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28일
오늘의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9.28) U.S. Market
- DOW ▲ 42,313.00 (0.3%)
- S&P500 ▼ 5,738.17 (-0.1%)
- NASDAQ ▼ 18,119.59 (-0.4%)
- RUSS 2K ▲ 2,224.71 (0.7%)
- PHLX 반도체 ▼ 5,217.23 (-1.8%)
- 09/30 미 증시, 엔비디아 부진에도 연준 정책 기대에 힘입어 혼조 마감
- 美 8월 PCE 물가 2.2% 상승…3년 6개월 만에 최저, 물가 안정에 추가 빅컷 기대감도
- 미국의 금리인하와 중국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자산시장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 미 증시는 올해 42번째의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중국 증시는 홍콩 항셍지수가 무려 1998년 이후 최대 주간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 뉴욕증시, '8월 PCE' 발표 후 혼조세 마감…다우는 최고치 경신
- PCE 둔화에 다우 0.33% 상승, 또 사상 최고
- 다우 사상최고치 또 경신…채권수익으로 금융주 선호
- 美 엔비디아 2.1% 하락 마감…시총 다시 3조 달러 아래로
- 다우지수 사상 최고 경신…반도체주 하락에 나스닥 지수는 하락
- 예상보다 빠른 美 인플레 하락, 연속 빅컷 기대 강화…내주 고용 지표가 관건
- ETF 시장 1년3개월새 60% 폭풍성장… '첫 160조 시대' 열렸다
- MSTR 주가 수익률 2배 추적 레버리지 ETF, 출시 일주일 만에 $7200만 유치
- [뉴욕 코인시황/마감] 소폭 상승 후 숨고르기 … 비트코인, 긍정적 美PCE 데이터로 한때 66K 돌파
- 트리뉴스 X 계정에 따르면 자오창펑 바이낸스 전 최고경영자(CEO)가 출소했다.
- 전 세계 주식 시가총액 123조 달러 돌파 '사상 최대'
- 퀄컴 이어 이번에는 ARM이 인텔 인수 시도
- 스페이스X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 가입자 400만명 넘어
- "애플 MR 헤드셋 비전프로2 내년 하반기 양산…M5 칩 장착"
- 미 증시는 물가 하락으로 인한 연준 정책 기대에 힘입어 상승 출발.
- 그러나 엔비디아(-2.13%)가 여러 악재성 재료로 낙폭을 확대하자 나스닥 등은 하락 전환하는 등 종목 장세가 진행.
- 물론, 연준의 금리인하 기조에 대한 기대는 중소형 종목군 등의 강세로 이어져 지수는 제한적인 등락에 그친 점 또한 특징.
- 이후 개별 종목/업종 차별화가 진행되는 종목 장세가 진행. 결국 미 증시는 반도체 업종의 부진에도 연준 정책에 대한 기대가 유입되며 혼조 마감(다우 +0.33%, 나스닥 -0.39%, S&P500 -0.13%, 러셀2000 +0.67%,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76%)
-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을 높일 만한 인플레이션 데이터들이 발표되면서 다우존스가 상승. 미국 8월 개인소비지출 가격 지수는 0.1% 상승해 기대치에 부합.
- PCE는 전년대비 2.2% 상승으로 예측치보다 약간 낮았음.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나스닥은 하락함.
- - 뉴욕 채권은 미국 국채가격이 동반 상승. 8월 미국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가 예상보다 둔화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 금리 인하 기조가 순조로울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음.
- - 뉴욕 유가는 반등. 사우디아라비아가 산유량을 12월부터 늘리기로 했다는 소식에 전날 급락했던 유가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소폭 반등.
- - 뉴욕 금 가격은 7거래일만에 반락. 미국의 인플레이션 둔화세를 재확인한 주요 물가지표에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국채금리가 하락했으나 금 가격을 지지하지는 못함.
- 변화 요인: 물가하락, 엔화 급등, 엔비디아
- 8월 개인 소득은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0.2% 증가해 지난달 발표된 0.3%를 하회.
- 개인 소비 지출도 0.2% 증가에 그쳐 지난달 발표된 0.5%를 하회해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짐.
- 한편, PE 가격 지수는 전월 대비 0.15%에서 0,09%로 둔화되고 전년 대비로도 2.45%에서 2.24%로 하락.
- 근원 PCE 가격지수는 0.16%에서 0.13%로 하락하고 전년 대비 2.65%에서 2.68%로 상승.
- 대체로 물가의 하락이 지속된 가운데 소비 지출도 둔화돼 이제는 물가 보다는 경기, 고용 등의 중요성이 더욱 확대 됐다고 볼 수 있음.
- 이에 달러 약세, 금리 하락이 진행. 주식시장은 이를 소화후 개별 종목에 따라 변화한 종목 장세가 지속.
- 한편, 엔화가 달러 대비 2% 가까이 급등 했는데 이는 재정정책 확대를 주장해 왔던 다카이치 사나에가 아닌 과도한 재정정책 확대를 반대하고 있는 이시바 시게루가 총리로 당선 됐기 때문으로 추정.
- 결국 이시바로 인해 채권 발행 급증이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 금융정책 정상화 노선 지속(금리인상) 등을 반영하며 엔화의 급등이 진행 됐다고 볼 수 있음.
- 더불어 이시바의 당선으로 BOJ의 연말 금리인상 가능성이 확대와 금융소득 과세 추진이 진행 될 것으로 예상돼 니케이 선물은 5% 가까이 급락한 점도 특징
- 이런 가운데 엔비디아(-2.13%)의 하락이 확대되며 여타 개별 종목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나스닥 등에 부담.
- 엔비디아는 매출의 8%를 차지하는 슈퍼마이크로컴퓨터(+4.31%)와 관련된 논란에 하락이 지속된 가운데 불랙웰 GB200 출시가 늦어 질 것이라는 소식에 하락이 확대.
- 더불어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H20 칩 구매를 자제 하라고 발표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 결국 슈퍼마이크로 컴퓨터로 인한 불안과 엔화 강세에 따른 심리 위축의 영향. 여기에 제품 수요 부진 우려가 부각되며 하락. 이에 여타 반도체 업종도 동반 하락하며 지수에 부담.
- 특징 종목: 엔비디아, 일본 기업 하락 Vs, 테슬라, 중국 기업 강세
- 엔비디아(-2.13%)는 중국 정부가 H20 구매를 자제하라고 발표했다는 소식에 하락. 더불어 일부 품목 출시 지연 가능성도 부담.
- 이에 브로드컴(-3.03%), AMD(-1.87%), TSMC(-4.74%), ASML(-1.28%), ARM(-2.40%), AMAT(-2.24%), 마이크론(-2.17%)등 여타 반도체 업종도 동반 하락.
- 슈퍼마이크로컴퓨터(+4.31%)는 전일 정부의 회계 조사 소식으로 급락한 뒤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 이는 공식적인 조사라기 보다는 회계 부정을 고발했던 내부 고발자에 대한 검찰의 면담에 그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76% 하락.
- 테슬라(+2.45%)는 시장이 기대하고 있는 3분기 판매량 데이터 발표를 앞두고 상승. 더불어 10/10일 로보택시 관련 행사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아진 가운데 중국 정부의 공격적인 부양책이 전기차 산업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 등에 강세.
- 테슬라의 상승은 리비안(+3.85%), 루시드(+1.41%)등 여타 전기차 업종에도 긍정적인 영향.
- 더불어 중국 전기차 업종도 경기 부양 정책에 기대 상승이 지속. 특히 니오(+12.80%)는 저가형 L60 SUV 출시를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 급등. 샤오펑(+9.00%), 리 오토(+1.62%)등도 강세.
- 노보노디스크(-2.85%)는 JP모건이 체중감량 약물 판매가 예상보다 느릴 수 있어 11월 6일 실적 발표에서 약간 실망할 수 있다고 발표하자 하락.
- 이에 일라이릴리(-3.47%)도 동반 하락.
- 중동 리스크와 중국 부양책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자 엑손모빌(+2.68%), 셰브론(+2.46%)등 에너지 업종이 부진.
- HP(-3.91%)는 BOA가 PC 사업의 강세에도 프린터 부문의 부진으로 실적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자 하락.
- 카지노 업체인 윈 리조트(+7.24%)는 모건스탠리가 중국 부양책을 이유로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하자 급등. 라스베가스샌즈(+5.62%), MGM(+3.42%)등도 동반 상승.
- 핀둬둬(+4.62%), 알리바바(+2.15%), 진둥닷컴(+5.03%), 바이두(+2.54%), 트립닷컴(+8.19%)등 중국 기업들은 중국 경기 부양정책을 반영하며 상승세가 지속.
- 반면, 도요타(-3.45%), 혼다(-4.14%), 미스비시 UFJ(-2.52%), 미즈호 파이낸셜(-2.69%), 스미토모 미츠이 파이낸셜(-3.14%)등 일본 기업들은 금리인상과 자본이득세를 추진하는 이시바 시게루가 당선되자 급락.
9월 28일 시황
- 중국발 재료 엇갈리며 혼조
- 업종별 엇갈리며 다우 상승, 나스닥 하락
- 에너지, 유틸리티, 금융 등은 상승
- 반면 기술주 매물 나오며 나스닥은 밀림
- 미국 지표, 중국 부양, 일본 총리 등이 변수가 된 하루
- 이 날 나온 물가, 소비 심리 지표는 예상보다 좋았음
- 인플레 완화. 경기 연착륙 기대 이어지는 모습
- 8월 PCE 전년 대비 2.2%. 예상 2.3%, 전월 2.5% 하회
- 전월은 0.1%로 역시 0.2%였던 예상 하회
- 근원은 2.7%, 0.1%. 예상은 2.7%, 0.2%였음
- 개인 소득은 전월 대비 0.2%로 예상 0.4% 하회
- 소비 지출은 0.2%로 예상치인 0.3% 보다 낮았음
- 인플레 진정, 소비는 양호함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
- 추가 인하할 이유를 확인했다는 분석
- 이트레이드, 성장 약간 둔하지만 절벽 느낌 없어
- Federated Hermes. 파월의 발언이 맞았다는 확인
- 인플레 하락, 소비 강세, 탄력적인 노동 시장
- 크리스 자카렐리, 연준이 고용에 집중할 환경 가능
- 침체 없는 인하는 주식, 채권 모두에 유리
-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70.1. 예비치 69 상회
- 최근 나오는 주요 지표들은 대체로 양호한 편
- 3분기 GDP NOW는 3.1%까지 상승
- 기술주 약세는 중국, 일본에서 나온 재료 영향
- 중국 당국이 기업들에 엔비디아 칩 구매 말라고
- 대신 자국내 AI칩 업체들 것으로 대체하라 했다고
- 미국 제재 대비 및 자국 기업들 점유 확대 위한 조치
- 참고로 중국 매출 비중은 지난 분기 기준 12%
- 보도 나오며 엔비디아 -2% 등 반도체주 약세.
- 다만 규정 수준이 아닌 지침 정도로 알려짐
- 엔달러 환율이 하락한 점도 기술주에 영향
- 점진적 금리인상, 과도한 재정 확대 반대하는 인물
- 경쟁자 다카이치 쪽으로 베팅했던 환시장 변동성
- 엔달러 환율 밀리면서 주요 기술주에 일부 영향 준 듯
- 알베르토 무살렘 St 연은 총재, 점진적인 금리인하 선호
- 다만 경제, 노동 시장 악화시 빠른 인하로 가야
- 오펜하이머, 대선까지 단기 변동성 지속될 가능성
- 브리스톨 마이어스, 조현병 치료제 허가 소식에 강세
- 중국 증시 상승에 관련주들도 강세
- 슈퍼 마이크로, 새로운 고성능 서버 출시 보도에 반등
- 유가 반등, 중국 부양에 주요 에너지주 상승
- 리조트 등 여행 레저 종목들도 강세

블랙락 비트코인 보고서,BlackRock bitcoin
블랙락 현 시점에서의 의미가 막대하여 전문 번역해서 올려봅니다. Bitcoin: A Unique Diversifier Why bitcoin's appeal to investors lies in its detachment from traditional risk and return drivers -BlackRock 서문 비트코인은 15
moneymaker1000.com
마이크로스트래지티(MSTR)가 워런 버핏을 이겼다.
세일러가 버핏을 이겼다…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 구매후 1천% 상승–투자 수익 54억달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첫 비트코인 구매 이후 주가가 1000% 올랐습니다. 워런 버
moneymaker1000.com
국민연금·KIC 2분기 미국주식 매수종목, 비트코인까지
한국 큰손인 국민연금·KIC 2분기 매수 종목을 알아봅니다. 한국 자본시장의 두축인 국민연금과 한국투자공사(KIC) 투자 행보를 보겠습니다. 국민연금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17일 국민
moneymaker1000.com
'뉴스로 배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930 (12) | 2024.09.30 |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929 (12) | 2024.09.29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927 (18) | 2024.09.27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926 (12) | 2024.09.26 |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925 (13) | 2024.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