
- AI 관련 경쟁 심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 MS(+0.61%)는 엔비디아 실적 발표 후 AI 산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데 힘입어 상승.
- 마벨테크(+2.05%)는 데이터센터 매출이 예상 하회했지만 전체 매출 등은 예상을 상회하고 가이던스도 예상을 상회하자 시간외로 4% 상승, 델(-0.74%)은 예상을 상회한 결과로 시간외 6% 상승
- 테슬라(+0.26%)는 윌리엄 블레어가 에너지 저장사업이 과소평가 되어 있고 자동차 등 하드웨어로 인한 에너지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며 매수로 분석을 시작하자 상승 후 반납.
- 세일즈포스(-0.73%)는 양호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다 매물 소화하며 하락 전환.
- 그러나 AI 관련한 기대가 확대되자 서비스나우(+2.11%), 인튜이트(+0.93%), 오라클(+1.12%), 어도비(+1.62%) 등 소프트웨어 업종의 강세가 뚜렷.
- 사이버 보안회사인 크라우드스트라이크(+2.82%)는 양호한 실적과 함께 지난 7월 보안 이슈로 크게 하락한 점이 벨류에이션 개선을 야기했다는 소식에 상승. 팔로알토(+2.22%), 센티넬원(+0.70%), 지스케일러(+1.69%) 등도 동반 상승.
- 베스트바이(+14.11%)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데 힘입어 급등.
- 반면, 달러 제너럴(-32.15%)은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전망을 큰 폭 하향 조정하자 급락. 이는 높은 물가로 인한 핵심 고객(저소득층)의 압박에 의한 결과로 추정.
- 이에 타겟(-2.19%), 달러트리(-10.26%)도 동반 하락. 어펌홀딩스(+31.92%)는 기대 매출이 예상을 크게 상회한 가운데 영업이익 마진을 감안 4분기에 흑자전환이 예상된다는 소식에 급등.
- 메리어트(+1.78%)는 번스타인이 동종 업종과의 가치 평가 격차가 벌어졌다며 매수로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강세.
8월 30일 시황
- 엔비디아만 빼고 오른 미 증시
- 엔비디아 실적 불구 증시는 양호한 지표에 선전
- 다우지수는 사상 최고치 경신
- 엔비디아 -6% 하락에 나스닥, S&P500 약보합
- S&P500 지수는 주춤하나 상승 종목이 75% 정도
- 양호한 경제 지표는 지수 방어 요인으로 작용
- 신규실업수당은 23.1만. 예상 23.2만과 비슷
- 지난주 23.3만 보다는 약간 감소해 고용 우려 완화
- 2분기 GDP 잠정치 3.0%. 속보치 대비 0.2%p 상승
- 소비지출이 1분기 1.5% 보다 늘어난 2.9%
- 소비 둔화, 경기 침체 조짐은 아직 없다고 봐야
- 특히 소비 증가 불구 인플레 진정되는 점 주목
- LPL Financial, 연착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분석
- 엔비디아는 -6.4% 하락했으나 실적 자체는 긍정 평가
- US뱅크, AI 비관론 언급하기 너무 일러. 여전히 초기
- 엔비디아에 대한 증권가 분석 대부분 긍정적
- UBS, 제품 구매, 공급에 대한 자신감 확인, 150달러
- 바클레이즈, 내년까지 강한 성장 이어져. 145달러
- 미즈호, 성장성 재확인. 132달러 → 140달러 상향
- 레이먼드제임스, 블랙웰 지연 우려만큼 장기화 아니야
- 기존 제품 수요로 상쇄. 120달러 → 140달러 상향
- BoA. AI 투자 이제 시작 단계. 150달러 → 165달러
- UBS, 기술주 8월 같은 빠른 반등 보다 점진적 회복 전망
- 지표, 중국 반도체 통제 등 변동성 요인은 증가
- AI 비중 낮은 투자자들 변동성 보며 점차 늘릴 필요
- 씨티, 애플은 내년 AI 탑픽. CFO 교체 혼란 없을 것
- 신제품 수요 좋을 것, 목표주가 225달러
- 오픈AI 투자 검토 소식 겹치며 상승
- 엔비디아 제외한 반도체주 대부분 상승
- 최근 일본 투자자들은 해외 주식, 채권 기록적 매수
- 달러 약세에 대거 매수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고
- 엔 캐리 자금 이탈 이슈와 다른 내용이라 주목
엔비디아 6% 급락 이유
- 엔비디아의 지난 분기 실적과 이번 분기 전망이 모두 시장의 예상을 상회했지만 주가는 6% 이상 급락했다.
- 표를 보면 그 이유가 명쾌하게 이해된다.
- 엔비디아는 그동안 수백%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었다. 지난해 3분기에는 205.5%, 4분기에는 265.3%, 올해 1분기에는 262.1% 각각 급증했다.
- 그런데 올해 2분기에는 122% 증가로 성장률이 뚝 떨어졌다. 올해 3분기에는 80.7%, 4분기에는 63.8%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 지난해 연초 월가에서 인공지능(AI) 열풍이 불기 시작하자 수백%씩 급증했던 매출이 지난 분기에 100%대로 내려왔고, 이번 분기부터는 100% 미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 엔비디아의 급격한 매출 성장세는 이제 끝났다는 얘기다.
- 투자자들은 이에 실망, 지난 분기 실적과 이번 분기 전망이 시장의 예상을 모두 상회했음에도 주식을 내던진 것으로 보인다.
장중 움직임이 있는 종목
- 달러 제너럴
– 할인 소매업체의 주가는 회사가 연간 매출 및 이익 지침을 대폭 삭감 한 후 약 32% 폭락했습니다 . Dollar General의 CEO인 Todd Vasos는 매출 추세가 약해진 것은 부분적으로 ”재정적으로 제약을 받는다”고 느끼는 핵심 고객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소매업체는 또한 회계연도 2분기에 실망스러운 실적을 보고했습니다. 경쟁업체 Dollar Tree 의 주가
공감도는 10% 이상 떨어졌다. - Affirm
주가는 회계연도 1분기 예상보다 높은 수익 전망에 따라 지금 매수, 나중에 지불로 약 32% 급등했습니다. Affirm은 이 기간의 매출이 6억 4,000만 달러에서 6억 7,000만 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LSEG가 조사한 분석가들이 예상한 6억 2,500만 달러를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 베스트바이
– 주가가 약 14% 상승했습니다. Best Buy는 회계연도 수익 전망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 회사는 이제 주당 $6.10~6.35의 조정된 수익 범위를 예상합니다. 이는 주당 $5.75~6.20의 이전 범위보다 높습니다. 회계 연도 2분기 실적 도 예상보다 좋았습니다. - 뉴타닉스
–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의 회계연도 4분기 수익과 매출이 돌파한 후 주가가 20% 이상 급등했습니다. Nuatanix는 5억 4,800만 달러의 매출에 주당 27센트의 조정 수익을 올렸습니다. LSEG에 따르면 분석가들은 5억 3,700만 달러의 매출에 주당 20센트의 수익을 예상했습니다. - 옥타
– 보안 ID 클라우드 플랫폼의 주가는 17% 이상 폭락했습니다. StreetAccount에 따르면 Okta의 청구액은 6억 5,100만 달러로 분석가들의 합의 추정치인 6억 7,900만 달러보다 낮았습니다. Bank of America는 Okta의 재무 결과를 바탕으로 주식을 매수에서 언더퍼폼으로 두 배로 다운그레이드했습니다. - 버켄슈톡
– 샌들 회사는 16% 이상 하락했습니다. Birkenstock은 연간 매출 지침을 재확인하며 약 19%의 성장을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회계연도 3분기 조정된 수익은 월가의 기대치보다 낮았습니다. - 퓨어 스토리지
– 데이터 저장 회사의 주가는 15.8% 폭락했습니다. Pure Storage는 분석가들의 추정치를 밑도는 3분기 영업 이익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기간 동안 Pure Storage는 영업 이익이 1억 4,00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FactSet에서 조사한 분석가들은 1억 4,810만 달러를 추정했습니다. - 엔비디아
– 칩 대기업이 회계연도 2분기 에 대한 월가의 기대치를 뛰어넘었음에도 주가는 6% 이상 하락했습니다 . 엔비디아는 300억 4천만 달러의 매출에 주당 68센트의 조정된 수익을 보고했습니다. LSEG가 조사한 분석가들은 287억 달러의 매출에 주당 64센트를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AI의 귀재의 3분기 매출 예측은 투자자들의 높은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 비바 시스템
–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는 회계연도 2분기 실적과 매출이 월가의 기대치를 뛰어넘은 후 약 9% 상승했습니다. Veeva는 매출 6억 7,620만 달러에 주당 1.62달러의 조정된 수익을 보고했습니다. FactSet에 따르면 분석가들은 매출 6억 6,780만 달러에 주당 1.53달러를 예상했습니다.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 사이버 보안 회사가 최근 분기에 예상보다 강력한 수익과 매출을 기록한 후 주가가 3%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 그러나 Crowdstrike은 지난달의 전 세계적 정전에 따라 연간 전망을 낮추었습니다. - 주식회사 HP
– HP의 주가는 2% 상승했습니다. LSEG에 따르면 회계연도 3분기 매출은 135.2억 달러로 예상보다 양호했으며, 합의 추정치인 133.8억 달러를 상회했습니다. 주당 83센트의 조정된 순이익은 분석가들이 주당 86센트를 예상했기 때문에 목표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 빅토리아 시크릿
– 란제리 회사의 주가는 3.7% 하락했습니다. 회사는 연간 전망을 높였지만, 순매출은 여전히 전년 대비 1% 감소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전 예측에서는 ” 낮은 단일 자릿수 ” 감소를 예측했고,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은 2.8% 하락을 예상했습니다.
8/30(금) 국내
● 세계
· 텔레그램 CEO, 앱 이용 범죄 공모 혐의로 기소…佛 출국 금지
· 英 “유럽과 관계 재설정… 러 맞서 獨과 군사협력”
· 美 2분기 경제성장률 3.0%로 상향…소비자 지출 증가 견인(종합)
● 정치
· 김 여사 특혜 조사 논란에 “검사 때 전직 영부인 자택 방문” 반박윤 대통령 국정브리핑
· 이재명 "민생정치 고삐 더 바짝 죌 것"…금투세 공개토론도 추진
· 이재명 "대통령 자존심보다 귀한 게 국민의 삶" 뉴시스Pic
● 경제
· 한화오션, 국내 조선사 최초 미 해군 MRO 사업 수주
· 밥캣 자회사 편입 기대…로보틱스 주가 4.8% 쑥
· '대출 보릿고개' 우려에…금감원, 대출 실수요자·전문가 만난다
● IT, 과학
· “위험한 사전규제 대신, 공정거래법 개정 등 기존 선택지 재조명해야”
· "동해 탐사가치 충분…'유전 잭팟' 가이아나와 지질특성 유사"
· LGU+ 직원, 기능올림픽 ‘클라우드’ 감독 맡아
● 사회
· 예초기·벌 쏘임 사고는 절반 이상이 8~9월에 발생
· "국회 간호법 통과 영향"…병원 62곳 중 59곳 파업 철회
· 23명 사망 ‘아리셀 화재’ 대표 구속, 중대재해법 첫 사례
엔비디아 목표주가
- Morgan Stanley: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144에서 $150로 상향 조정, '비중 확대' 등급 유지.
- Truist: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145에서 $148로 상향 조정, '매수' 등급 유지.
- Bernstein: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130에서 $155로 상향 조정, '시장 수익률 상회' 등급 유지.
- BNP Paribas Exane: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145에서 $150로 상향 조정, '시장 수익률 상회' 등급 유지.
- Mizuho: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132에서 $140로 상향 조정, '시장 수익률 상회' 등급 유지.
- Raymond James: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120에서 $140로 상향 조정, '강력 매수' 등급 유지.
- Needham 엔비디아에 대해 '매수' 등급 유지.
- BofA : 매우 합리적인 밸류에이션으로 독보적인 성장, 분기별 잡음 무시 - 목표주가 $165
- Jefferies : 호퍼 수요 강함, Blackwell Rearview 지연 - 목표주가 $ 150
- Piper : 목표주가 $140
- Cantor : Beat, Raise, No 4Q 에어 포켓, CY25 성장 "상당히 중요" 목표주가 $175 매수
[8/30(금) 주요 언론
(조선)
- 1면 : 李 수사검사 탄핵, 전원 일치로 기각
- 1면 : “딥페이크 공급망을 무너뜨려라” AI 리더 1500명 서명
- 1면 : 조희연도... 직선제 서울교육감 4명 모두 유죄 ‘16년 잔혹사’
- 1면 : 尹 “국민연금 지급, 법률에 명문화”
- 사설 ① : ‘이재명 방탄용’ 억지 탄핵안들, 지금이라도 철회해야
- 사설 ② : ‘선거 보은’ 조희연 교육감직 상실, 깜깜이 직선제는 이제 그만
- 사설 ③ : 현대차가 시작한 ‘주가 밸류업’ 대기업 전반으로 확산하길
(중앙)
- 1면 : “연금 지급 법으로 보장…4대 개혁은 소명”
- 1면 : 이정섭 검사 탄핵안 헌재 전원일치 기각
- 사설 ① : 대통령의 상황 인식, 민심과는 거리 멀다
- 사설 ② : 진보 성향 헌법재판관마저 전원 기각한 검사 탄핵
(동아)
- 1면 : 尹 “의대증원 마무리됐다” 쐐기
- 1면 : 中3이 ‘딥페이크 성착취물’ 177건 만들어 돈벌이
- 1면 : “기밀 유출 정보사 해체 수준의 재편”
- 1면 : 조희연 교육감직 상실… ‘해직교사 특채’ 유죄 확정
- 사설 ① : 딥페이크 처벌, 어린 전과자 양산 막으려면 교육 병행해야
- 사설 ② : 아직 아쉽지만, 대통령 회견은 더 자주 하는 게 좋다
- 사설 ③ : 4+1개혁, 곧 임기반환점인데 여태 다짐만 넘쳐선 안 된다
(경향)
- 1면 : ‘해직 교사 특혜 채용’ 조희연 유죄 확정…서울시교육감직 상실
- 1면 : “정부의 미흡한 기후 대응, 기본권 침해” 헌재, 탄소중립법에 “헌법불합치”
- 1면 : 윤 대통령, 채 상병 특검법 일축 “수사 외압 실체 없는 것 드러나”
- 1면 : “국민연금, 국가가 지급보장 명문화” 의대 증원엔 “마무리돼” 못 박아
- 1면 : 윤 대통령 “국민연금 세대 간 보험료 인상 속도 차등화”
- 사설 ① : ‘기후 위기 국가 책임’ 인정한 헌재, 기념비적 출발점 삼아야
- 사설 ② : ‘뉴라이트·채 상병’ 궤변 연발한 윤 대통령, 국민이 바보인가
- 사설 ③ : 소득보장보다 지속가능으로 기운 윤석열표 연금개혁
(한겨레)
- 1면 : 윤 “개혁은 필연적으로 저항 불러”…의대 증원·인사 논란 무시
- 1면 : 헌재 “장기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 없는 법, 헌법에 어긋나”
- 1면 :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직 상실…‘해직교사 복직’ 유죄 확정
- 사설 ① : 국민은 불안한데 ‘의료현장 문제없다’고만 하면 되나
- 사설 ② : ‘미래세대’ 권리에 호응한 ‘기후소송’ 헌재 판결
- 사설 ③ : ‘국민 눈높이’와 동떨어진 인식 드러낸 윤 대통령 회견
(한국일보)
- 1면 : 尹, 연금개혁은 '돌파' 협치는 '외면'... "의대 증원 변함 없다"
- 1면 : 헌재, 정부 온실가스 감축 목표 '헌법불합치' 결정… 아시아 첫 판단
- 1면 : '공수처 1호 사건' 조희연 유죄 확정… 임기 2년 남기고 퇴직
- 1면 : '딥페이크'에 칼 빼든 이원석 총장 "영리 목적 제작, 원칙적 구속수사"
- 사설 ① : 아시아 최초 기후소송 승소···정부 무겁게 받아들이라
- 사설 ② : 국민과 동떨어진 대통령 인식 재확인한 국정브리핑
- 사설 ③ : 응급실 아우성 커졌는데 의료 현장 문제 없다니...
※ 8/30(금) 키워드 : 검사·탄핵·기각 / 尹대통령·국정브리핑·궤변 / 조희연·교육감직·상실

아르헨티나, 암호화폐로 경제 변혁 시도
경제 불안의 상징으로 오랫동안 여겨졌던 이 나라는 이제 암호화폐를 통해 경제 변혁의 시험대로 떠오르고 있다 ▶ ▶ ▶ 영문 기사 보러가기 From Chaos to Crypto: The Crecimiento Movement Igni
moneymaker1000.com
마이크로스트래지티(MSTR)가 워런 버핏을 이겼다.
세일러가 버핏을 이겼다…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 구매후 1천% 상승–투자 수익 54억달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첫 비트코인 구매 이후 주가가 1000% 올랐습니다. 워런 버
moneymaker1000.com
국민연금·KIC 2분기 미국주식 매수종목, 비트코인까지
한국 큰손인 국민연금·KIC 2분기 매수 종목을 알아봅니다. 한국 자본시장의 두축인 국민연금과 한국투자공사(KIC) 투자 행보를 보겠습니다. 국민연금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17일 국민
moneymaker1000.com
'뉴스로 배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901 (4) | 2024.09.01 |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831 (4) | 2024.08.31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829 (8) | 2024.08.29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828 (9) | 2024.08.28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827 (3) | 2024.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