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로 배우는 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7월11일

by 머니 메이커(MoneyMaker) 2025. 7. 11.
반응형
2025년7월11일
오늘의뉴스로
배우는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7월11일

(2025.07.11) U.S. Market 

 

  • DOW ▲ 44,650.64 (+0.4%)
  • S&P500 ▲ 6,280.46 (+0.3%)
  • NASDAQ ▲ 20,630.66 (+0.1%)
  • RUSS 2K ▲ 2,263.94 (+0.5%)
  • PHLX 반도체 ▲ 5,708.28 (+0.7%)

 

S&P·나스닥 나란히 사상 최고치 경신

 

경기에 대한 자신감 속 중소형 종목 중심으로 강세 지속,- 빅테크가 포함된 기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 제외 전 섹터 상승

 

 

  • 07/11 미 증시, 경기에 대한 자신감 속 중소형 종목 중심으로 강세 지속
  • [뉴욕증시 마감]…S&P·나스닥 나란히 사상 최고치 경신
  • S&P 500, 나스닥 신고가 경신하며 3대 지수 + 러셀 2000 상승.
  • 오늘은 트럼프가 관세 관련 발언이 없었음. 그덕인지 시장은 빅테크가 상대적 약세를 보이는 와중에도 꾸역꾸역 상승. 트럼프 어제 장마감 후 수입 구리 50% 관세 부과 8/1 시행, 브라질에 대한 50% 관세 발표했으나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음. 시장이 이제 관세에 대해 둔감하게 반응하는 것 같음
  • 인플레이션 우려에 상승하던 미 국채 금리는 견고한 30년물 국채 경매 수요에 상승폭 반납하며 강보합. 달러지수 강보합. 금, 비트코인 상승,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경신, 국제 유가 하락
  • 일론 머스크의 xAI 최신 그록 4 발표. 다음주 부터 테슬라 $TSLA 차량에 탑재된다고 함. 빅테크가 전반적으로 보합권 등락한 가운데 테슬라만 4.73% 상승
  • 미국내 유일한 희토류 광산을 보유한 MP 머티리얼즈 $MP 미 국방부가 $400M 지분 매입을 밝히며 최대 주주로 올라서며 50% 급등
  • 누텔라 제조사 이태리의 페레로 콘플레이크 제소사 켈로그 $KLG $3.1B에 인수 합의. 30% 급등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재차 7월 금리 인하 주장. 메리 데일리 샌프란 연은 총재 올해 두 번 금리 인하 예상
  • 브라질 룰라 대통령: 우선 협상을 시도하겠지만 잘 안되면 우리도 50% 관세 부과
  • 뉴욕증시, 관세 약발 떨어져가는 트럼프…동반 강세 마감
  • 트럼프 하루만에 또 금리인하 압박…"엔비디아·비트코인 최고가"
  • "관세가 뭐죠?" 엔비디아 종가 4조$ 돌파, 뉴욕증시 최고치 
  • 뉴욕증시 테슬라 돌연 급등 머스크 "로보택시 자율차 중대 발표" 
  • 월러 美연준이사 7월 금리인하 입장 재확인…"정치적인 것 아냐"
  • KULR, 비트코인 1,021개 보유…총액 1억 100만 달러 돌파,2025년 누적 수익률 291% 달성
  • 비트코인, 사상 처음으로 11만6000달러 돌파-비트코인 가격이 116,000달러를 돌파하면서 투자자들이 미국 달러의 미래, 적자 지출, 미국 경제에 대해 기대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 [BTC $116,000 상회]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6,328.9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반응형

 

  • 미 증시는 트럼프의 브라질과 구리 등에 대한 관세율 50% 부과 발표에 소폭 하락 출발.
  • 그러나 경기에 대한 자신감에 기대 반등에 성공.
  • 이후 소프트웨어 중심의 기술주가 부진한 가운데 금융과 제약 등이 견조한 모습을 보이는 업종 순환매가 진행.
  • 이에 나스닥은 제한적인 등락을 보였지만, 다우가 견고함을 보였으며 최근 중소형종목 지수인 러셀2000지수의 강세가 뚜렷한 점도 특징.
  • 금리가 연준위원들의 발언 등으로 하락한 점도 장 후반 상승 지속 요인(다우 +0.43%, 나스닥 +0.09%, S&P500 +0.27%, 러셀2000 +0.48%,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0.75%)

 

  • 미국 증시는 목요일 상승 마감하였으며 나스닥과 S&P500지수는 마감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 
  • 델타항공의 실적 호조 전망에 따라 항공사 주가가 강세를 보였으며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도 불구하고 강한 모습을 보임.

  • 델타항공의 3분기 및 연간 전망은 월가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동사의 주가는 10% 이상 상승함. 
  • 유나이티드 에어라인과 아메리칸 에어라인 등 항공사 주식이 동반 강세를 보였으며 다우존스 운송지수는 2월말 이후 최고치를 기록함.

  • 시장은 여전히 관세관련 협상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지만 점차 불확실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관세 관련 이슈에도 미국 경제가 견조한 모습을 보임에 따라 위험선호 심리가 강화되는 것으로 해석됨
  • 엔비디아 주가는 추가 상승했으며 테슬라는 로보택시 서비스 확대 소식에 따라 4.7% 상승함.
  • 비트코인 가격은 재차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함.

 

시총 상위 종목 주가 변동

 

변화 요인: 여행과 경기, 업종 순환매

 

  • 미국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3.3만 건에서 22.7만 건으로 4주 연속 감소하며 7주내 최저치를 기록.
  • 미국 고용시장이 높은 금리와 관세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에도 비교적 견실한 모습을 보인 점이 특징.
  • 다만, 연속신청건수가 196.5만 건을 기록하며 2021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며 고용 둔화 우려도 여전히 진행.
  • 그러나 시장은 긍정적인 이슈에 더 민감한 최근 시장의 특징을 반영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이유로 국채 금리는 상승하고 주식시장은 상승하는 힘을 보임

  • 한편, 델타항공(+11.99%)이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기록하고 급등. 
  • 특히 미국의 7월 4일 연휴 기간 동안 여행 수요가 크게 증가한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음. 
  • 실제 TSA(미국 교통안전청)에 따르면, 7월 1일부터 7일까지 총 1,850만 명이 항공편을 이용했으며, 이는 사상 최고 수준의 이용자 수에 해당함. 
  • 특히 국제선 운임이 전년 대비 13% 가량 낮아지며 해외여행 수요가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 또한 AAA(미국자동차협회)는 같은 연휴 기간 동안 총 7,220만 명이 50마일 이상 장거리 여행을 했다고 발표. 
  • 이처럼 연휴 기간 동안의 여행 수요 증가는 선택적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기 심리가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됨. 
  • 이에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유입되며 미 증시가 견고

  • 이런 가운데 소프트웨어 업종이 특별한 악재 없이 하락. 
  • 최근 시장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는 업종 순환매 흐름의로 해석됨. 
  • 이는 투자자들이 AI, 클라우드 중심의 기술주에서 그동안 부진했던 경기 민감주(에너지, 산업, 금융, 소재 등)로 자금을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줌. 
  • 이는 특정 기업의 펀더멘털보다는 자금 흐름 중심의 기술적 조정 성격이 강한 것으로 판단. 
  • 한편, 반도체 업종은 TSMC(-0.90%의 6월 월간 매출이 전년 대비 큰 폭 증가하며 호조를 보였으나 제한적인 등락. 
  • 이는 이미 AI 반도체 수혜가 상당 부분 주가에 선반영되어 있었고, 업종 전반적으로 과도한 랠리에 대한 경계심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됨. 
  • 즉, 기술주는 여전히 구조적 성장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부담과 자산 다변화 수요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 
  • 이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제한적인 등락을 보인 반면, 다우지수와 러셀2000지수의 강세가 뚜렷

 

미국 증시

 

 

7월 11일 시황. 실적, 금리인하 기대, 엔비디아 시총 4조달러

 

  • 일부 업종 실적 기대감, 추가 금리인하 기대에 상승
  • 나스닥과 S&P500은 사상 최고치 경신
  • 특히 금융, 항공, 테슬라 큰 폭 오르며 주도
  • 다음주 실적 발표 앞두고 금융주 기대감 부각
  • 로이터, 거래 활성화, 증시 상승에 은행주들 실적 긍정적
  •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금융주 상승
  • 델타 호실적에 항공주 대부분 10% 전후 상승 
  • 항공주 실적은 경기 우려가 과도했다는 점 입증
  • 신규실업수당 22.7만으로 예상 23.5만 하회한 점도
  • 최근 불거진 고용 불안 및 이에 따른 침체 우려 완화

 

  • 테슬라는 로보택시 서비스 지역 확대 보도에 강세
  • 캘리포니아, 애리노나로 확대한다는 소식
  • 샌프란시스코 등 당국 승인 대기 중인 것도 공개
  • 연준 인사들의 금리인하 발언도 이어지며 긍정적 영향
  • 크리스토퍼 월러, 현재 너무 긴축적. 7월에 인하해야
  • 메리 데일리. 금리 조정 검토할 때. 가을에 인하 고려
  • 기업들이 관세 비용 일부 흡수해 가격 영향 아직 제한적
  • 관세 관련 소식인 일단 소강 상태

 

  • 유럽 연합, 인도, 캐나다 등은 아직 미공개
  • 투자자들이 미리 움직일 상황은 아니라는 평가
  • 엔비디아는 AI주 관심 이어지며 상승. 시총 4조달러 돌파
  • 잰슨 황이 백악관 방문하고 이 후 중국도 간다는 보도
  • 제레미 시겔.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 대응은 AI가 필요 
  • 야후. 엔비디아의 최대 강점은 제품 못지 않게 고객

 

  • 아마존, 구글, 메타, MS, 테슬라 등 대규모 투자 고객 보유
  • 서비스, 광고, 소비 구축되는 동안 칩만 팔면 되는 회사
  • 도이치뱅크. 마이크론 HBM 중심 성장 낙관. 150달러
  • VanEck 반도체 ETF는 7주 연속 상승. 19년 3월 이 후 최장
  • 웨드부시. 팔란티어 AI 수요 수혜 강해. 140 → 160
  • HSBC. AI 칩 가격 인상 기대에 AMD 주목. 매수로 상향
  • 구리 50% 관세 부과 영향에 맥모란 등 관련주 강세
  • JP모건. 구리 가격 오를 때 맥모란 긍정적, 42 → 56
  • BoA. 메타 스마트 안경 투자 주목. 690 → 765 상향
  • 달러 트리, 25억달러 자사주 매입 소식에 상승
  • 비트코인 113,500달러까지 상승세
  • 기술주와의 상관 관세 높아 증시에 긍정적이라는 분석도

 

엔비디아의 위엄
엔비디아

 

 데일리한줄

 

  • 🇺🇸 금리/정책 불확실성 
  • 🌎 지정학적 긴장 
  • 📈 암호화폐 상승 
  • 🤖 AI & 혁신 
  • ☕️ 관세 & 무역 분쟁

📈 금융 & 시장

  • 📊 주가 & 채권: S&P500 +0.27%, 나스닥 +0.09%, 다우 +0.43%.
  • 💹 원자재 & 환율: 유가 하락, 달러 약세, 호주·캐나다달러 강세.
  • 💰 MMF & 역레포: MMF 자산 감소, 역레포 참여도 감소


🏢 기업 & 산업

  • 📱 Apple: 2026년까지 신제품 출시 로드맵.
  • 🤖 Nvidia: AI칩 수출 논의, 中용 B40 출시 계획.
  • ⚡️ XAI & Musk: Grok 4 모델 공개.
  • 🚗 Tesla: 캘리포니아 규제 승인 신청 無.
  • 💻 크립토 & ETF: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113K), ETH·SOL 스테이킹 출시.

 

🛢️ 에너지 & 원자재

  • 📉 유가: WTI $66.57 (-2.65%), 글로벌 수요 우려.



🗳️ 정치 & 사회

  • 🇺🇸 미국 정책: 이민 억제, 교육예산 삭감.
  • 🕵️ CIA & 내부고발: 정치인 정보수집 폭로.
  • 🇫🇷 Macron: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촉구. 

 

🇺🇸 미국 경제 & 연준 &기타

  • 🏦 금리 & 정책: 연내 1~2회 금리인하 가능성,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
  • 📈 인플레 & 관세: 관세 영향 제한적, 올 여름부터 반영 예상.
  • 💵 국채 & 대차대조표: 대차대조표 적정 규모 논의, 4주물 고금리 입찰.
  • 🪙 스테이블코인: 지불 혁신, 규제 필요성 강조.
  • 🔍 연준: 투명성·독립성 비판.
  • 🏦 Citadel: MS 옵션 메이커 인수.
  • 🪙 Ripple: BNY Mellon과 스테이블코인 협력.

 

🌎 국제 정치 & 외교

  • 🇮🇱 이스라엘-이란: 이란 위협시 추가 타격 경고.
  • 🇺🇦 우크라이나: 무기 협상, 제재 임박, 패트리엇 제공.
  • 🇬🇧🇫🇷 영국-프랑스: 불법이민 교환 프로그램.
  • 🇧🇷 브라질: 美 관세 대응해 보복 관세 및 WTO 제소 준비.
  • 🇪🇺 EU & 러시아: 러시아산 석유 상한제 검토.

 

비트코인, 사상 처음으로 11만6000달러 돌파


 Morning Report(2025.07.11.금)

 

1. 시장 요약

  • 나스닥과 S&P500, 사상 최고치 경신, 다우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강세 지속.
  • 트럼프의 고율 관세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실적 및 소비지표에 더 주목.
  • 업종 순환매가 진행되며, 중소형주와 경기민감주에 강세, 일부 기술주는 조정.


지수 마감

  • - 다우지수: +0.43% (44,650.64pt)
  • - S&P500: +0.27% (6,280.46pt)
  • - 나스닥: +0.09% (20,630.67pt)
  •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0.75% (5,708.28pt)
  • - 러셀2000지수: +0.48%


2. 주요 경제 지표 및 정책 이슈

  •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22.7만 건으로 전주 대비 5천 건 감소, 시장예상(23.5만 건) 하회.
  • - 고용시장 견고함 재확인, 7주 내 최저치.
  • - 다만 연속 청구건수는 196.5만 건으로 2021년 이후 최고치 기록 → 일부 고용 둔화 우려.


미국 국채금리 소폭 상승:

  • - 10년물: +0.002%p → 4.344%
  • - 2년물: +0.006%p → 3.868%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브라질·구리 등 수입품에 50% 고율 관세 예고.

  • 8월 1일부터 발효 예정. 일본·한국 포함 다수국 정상에 관세 관련 서한 발송.
  • 브라질 대통령은 ‘경제적 상호주의’로 보복 대응 예고.

 

연준(Fed) 발언:

  • -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인플레이션 영향 확인에는 올해 4분기 필요.
  • -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내 2회 금리 인하 가능성 여전.

 

- S&P 500, 나스닥 신고가 경신하며 3대 지수 + 러셀 2000 상승.

 

 

7/11(금) 국내


● 세계
· 백신 음모론자가 장관 되더니…미국서 홍역 창궐 
· 트럼프, 브라질엔 50% ‘관세폭탄’…8개국 추가 서한
· 英·佛 "핵무기 공동개발" 첫 합의…美 변덕∙러 호전성에 뿔났다 



● 정치
· 박정훈 대령, 해병대 수사단장 복귀한다…1년 11개월만
· '갑질 의혹' 강선우, 5년간 보좌진 51명 임용·46회 면직
· 李대통령 NBS 지지율 65%…취임 후 12%p 상승폴폴뉴스 


● 경제
· ‘기업금융 명가’ 우리銀, 디지털 공급망·복지몰로 中企 지원 
· 英서 최초 공개된 현대차 '아이오닉6N'…"고성능 끝판왕"
· 해수부, 부산 이전 청사 최종 확정…'연내 일괄 이전 목표' 


● IT, 과학
· “더 얇고 가볍다, 진화의 정점”… 삼성 갤럭시 Z 폴드·플립7 출격 
·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초고령·인력난, AI로 풀겠다" 
· "500만 원 챙겼다"…유명 게임사 직원, 고가 아이템 찍어내 현금화하다 적발 


● 사회
· 서울시, 7월분 재산세 2조 3624억 원 부과… 집값상승에 8.6% ↑
· 온열질환 감시 이래 '1천명' 가장 빨리 넘었다 
· 뜨거워진 동해 바다, 참치떼 이어 3m 황새치까지 이런뉴스 

지난밤 미국 주요 종목 동향 (시간외 반영)

 

🇺🇸 美증시 Summary

  • [관세 이슈보다는 종목별 뉴스에 반응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 델타항공이 호실적 발표(가이던스 회복 포함)로 11.9% 급등했습니다. 
  • 이는 철도, 화물, 물류, 여행 관련 종목에 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HSBC가 AMD의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100→$200)하면서 반도체 섹터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희토류 생산업체 MP Materials가 50% 급등했는데 미국 국방부가 이 회사의 우선주 4억 달러를 매수하기로 결정한 결과입니다. 
  • 이 회사는 자석 제조 시설을 건설할 계획입니다. 
  • 해당 뉴스 보도 후 다른 희토류 관련 종목들과 대형 광산업체들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 M&A 뉴스도 있었는데 페레로가 WK 켈로그를 약 30억 달러에 인수, 오토데스크는 PTC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 테슬라도 오랜만에 상승했는데 머스크는 로보택시 서비스 지역을 확대와 xAI의 Grok 챗봇을 테슬라 차량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뷰티 주식을 매수 종목으로 재선정하면서 에스티 로더의 주가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 대체로 가치주, 그 중에서 특히 소형주의 상승세가 두드러진 날이기도 했으며 주택건설 업체의 상승세도 눈에 띄었습니다

  • 무역관련 뉴스로는 어제 언급 드린대로 브라질에 대한 50% 관세(미국내 커피가격 상승 가능성)를 부과가 주목을 받았고 이에 따라 브라질 통화와 지수 ETF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구리에 대한 50% 관세 역시 공식 발표되었습니다

  •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핵심은 실업수당 지표였습니다. 
  •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지난주 23.5만 건에서 22.7만 건으로 감소했습니다. 
  • 데이터 발표 후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30년물은 예상 수준에 부합한 국채 입찰 덕분에 소폭 하락했습니다

  •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무살렘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6월 지표부터 반영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으며, 공급망 혼란 등은 산업계로부터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기타이슈로는 트럼프가 엔비디아 시총 4조 달러 돌파로 젠승 황을 백악관에 초대했습니다

  • NEXT👉
    미국 경제지표 발표는 없습니다. 세계 농업 수급 추정치와 영국 GDP 정도가 발표됩니다

 

날자별 이벤트

 

Market Summary - 2025년 7월 11일

 

미국 정치

  • 트럼프 대통령, 불법 이민자 대상 직업교육 프로그램 연방 자금 지원 중단
  • 트럼프 행정부, 브라질산 커피에 50% 관세 추진 — 브라질, 보복 관세 경고 및 WTO 제소 검토

  • 연방 판사, 트럼프의 출생시 시민권 제한 명령에 대해 전국적 효력 정지 판결
  • 백악관 하셋 수석 고문: "연준의 독립성과 규모, 구조 재검토 필요"


미국 주식

  • S&P 500 +0.27%(6,280.12), 나스닥 +0.09%(20,630.43), 다우 +0.43%(44,648.68) — 사상 최고치 경신
  • Delta, 실적 가이던스 재개하며 항공주 랠리 견인, +12% 상승

 

원자재 및 에너지

  • WTI $66.89/배럴(-2.65%), 관세발 글로벌 수요 위축 우려에 하락
  • 천연가스 $3.364 (+4.67%) /MMBtu


암호화폐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116,301 돌파 — 기관 수요 지속
  •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완화 발언 이어져: "결제 혁신 촉진, 달러 채택 확대 가능" (월러·뮤살렘)
  • Robinhood, 미국 내 이더리움·솔라나 스테이킹 서비스 출시

 

국제 정치 및 무역

  • 이스라엘 국방장관: "이란이 위협하면 재공격 감행할 것"
  • 이란 대통령: “IAEA와 협력 재개할 수 있어… 전제조건은 ‘이중잣대’ 중단”
  • 브라질 룰라 대통령: "미국과 먼저 협상하되, 실패 시 보복관세 시행"
  • EU,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유동제’로 변경 추진
  • NATO 사무총장: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우크라 지원 논의"

 

7월11일 일정

 

7/11(금) 지난밤 글로벌 뉴스




1, 나스닥은 0.09%, S&P 500 지수는 0.27%, 두 지수 모두 종가 최고치를 경신했고 다우 지수는 0.43% 상승했습니다. 테슬라는 4.7% 상승 마감했습니다.


2, 비트코인은 117,000달러를 돌파하며 계속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3, 10일 국제 유가 하락, WTI 원유 선물 8월물 2.65% 하락, 브렌트유 원유 선물 9월물 2.21% 하락.


4. 영국 FTSE 100 지수는 광업주와 헬스케어주의 강세에 힘입어 1.23% 상승한 8975.66포인트로 마감하며 전고점인 6월 12일을 넘어섰습니다. 올해 들어 FTSE 100 지수는 9.82%의 누적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5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5, 나스닥 중국 골드 드래곤 지수는 0.90퍼센트 상승 마감했습니다. FTSE A50 선물 지수는 0.07% 상승한 13,829.00 포인트로 밤사이 연속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6, 트럼프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리얼 소셜"에 게시하여 제롬 파월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다시 한 번 촉구했습니다.


7, 월러 연방 준비 은행 총재는 연준이 7 월에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으며 금리에 대한 그의 견해는 "정치와 관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8, 샌프란시스코 연준의 데일리 총재는 2025년에 두 차례의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9,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을 중단하기로 정치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10. 룰라 브라질 대통령은 협상이 효과가 없을 경우 브라질 제품의 미국 수출에 대해 50 % 관세를 부과하여 상호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1, 멜라니 졸리 캐나다 산업부 장관은 캐나다가 구리 수입에 50% 관세를 부과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움직임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졸리 장관은 "우리는 굳건히 맞서고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취했습니다.


12.미국 뉴햄프셔주 연방 판사 조셉 라플란테는 1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선천적 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이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고 12일 밝혔다.


13.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는 양국 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지난밤 글로벌 주요 ETF 동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