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로 배우는 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5월13일

by 머니 메이커(MoneyMaker) 2025. 5. 13.
반응형
2025년 5월13일
오늘의 뉴스로
배우는 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5월13일

 

 

(2025.05.13) U.S.  Market 

 

  • DOW ▲ 42,410.10 (2.8%)
  • S&P500 ▲ 5,844.19 (3.3%)
  • NASDAQ ▲ 18,708.34 (4.3%)
  • RUSS 2K ▲ 2,092.20 (3.4%)
  • PHLX 반도체 ▲ 4,780.93 (7.0%)

 

미국 뉴욕증시가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게 부과했던 상호 관세를 90일간 대폭 낮추기로 했다는 소식에 급반등했다. 특히 그동안 관세 전쟁 영향으로 크게 밀렸던 반도체주와 대형 테크주들의 상승세가 가팔랐다.

 

대형 테크주 중심 급등 마감

 

 

  • 05/13 미 증시, 미-중 무역 협상 결과에 환호하며 큰 폭 상승
  • 미-중 무역 관세 대폭 인하 및 유예 합의  3대 지수 + 러셀 2000 큰 폭으로 상승
  • 오늘 상승으로 S&P 500 은 캐나다, 멕시코 관세 발효일 이후 하락분까지 만회
  • 美 증시 상승 마감…다우 +2.81%, S&P500 +3.26%, 나스닥 +4.35%
  • 뉴욕증시, 미중 관세완화에 '환호 랠리'…나스닥 4%↑
  • 뉴욕증시, 미·중, 관세 90일간 인하에 강한 랠리…나스닥 4.35%↑
  • 뉴욕증시, 미중 관세완화에 '환호 랠리'…나스닥 4%↑
  • 미·중 ‘치킨게임’ 멈췄다…나스닥 4.4%·아마존 8.1%↑
  • 유틸리티, 필수 소비재 등 경기 방어 섹터, 부동산 등 금리 민감 섹터를 제외 나머지 섹터 모두 큰 폭으로 상승. 헬스케어는 경기 방어 섹터이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처방약에 대한 최혜국 대우 행정명령  상승
  • 금리, 달러 동반 상승, 국제 유가 상승, 금 하락
  • 비트코인 및 크립토 강세 주춤
  • VIX 지수 3월 이후 처음으로 20 이하로 하락
  • 시장의 다음 금리 인하 시기는 7월에서 9월로 후퇴
  • 이번에도 트럼프 리딩방은 적중했음
  • 트럼프 "가장 큰 건 中시장 개방…금주 말 시진핑과 통화할수도"
  • "미·중 관세 합의, BTC보다 주식시장에 더 유리"
  • 앳킨스 SEC 위원장, 디지털 자산 규제 정책 전환 예고
  • 트럼프 가문 비트코인 채굴 회사, 나스닥  상장 계획
  • 비트코인(BTC), 미·중 무역 완화에도 하락…주식 자금 유입에 밀렸다
  • 두바이, 공공서비스 암호화폐 결제 전면 도입 예정
  • 美 뉴욕시장 "뉴욕, 글로벌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 것"
  • 코인베이스, S&P500 편입 소식에 주가 상승
  • 암호화폐 ETF, 연간 629억 달러 자금 유입…코인셰어스 “사상 최대 기록”
  • Strategy는 13,390개의 BTC를 추가매수,현재  비트코인당 약 69,287달러에  568,840개의 BTC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 관세 호재에도 $102K 하회…美 자산 쏠림에 상승분 반납

 

반응형

 

  • 미 증시는 중국과의 무역 협상 결과 관세 하향 조정 속도가 빠르게 진행됐다는 소식에 환호하며 큰 폭 상승 출발.
  • 특히 관세로 인한 피해 종목군의 강세가 뚜렷해 대형 기술주, 반도체, 일부 소매업종이 상승 주도.
  • 물론, 차익 실현 욕구도 높아 장중 상승을 일부 반납하기도 했지만, 주식시장에 대한 기대가 강하게 유입되며 상승 확대는 지속되며 나스닥이 4% 넘게 급등(다우 +2.81%, 나스닥 +4.35%, S&P500 +3.26%, 러셀2000 +3.42%,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7.04%)

  • 미국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를 일시적으로 인하하기로 합의한 후 급등하며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기 침체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높임. 
  • 미국은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를 30%로, 중국은 미국 상품에 대해 10%로 인하. 
  • 시장은 행정부가 향후 3개월간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와 무역 협상을 타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중.
  • - 다우존스 2.8% 상승, S&P500 3.3% 상승, 나스닥 4.3% 상승.
  • - 방어주로 꼽히는 코카콜라와 AT&T 등은 각각 1.4%, 3% 하락.
  • - 뉴욕 유가는 미중간 관세를 90일간 낮추기로 하면서 오름세.
  • - 미국 국채가격은 단기물 중심으로 크게 하락. 경기 둔화 우려가 가라앉으면서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

 

트럼프 취임 109일차 지지율 1기 41.5%,2기 45.5%

 

 

  • *변화요인: 미-중 무역 협상 결과

  •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 결과를 발표했는데 미국은 대 중국 관세를 145%에서 30%로 축소, 중국은 대 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축소. 
  • 더불어 통상, 경제 관련 정례 협의체를 구축해 지속적인 협의는 지속 할 것이라고 발표. 
  • 대체로 시장이 예상했던 것 이상으로 큰 폭으로 관세를 하향 조정해 자국 경기에 대한 불안을 완화. 
  • 이에 관련된 기술주와 금융, 산업재가 강세를 보인 반면 필수 소비재, 통신, 유틸리티 업종은 하락하는 등 주식시장에서 희비가 엇갈림. 
  • 여기에 달러 강세, 금 가격 하락, 국제유가가 상승. 
  • 국채 금리는 무역분쟁 완화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됐음에도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로 상승

  • 한편, 트럼프는 장중 중국과 생산적인 회담을 해 중국과의 완전한 재설정을 이뤘다고 주장. 
  • 더불어 이번 협상에는 '중국 시장을 미국 기업에 개방하는 중요한 내용이 포함'됐다고 언급. 
  • 또한 주말에는 시진핑과 통화를 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90일 유예기간 협상이 마무리 되지 않아도 145%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히 많이 올라갈 것이라고 주장. 
  • 결국 무역협상을 통해 미국과 중국 모두 자국 물가를 비롯해 경기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자 협상 타결에 앞장선 모습. 

  • 그럼에도 여전히 보편적 관세 10% 유지 및 상호관세 90일 유예라는 점에서 둔화되고 있는 경기를 되돌릴 가능성은 크지 않음. 실
  • 제 쿠글러 연준 이사가 이날 양국 관세 인하됐음에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물가 상승을 이끌고 경제 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언급. 
  • 굴수비 총재 또한 대 중 관세가 일시적으로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스테그플레이션 위험이 남아 있다고 주장. 
  • 연준 위원들의 발언을 토대로 결국 트럼프 관세 부과 이전부터 이미 경기가 둔화되고 있었기 때문에 향후 경제지표의 중요도가 높아졌다고 볼 수 있음.

 

빅7주가

 

*특징 종목: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강세 Vs. 통신, 유틸리티 부진

 

  • 테슬라(+6.75%)는 미-중 무역 협상 결과 관세를 큰 폭으로 인하하자 급등. 여기에 트럼프가 미국 기업들에게 중국 시장을 개방하는 중요한 내용이 포함됐다고 발표한 점도 긍정적인 영향.
  • 리비안(+2.66%), 루시드(+4.38%)등은 물론 퀀텀스케이프(+5.42%), 앨버말(+6.28%)등 전기차 관련 기업들이 상승했으며
  • GM(+4.44%), 포드(+2.63%), 스텔라티스(+6.51%)등도 강세

  • 엔비디아(+5.44%)는 미-중 무역협상 결과 발표하자 상승. 댄 아이브스가 이번 결과로 가장 큰 수혜를 얻을 것이라고 언급한 점도 긍정적. 
  • 브로드컴(+6.43%), 마이크론(+7.49%), TSMC(+5.93%), AMD(+5.13%), 퀄컴(+4.78%)등은 물론 AMAT(+7.96%), 램리서치(+9.14%)등도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7.04% 상승. 
  • 더불어 아리스타 네트웍(+6.70%), 슈퍼마이크로컴퓨터(+4.78%)등 AI 서버 관련주, GE버노바(+4.35%), 비스트라(+7.62%)등 전력망 업체 등도 상승. 

  • 애플(+6.31%)은 미-중 무역협상 결과 발표에 중국 매출 부진을 뒤로하고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소식에 상승. 특히 이번 협상 결과 미-중 무역 갈등이 최악의 국면이 끝날 것으로 기대한 점도 긍정적. 
  • 아마존(+8.07%)도 관세로 인한 판매 부진 우려가 완화되자 상승. 특히 레이몬드가 아마존의 총 상품가의 약 30%는 중국에서 수익이 생기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협상 결과가 아마존 실적 상향 조정 기대가 높다고 발표한 점이 우호적. 
  • 알파벳(+3.37%)은 텍사스와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합의 소식과 유니크레딧과 10년간 클라우드 및 AI 협력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메타 플랫폼(+7.92%)은 중국이 미국 기업들에게 개방하는 중요한 내용이 포함됐다는 소식에 큰 폭 상승. 
  • MS(+2.40%)도 상승했지만, 여타 대형 기술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 제한

  • 알리바바(+5.76%)는 미-중 무역 협상 결과에 반응하며 상승. 
  • 핀둬둬(+6.14%)는 관세 완화 소식에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 진둥닷컴(+6.47%)도 강세를 보이는 등 소매유통업체들 대부분 강세. 
  • 여기에 바이두(+5.08%)등 기술주, KE홀딩스(+2.80%)등 부동산 관련주, 트립닷컴(+6.62%)등 여행주, 니오(+5.79%), 샤오펑(+7.59%), 리오토(+6.57%)등 전기차 관련종목군도 강세를 보이는 등 대부분 중국 기업들이 상승. 

  • 일라이릴리(+2.86%)는 트럼프가 해외 약가와 맞추기 위해 미국 처방약 가격 인하를 내용으로 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할 것이라는 소식에 하락 출발. 그러나 트럼프가 미국내 건설을 이유로 일라이릴리는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발표, 예상보다 나쁘지 않았던 행정명령 내용과 법적인 부분을 이유로 실제 시행은 쉽지 않다는 점에 상승 전환에 성공. 더 나아가 소비자가 직접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내용도 영향. 
  • 노보노디스크(+3.00%), 에브비(+2.96%), 머크(+5.87%), 암젠(+3.35%)등 여타 제약업종 대부분 상승 전환. 
  • 반면, 유나이티드 헬스(-0.50%) 특히 CVS헬스(-3.23%), 시그나(-5.31%)는 약가 인하를 위해 중간 업체들을 제외하고 소비자의 직접 구매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언급하자 부진

  • 아이온큐(+5.18%), 리게티컴퓨팅(+9.17%) 등 양자 컴퓨터 관련 테마주는 주식시장 강세에 힘입어 상승. 그러나 시간 외 리게티 컴퓨팅이 부진한 매출을 발표하며 11% 급락하자 대부분 시간 외 하락. 
  • 팔란티어(+0.99%)는 비록 상승했지만, 오늘 시장의 화두는 관세 영향을 받은 기업 중심으로 매수세가 쏠리며 시장 외면을 받자 상대적으로 상승 제한. 
  • 로켓랩(+3.66%), 인튜이티브 머신(+2.81%) 등 우주개발 관련 테마주도 주식시장 강세로 상승. 
  • 조비항공(+3.39%), 아처항공(+3.06%) 등 비행택시 관련주도 강세. 시간외로 아처 항공이 양호한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7% 내외 상승 중

  • JP모건(+2.75%)등 대형 은행주는 미-중 무역협상 결과에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하며 상승. 
  • 캐터필라(+5.20%)등 기계업종, 페덱스(+6.94%)등 물류회사들도 강세. 
  • 나이키(+7.34%), 스타벅스(+6.69%)등은 중국내 사업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 룰루레몬(+8.73%), 에스티로더(+7.17%)등 중국 관세에 민감했던 소매업종도 강세. 
  • 반면, AT&T(-2.98%)등 통신주, 코카콜라(-1.40%)등 음료, 필립모리스(-2.87%)등 담배회사, 듀크에너지(-3.72%)등 유틸리티 등 경기 방어주들은 대부분 하락. 
  • NRG에너지(+26.21%)는 LS파워로부터 120억 달러 규모의 전력 포트폴리오 인수 발표하자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7.04% 상승

 

 

Market Summary – 2025년 5월 13일

 

미국 정치

  • 트럼프 대통령, 의약품 가격 인하 행정명령 서명 — “Big Pharma의 폭리를 더는 용납하지 않겠다.”
  • 의약품 수입 허용 확대, 중간 유통업자 제거, ‘가장 유리한 국가(MFN)’ 가격 적용 추진.
  • 트럼프 “EU는 중국보다 더 까다로워… 의료비 부담 증가해야” 발언 파장.
  • 트럼프, 이란-러시아 관련 추가 제재 단행.
  • 공화당, 트럼프가 주도하는 대규모 감세 및 재정 법안(일명 “Big, Beautiful Bill”) 초안 공개 — 팁·초과근무 면세 포함, EV 세액공제 조기 종료.

 


미국 주식

  • S&P 500(+3%), 나스닥 상승률 2022년 이후 최고치 — 기술주 중심 강세 지속.
  • 제약·헬스케어 섹터 압박 속 하락, 소비재·기술주로 순환.
  • Apple($AAPL), iOS 19에 AI 배터리 수명 연장 기능 탑재 계획 발표.
  • McDonald’s, 올여름 미국 내 37.5만 명 채용 계획 발표.
  • Perplexity AI, 기업가치 $140억 달성 — 투자자 이목 집중.


원자재 및 에너지

  • WTI $61.95/배럴 (+1.52%), 브렌트유 $64.96/배럴 (+1.64%)
  • 천연가스 $3.646/MMBtu — 수급 안정 속 조정.
  • 미국, 전략비축유(Strategic Petroleum Reserve) 재보충 예산 $13억 추진.
  • CPC 원유 수출 5월 감소 전망 — 러시아·카자흐 공급 영향.


암호화폐

  • 비트코인 $101,840 근접 
  • 미국, 암호화폐 브로커 규정 재정비 예고 — SEC 개편 방안 논의 중.

 

국제 경제 및 무역

  • 중국, 무역기업 대상 간담회 개최 — “시장 확대 적극 지원” 발표.
  • 미국, 에미리트 AI 기업 G42에 대한 대형 반도체 수출 승인 검토 — AI 경쟁 전략 강화.
  • 미국-중국, 상호 관세율 일시 인하(미국 30%, 중국 10%) 90일간 유지 합의 — Fitch, 미국의 실질 관세율 13%로 하락 평가.
  • 트럼프, 의약품 가격 문제 연계해 자동차·철강 관세 인상 경고.
  • 연방정부 4월 재정 흑자 $2,584억 — 관세 수입 전년대비 +130%, 트럼프 “예산안·약값 모두 해결”.


기타 뉴스

  • 인도-파키스탄, 국경 병력 감축 및 충돌 중지 합의 시도 — 양국 간 긴장 완화 조짐.
  • 이스라엘-하마스, 미국 중재 하에 인질 석방 및 휴전 협상 진전.
  • Fed, 대형 기업 대상 대출 수요 Q1 감소 확인 — 신용긴축 지속.
  • 연준 인사들, “관세가 여전히 고물가·저성장(스태그플레이션) 유발 우려” 발언 다수.
  • BoE, 유럽·글로벌 불확실성에 신중한 금리 인하 필요성 언급.

 

미-중 무역 관세 대폭 인하 및 유예 합의 (https://t.me/yakjangsu/18630)에 3대 지수 + 러셀 2000 큰 폭으로 상승

 

 

5월 13일 시황. 예상 보다 강했던 관세 협상 결과 

  • 미중 상호간 관세 한시적 축소 보도에 강세
  • 대중 관세 145→30%, 대미 125→10% 각각 축소
  • 미국의 경우 91%는 취소. 24%는 90일 유예. 
  • 중국도 91%는 취소 24% 90일 유예. 10%만 유지
  • 결국 24% 관세 유예하면서 추가 협상 진행되는 것
  • 베센트. 완전한 합의 위해 몇 주 이내 다시 만날 것
  • 또 몇주나 몇 달 이내 양측 정상 연락 할 수도

 

  • 트럼프는 더 나가 이번주 후반 대화 가능성 언급
  • 중국이 미국 기업에 개방하기로 했다고도
  • 다만 공식 서명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
  • 주요 분석가들은 대부분 긍정적 평가

 

  • 웨드 부시. 공급망 우려 축소. 기술주에 낙관적 소식
  • 톰리. V자 회복에 유리한 국면으로 평가
  • CFRA. 소매업체들 재고 확보할 여유 생겨
  • 휴가철 등 중요한 구매 시기에 대비 가능해져
  • 가이 밀러, 장기적 경기 침체 가능성 사라져
  • LPL파이낼셜. 최악의 시나리오 제거되어 안도감 줄 것
  • BMO. 지속적인 합의 기틀 마련. 증시가 원하던 것
  • ING. 특히 중국에 긍정적일 것. 무역 정상화 기대
  • 캐피털이코노믹스. 여전히 높은 관세. 중국 견제 여전
  • BoA. 시작일 뿐 완전한 합의까지는 불확실성 여전
  • 골드만삭스도 유예일 뿐이라 결과 확인까지 변동성
  • 쿠글러. 중요한 진전이나 여전히 제법 높은 관세

 

  • 빅테크, 관세 피해주들 일제히 급등하며 지수 견인
  • 시총 1조달러 이상 종목들 평균 5% 상승
  • 증시에 큰 자금이 유입되며 올렸다는 의미
  • 아마존 8%, 애플 6%, 마이크론 7%, 엔비디아 5%대 상승
  • 경기 침체 우려 완화되며 주요 소비주들도 급등
  • UBS. 엔비디아 성장세 지속 주목. 매수, 180→175달러
  • 웨드부시. 엔비디아가 중국 관세 유예 최대 수혜주
  • BoA. 아마존 배송 비용 절감 주목. 매수 유지
  • 웰스파고. JP모건 시총 1조 달러 가능. 비중 확대
  • 약가 인하에 하락하던 제약주들도 반등

    ◎ 주요 지표
  • 달러인덱스 101.79 (+1.44%)
  • 국제유가 62.07달러 (+1.72%)
  • 변동성지수 18.39 (-16.03%)
  • 10년물 금리 4.47%
  • MSCI 한국지수 +0.61%
  • 야간선물 +0.82%

 

개미 순매수 상위 etf

 

5/13(화) 국내


● 세계
· 佛 출신 EU 당국자, 체코 정부에 한수원 원전 계약 중단 요구 
· 카타르서 5600억 짜리 전용기 받는 트럼프…민주당 “뇌물” 비판에 “루저들” 
· 영 총리 소유 주택에 화재…"대테러팀 포함 경찰 수사" 


● 정치
· 유세 첫날…이재명 '통합·경제', 김문수 '민생·경제' 전면에
· 김문수, '반탄' 사과하고 尹관계 재정립할까…"김용태와 논의"
· 채 상병 묘역 ‘패싱’한 김문수···이기인 “채 상병 누군지도 모르는 게 보수냐” 


● 경제
· 농축산물 할인에 1600억원 투입…6월 말부터 공공배달앱 1만원 쿠폰 
· 정용진 “본업 경쟁력 강화” 통했나…이마트 1분기 영업이익 238% 급증
· 한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인가부터 통화당국이 개입해야" 


● IT, 과학
· SKT “해킹 후 이탈 고객 증가 확인… 신규 가입 모집 재개 시점 미정”컨콜 
· SKT 1분기 영업이익 5천674억 원…작년 동기 대비 13.8%↑ 
· 시프트업, 1분기 영업익 263억…전년比 1.2% 증가 


● 사회
· '정치자금법 위반' 건진법사, 오늘 2차 공판기일 
· 법카 10만 4천원…김혜경 항소심도 '벌금 150만 원' 선거운동은 어떻게?자막뉴스 
· 검찰, '공천 개입 의혹' 김건희 여사 14일 소환 통보…출석 여부 불투명

 

"우리 88세 할머니께서 오늘 처음으로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FSD)을 체험해보셨어요. 수년간 운전을 안 하셨는데, 이제 테슬라를 사볼까 고민 중이십니다."일론 머스크"FSD는 많은 사람들의 삶을 바꿔놓을 제품이 될 것입니다."

 

🇺🇸 美증시 Summary

  • 미·중 상호관세 90일간 대폭 인하
  • 합의 못해도 145%까지 올리진 않을 것
  • 트럼프 중동 순방 시작

  • [미·중 관세 일시 인하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 미국과 중국은 양국간 상호 관세 115%p를 90일간 인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따라서 중국에 대한 미국의 상호 관세는 145%에서 30%로 인하되고(상호관세 10%+펜타닐 관세 20%)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인하하는 동시에 비관세 조치도 중단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다만 알루미늄과 같이 전 세계적으로 시행 중인 부문별 관세는 이번 유예 조치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트럼프는 90일 간의 기간 동안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관세가 다시 높아질 수 있지만 145% 수준까지 되돌릴 순 없다고 말했으며, 무역 협정으로 중국 경제가 완전 개방될 것이고 이번 주말 시진핑과 전화할 수 있다고 발언했습니다

  • 이번 협상에 대해 중국은 협상에서 승리했다고 자축했으며 확고한 대응과 단호한 입장이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밝혔습니다. 
  • 미국 또한 이번 거래를 역사적인 무역 승리라고 규정했습니다

  • 베센트 장관은 향후 몇 주 안에 베이징 대표단과 다시 만나 더 큰 규모의 합의를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예상보다 큰 폭의 관세 인하에 투자자들은 환호했고 증시는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필수소비재와 유틸리티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했고, 임의소비재, IT, 커뮤니케이션 순으로 상승 폭이 컸습니다. 
  • 다만 유틸리티 섹터에서 NRG에너지는 컨센을 상회하는 실적과 LS파워로부터 천연가스 발전 자산을 120억 달러에 인수해 발전 용량을 2배 늘리는 계약 체결로 20% 이상 상승했습니다

  • 제약주는 약가 인하 행정명령 예정에 하락 출발했지만 증시 상승에 동참하며 오름세를 보였고/ 관세 인하 소식에 중국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장난감 기업들의 상승세도 눈에 띄었습니다

  • 🗞기타이슈로는 맥도날드가 미국 매장에서 최대 37만 5천 명의 직원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NEXT👉
    트럼프의 중동 순방이 시작됩니다. 4월 CPI가 발표되며, 연준 인사들의 발언도 이어집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