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27일
오늘의뉴스로
배우는세상
(2025.03.27) U.S.Market
- DOW ▼ 42,454.79 (-0.3%)
- S&P500 ▼ 5,712.20 (-1.1%)
- NASDAQ ▼ 17,899.02 (-2.0%)
- RUSS 2K ▼ 2,073.83 (-1.0%)
- PHLX 반도체 ▼ 4,508.74 (-3.3%)
- 03/27 미 증시, 엔비디아, 테슬라와 대형 기술주가 하락 주도
- 산불 결국 지리산까지…사상자 52명 역대 최다
-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급락 마감
- 자동차에도 관세 부과, 테슬라 6%↓ 미증시 일제 급락
- 트럼프 자동차 관세 충격에 무너져…테슬라·엔비디아, 5.6% 안팎 급락
- 뉴욕증시, 하락…나스닥 2.04%↓
- [뉴욕증시] 트럼프 자동차 관세 충격에 하락…나스닥, 2% 급락
- 관세공포 속 엔비디아·테슬라 주가 5% '뚝'
- 트럼프 "상호관세, 모든 국가에 적용…관대해서 놀랄 것"
- 트럼프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내달 2일부터 부과"
- 미국 증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장 마감 직후 자동차 관세를 발표할 것으로 전해지자 관세 관련 소식에 민감해진 시장은 초조함을 드러내
- - 자동차 관련 주식 뚜렷한 약세 보여, 테슬라 주가 5.6% 하락, 제너럴모터스 3.14% 하락
-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으로 미국 기업들 이익 줄어들 것-골드만삭스에 이어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레이스가 S&P500 올해 목표치를 6600에서 5900으로 하향 조정했다
- -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상대국의 보복 조치는 미국의 거시 경제 전반의 커다란 불확실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평
- - 전일 트럼프가 뉴스맥스와 인터뷰에서 "나는 아마도 상호적으로 하는 것보다 더 관대할(lenient) 것이다. 내가 상호적이면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할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발언으로 상호 관세에 유연한 입장을 보이는 발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상승 출발 직후 바로 하락 반전. 이후 반등을 시도하려던 시장은 트럼프가 이르면 오늘 자동차 관세를 발표할 수 있다는 언급에 낙폭 확대. 백악관 대변인 정례 브리핑에서 금일 미 동부시간 오후 4시 (장 마감 시간과 동일)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발표가 있음을 컨펌하자 낙폭 추가 확대.
- - 게임스탑 비트코인을 비축 자산으로 투자하기로 하면서 11.75% 급등
- "비트코인 올해 20만 달러 간다"…'부자아빠', 역사상 가장 큰 기회
- [뉴욕 코인시황/마감] 자동차 관세 발표 소식에 증시와 동반 하락 … 비트코인 8.7만달러 아래 후퇴
- 미 증시는 반도체 업종이 부정적인 요인으로 하락을 주도한 가운데 약세 출발.
- 더불어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이슈 등으로 낙폭이 더욱 확대. 이런 가운데 자동차 관세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도 부정적인 요인.
- 결국 미 증시는 무역 분쟁 이슈를 바탕으로 엔비디아(-5.74%)와 테슬라(-5.58%)를 비롯해 M7종목군이 하락을 주도한 가운데 필수 소비재와 유틸리티등 경기 방어주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며 나스닥의 낙폭이 컸음(다우 -0.31%, 나스닥 -2.04%, S&P500 -1.12%, 러셀2000 -1.0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27%)
- *변화요인: 관세 불안, 엔비디아 하락 원인, 테슬라 하락 원인
- 오늘 미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이슈가 점차 확대된 가운데 반도체 업종이 하락 주도. 여기에 연준 위원들의 발언 또한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많은 가운데 최근 소비 심리 지표의 변화는 대부분 관세에 관한 것이라고 언급.
- 더불어 관세 자체보다 신뢰에 대한 타격이 더 클 수 있다고 주장.
-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매우 불확실하다고 주장. 또한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일시적이라는 가정은 매우 조심스럽다며 우려를 표명.
- 특히 2차 파급 여파는 더욱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 대체로 관세 이슈가 불안 요인임을 시사
- 한편, 엔비디아(-5.74%)의 하락이 컸는데
- 1) 최근 알리바바 회장이 미국의 데이터센터향 자본지출이 과도하고 관련 수치에 놀랍다고 우려를 표명한 가운데 TD코웬이 MS(-1.31%)가 미국과 유럽에 예정된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를 취소하거나 연기 주장.
- 2)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첨단칩에 대한 에너지 효율 규칙을 도입. 이를 통해 중국내 데이터센터 구축하는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H20 칩 사용을 금지 권고. 향후 화웨이 등에 중국내 매출을 뺏길 가능성이 부각.
- 3) 트럼프 행정부가 안보를 이유로 약 80여개의 블랙리스트 기업을 발표.
- 관련 기업들 중 엔비디아등의 주요 고객인 Inspur Group의 자회사, 중국 최대 슈퍼컴퓨터 제조업체인 Sugon과 관련된 회사도 추가.
- 이런 요인에 엔비디아를 비롯해 반도체, 그리고 대형 기술주 등의 하락이 진행. 지난해 7월 부각됐던 '수익화 논란'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 이런 가운데 테슬라(-5.58%)의 하락이 확대. 사우디에 진출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1) 중국 비야디 회장이 중국 외부에서 올해 지난해의 41만여대보다 두배 많은 80만대를 판매할 것이라고 언급하는 등 경쟁이 가속화 2)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 시사에 따른 불안 심리 3) 4월 2일 캐나다, 멕시코 등에 대한 관세 부과 등으로 투입비용 증가 4) 캐나다의 보조금 삭감 등을 반영하며 하락.
- 이는 테슬라가 결국 경쟁 심화와 비용 증가로 향후 실적 부진 가능성이 제기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 결국 오늘 미 증시는 관세 불안과 함께 부정적인 이슈에 따른 반도체 업종의 큰 폭 하락, 그리고 '수익화 논란' 이슈가 부각된 대형 기술주, 여기에 자동차 산업에 대한 불안 등 개별 산업 이슈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 *특징 종목: 엔비디아 5.74%, 테슬라 5.58% 하락
- 엔비디아(-5.74%)는 TD코엔이 MS의 미국과 유럽등에 예정된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를 취소 관련 보고서와 트럼프의 블랙리스트 발표, 중국 발개위의 엔비디아 H20 구매 금지 권고 등으로 하락.
- 특히 트럼프의 블랙리스트 기업들 중 엔비디아와 AMD(-4.02%), 인텔(-3.22%)등의 주요 고객들이 포함돼 있어 향후 매출 부진 가능성이 제기된 점도 부담.
- 이에 TSMC(-4.09%), ARM(-7.52%), 마이크론(-2.18%), 브로드컴(-4.78%)을 비롯해 AMAT(-1.93%), 램리서치(-1.97%)등 반도체 관련 기업들과 슈퍼마이크로컴퓨터(-8.86%), 아리스타 네트웍(-6.07%), 델(-2.63%)등 AI 서버 관련 기업들, 비스트라(-5.92%), GE버노바(-5.50%), 컨스텔레이션(-4.36%), 누스케일 파워(-8.50%), 오클로(-8.85%)등 원자력과 전력망 관련 기업들 대부분 하락.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3.27% 하락.
- 테슬라(-5.58%)는 경쟁 심화와 투립비용 증가, 캐나다의 보조금 삭감, 자동차 관세 시사에 하락. 일부 언론에서는 완성차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되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자동차 관세 관련 일부 완화되었지만, 하락은 지속.
- 리비안(-2.10%), 루시드(-3.09%)등 전기차 업체들과 퀀텀스케이프(-2.77%), 앨버말(-2.51%)등 2차 전지, EVGO(-2.11%)등 충전 업체 등 전기차 관련 기업들이 대부분 하락.
- 여기에 GM(-3.12%), 스텔란티스(-3.55%)등 완성차 업체도 부진. 포드(+0.10%)는 하락하다 오히려 자체 생산이 많은 포드에 긍정적이라는 점이 부각되며 상승 전환.
- 자동차 부품 회사들인 마그나 인터(+1.18%), 리어 코퍼(+1.57%), 애디언트(+3.43%)등은 관세 부과에서 면제될 수 있다는 소식에 상승
- MS(-1.31%),알파벳(-3.27%), 메타 플랫폼(-2.45%), 아마존(-2.23%)은 과도한 자본지출 이슈가 재부각되며 지난해 7월 부각됐던 '수익화 논란'이 제기되자 하락. 이는 최근 알리바바 회장의 과도한 자본지출 우려 표명에 이어 지난달 2월 TD코웬이 MS의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 축소 보고서를 업데이트한 내용을 오늘 발표한 점이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 특히 알파벳은 젋은층이 구글 검색보다 ChatGPT 검색을 더 많이 한다는 소식에 낙폭이 더 컸음.
- 애플(-0.99%)은 팀 쿡이 중국 항저우에 있는 DeepSeek 기술 임원이 졸업한 저장대학에 3,000만 위안을 기부하고, 인큐베이터를 설립해 신진 개발자를 위한 기술 교육을 제공한다고 발표 했지만 대형 기술주 하락 여파로 동반 부진.
- 팔란티어(-4.37%), 오라클(-3.98%), 어도비(-1.44%), 세일즈포스(-2.64%), 서비스나우(-2.65%)등 소프트웨어 업종도 AI 산업에 대한 불안 여파로 하락.
- 아이온큐(-2.94%), 리게티컴퓨팅(-6.52%), 디웨이브 퀀텀(-5.81%)등 양자컴퓨터 관련 기업과 양자 보안 관련 기업인 아르킷 퀀텀(-5.07%) 그리고 템퍼스AI(-9.08%), 앱시코프(-5.54%), 슈뢰딩거(-3.96%)등 AI 활용한 바이오테크 기업, 로켓랩(-4.09%), 인튜이티브 머신(-4.46%), 레드와이어(-6.04%), 플래닛랩(-4.01%)등 우주 개발 기업들, 인튜이티브서지컬(-2.07%), 제브라 테크(-1.03%)등 로봇 관련주, 팔라다인AI(-5.83%), 조비항공(-1.35%), 아처항공(-7.51%)등 드론 및 비행택시 관련주 등 주요 테마 관련주들이 AI관련주가 큰 폭 하락하자 투자심리 위축되며 부진
- 알리바바(-0.38%), 핀둬둬(-2.22%)등은 중국 내수 확대 기대에도 불구하고 관세 이슈 등을 반영하며 매물 출회되며 하락한 반면, 중국 중심으로 사업하는 진둥닷컴(+0.75%)은 상승하는등 소매 유통업체들은 엇갈린 모습.
- 비야디의 공격적인 전망에 경쟁 심화 이슈가 부각되자 니오(-3.87%), 샤오펑(-1.38%)은 하락한 반면, 리오토(+2.42%)는 상승하는 등 중국 전기차 업체들도 엇갈린 모습.
- 바이두(+2.22%)등 기술주와 넷이즈(+1.05%)등 게임주는 상승.
- 중국 부동산 관련 기업인 KE홀딩스(+1.52%)는 설 연휴 이후 전년 대비 40% 부동산 거래 증가 등으로 중국 부동산 개선 기대가 확대되자 상승.
- 중국 잡화점 업체인 미니소 그룹(+2.91%)은 최근 JP 모건이 공격적인 해외 확장 등을 기반으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가운데 중국 내수시장 개선 기대등을 반영하며 상승.
- 중국 레스토랑 업체인 윰 차이나(+2.05%)도 내수시장 개선 기대로 상승.
- 일라이릴리(-3.00%), 노보노디스크(-2.54%), 바이킹 테라퓨틱스(-5.86%) 등 비만 치료제 관련 기업들은 최근 관련 약물 판매 둔화 이슈가 부각되자 하락.
- 화이자(-1.33%)는 코로나 백신 치료제 임상 결과를 고의로 늦게 발표했다는 의혹 조사 소식에 하락.
- 그 외 유나이티드 헬수(+0.93%), 머크(+0.27%) 등 여타 제약과 헬스케어 관련주는 경기 방어 성격으로 강세.
- 코카콜라(+1.76%), 펩시코(+2.13%)등 음료 업체들과 필립모리스(+1.39%)등 담배회사, P&G(+2.29%)등 필수 소비재 관련 기업, AT&T(+1.24%), 버라이존(+1.59%)등 통신주 등 경기 방어업종은 강세.
- 더불어 넥스트라 에너지(+1.66%), 도미니언 에너지(+1.91%)등 유틸리티 업종 또한 경기 방어 성격을 반영하며 상승.
3월 27일 시황. 관세, 증시 전망, 연준 인사 발언 겹치며
- 관세와 무역갈등 우려 재부각되며 하락
- 테슬라, 엔비디아 등 빅테크 하락하며 약세 주도
- 4월 2일 앞두고 관세 정책 전망은 혼란스러운 상태
- 주초 예상 보다 덜 광범위할 가능성 부각되며 기대감도
- 그러나 이 날은 몇 가지 상황 변화가 있었음
- 트럼프 뉴스맥스 인텨뷰에서 예외가 많지는 않을 것
- 친구 국가들이 더 심했다며 돈 돌려 받을 때라고 표현
- 장중 백악관은 이 날 자동차 관세 발표할 것이라고
- 이 소식 전해지면서 지수 밀리기 시작
- 엔비디아, 테슬라 큰 폭 하락하고 M7 일제히 하락
- 테슬라는 관세 부각시 브랜드 거부감 커지는 모습
- 캐나다에서 보조금 수령이 제한되었다는 보도도
- 에릭 디젠홀. 정치색 강한 경우 브랜드 유지 어려워
- 전기차 독점 생산도 아니어서 현재 상황 극복 쉽지 않아
- 윌리엄 블레어. 긍정적 재료도 있어 바닥 치고 반등할 것
- FT. 중국 기업들 엔비디아 의존도 낮추라는 압박 있을 것
- 환경 규제를 빌미로 H20 구매 말도록 압박한다는 것
- H20의 전력 효율이 낮다는 핑계, 엔비디아측은 반박
- 열 효율 낮추면 성능 저하. 매출 타격 우려에 급락
- 마이크로소프트 일부 데이터센터 계획 철회 보도 겹침
- CNBC. 미국측 중국 수출 금지 블랙리스트 기업 추가
- AI, 슈퍼컴퓨터, 양자컴, 군용 등 사용되는 제품등 대상
- 이 사안과 겹치며 미중 무역 갈등 우려 재확산
- UBS. 중국 보다 미국 AI 기업에 투자해야
- 미국의 자본 투자 압도적, 향 후 미국 경쟁력이 더 클 것
- 페퍼스톤. 불확실성 높은 사안. 하루 이상 계획 어려워
- 전일 소비자신뢰지수 급락도 빠른 경기 침체 우려 자극
- CFRA. 트럼프 관세 언급할 때 마다 오르고 내리고 반복
- 악재 부각시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강세. 더 이어질수도
- 바클레이즈, 관세 리스크에 S&P500 6,600 → 5,900
- 실적 둔화로 이어질 것. 금융, 헬스케어, 빅테크는 선호
- 반면 비스포크는 지표상 경기 침체 조짐 없다고 평가
- 최근 주택착공, 건축허가, 산업 생산 등 지표 양호
- 심리적 부진이 실물 경제 영향 주었다고 보기 어려워
- 도이치. 2분기까지 부진할수 있으나 초여름 바닥 나올 것
- 오스틴 굴스비. 경제 불확실성에 다음 인하 늦어질수도
- 무살렘. 관세에 따른 인플레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어
- 마이크론은 향 후 메모리 제품가 인상 통지했다고
- 공급 부족에 따른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전달
- 다만 반도체주 전반적 약세에 -2% 하락
- 국제유가 상승에 엑손모빌 등 주요 에너지 관련주 반등
- 펩시코, 스타벅스 등 주요 소비 관련 종목들 강세
- 2월 내구재주문은 예상 -1.1% 상회한 0.9%
- GDP NOW는 지난번과 동일한 -1.8 기록
장중 움직임이 있는 종목
- 게임스톱
— 밈 주식은 11.7% 급등했습니다. 화요일에 GameStop의 이사회는 MicroStrategy의 유사한 움직임에 따라 기업 현금의 일부로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계획을 만장일치로 승인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달러 트리
— 할인 소매 체인점은 수요일에 Family Dollar 사업을 10억 달러에 사모펀드 투자자 그룹에 매각한다고 발표한 후 3.1% 상승했습니다. - 플레이티카
— 모바일 게임 주식은 Bank of America에서 underperform에서 buy로 두 번 업그레이드를 받은 후 20.5% 상승했습니다 . 이 은행은 이 회사가 ”여전히 성장하고 있는” ”성숙한” 산업에서 높은 수익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토탈에너지스 SE
— 프랑스 에너지 및 석유 회사의 미국 주식은 시티가 매수로 업그레이드한 후 2.1% 상승했습니다 . 이 회사는 시장이 회사의 잠재적인 거래량과 마진 성장을 과소평가하고 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페이첵스
— 회사의 회계 3분기 실적이 월가 추정치를 넘어선 후 주가가 4.2% 상승했습니다. Paychex는 주당 1.49달러의 조정된 수익을 기록했는데, 이는 FactSet에서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했던 주당 1.48달러를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그러나 매출은 15억 1,000만 달러로 예상과 일치했습니다. - 엔비디아
— 인공지능의 달링(darling)의 주가는 기술주들의 급격한 매도 속에 약 6% 하락했습니다. 정보기술 부문은 1% 이상 하락했습니다. 알파벳 의 주가 그리고 아마존1% 이상 하락한 반면 Meta Platforms약 2%를 잃었습니다. - 테슬라
—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의 주가는 5.6% 하락하여 5일 연속 상승세를 꺾을 기세로 올랐습니다. 이 주식은 지난주에 16% 이상 상승했습니다. - 신타스
— 회사가 회계 3분기에 예상보다 나은 수익과 매출을 기록한 후 주가가 5.8% 상승했습니다. FactSet에 따르면 Cintas는 매출 26억 1,000만 달러에 주당 1.13달러를 벌었고, 분석가들은 주당 1.05달러의 수익과 26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했습니다.
3/27(목) 국내
● 세계
· 블룸버그 “트럼프, 이르면 오늘 자동차 관세 발표”
· 트럼프, ‘반정부 시위 직면’ 튀르키예 대통령에 “굿 리더” 칭찬
· 미 국방, 민간 채팅방서 대 후티반군 타격시간 · 공격무기 등 적시
● 정치
· 민주당 "李 무죄, 檢 정치보복 수사 경종 울린 사필귀정"
· ‘무죄’ 이재명 “사필귀정…檢, 행위 돌아보고 국력낭비 말아야”
· 李 무죄 판결에 몰아치는 민주당 “헌재, 빨리 尹 선고하라”
● 경제
· ‘확’ 커진 아기 울음소리…10년 만에 1월생 늘었다
· 'iM'으로 사명 바꾼 DGB "전국구 마케팅 추진"
· 출산 가구, 더 넓은 주택 더 많이 공급받는다
● IT, 과학
· 3000명에 1명 겪는 '척추이분증' 원인 유전자 첫 규명
· "과거 영광 되찾자"...올해 엔씨소프트에 내려진 특명
· 나델라 MS CEO, 2년 만에 방한…AI 영토확장 분주
● 사회
· “높은 고도서 곧바로 추락”... 숨진 헬기 조종사는 40년 베테랑
· 경북 지역 재소자 500명 대피…"인적·물적 피해 없어"
· 경찰, 광화문 서십자각서 전농 트랙터 견인…대치 지속
🖋ITK 오늘의 한마디
- 트럼프가 또다시 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를 예고하며 월가를 부수고 있습니다.
- 트럼프는 오늘 장 마감 후, 오벌 오피스에서 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를 발표한다고 예고하며 관세 정책 불확실성을 다시 높였습니다.
- 여기에 세인트루이스 연은은 관세 영향이 일시적이지 않을수 있다는 발언으로 시장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를 약화시켰습니다.
- 이로 인해 미 국채 금리는 상승세로 전환했고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마저 다시 커지게 됐습니다.
- 시장은 다시 매그니피센트 7을 중심으로 -특히 엔비디아와 테슬라를 중심으로 - 무너지는 모습입니다.
- 두 기업만 장중 한때 7% 가까이 폭락하는 모습을 연출했습니다.
- 일단 월가는 이런 정책 불확실성에 현재는 투자를 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지적합니다.
- 실제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기관 투자자들의 유동성은 2년 만에 최저치로 하락한 상황입니다.
- 개인 투자자들이 지난주부터 시장의 바닥에서 맹렬하게 매수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관 투자자들은 몸을 사리고 있는 셈이죠.
- 시장은 대형 기술주와 그 중에서도 반도체 기업을 중심으로 매도세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 이번주는 관세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남은 한주도 미국 성장에 필수적인 개인소비지출(PCE) 데이터가 나온다는 점에서 한시도 눈을 뗄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트럼프 자동차 관세 발표
🟢미국산이 아닌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기본적으로 2.5% 의 관세에서 시작이되며, 25%까지 올릴것
🟢미국산 자동차에만 공제
🟢관세부과로 인해 향후 1년 내에 1000억 달러 이상의 세수증대 예상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예정
🟢자동차 관세는 4/2일부터 발효, 4/3일부터 징수
🟢4/2일부터 상호 관세가 모든 국가에 적용이 될 예정이지만 매우 관대할것
🇺🇸 美증시 Summary
- 자동차 관세, 중국발 AI 우려에 하락 마감했습니다
- 💥[美자동차 관세 곧 발표, 中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 규제 시사]
- 개장 전 글로벌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예상보다 약간 낮게 나왔고(호주/영국), 미국 내구재·자본재 주문은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경제지표는 시장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중국발 AI 규제, 트럼프의 새로운 자동차 관세 이슈에 시장은 약세를 보였습니다
- 먼저 📍중국 규제 당국이 새로운 데이터 센터에 대한 에너지 효율 규정을 단속할 수 있다는 FT의 보도는 개장을 앞두고 Nvidia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 또한 Microsoft가 새로운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에서 손을 뗄 수 있다는 소문도 전해졌습니다/
- 이는 알리바바의 회장이 AI 데이터센터의 거품에 대해 경고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었습니다.
- 이로 인해 반도체와 AI 관련 기업의 주가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 또한 이러한 약세는 다른 성장주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그런대로 선방하던 증시는 미국 시간 정오를 조금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오늘 자동차 관세를 발표할 수 있다는 헤드라인이 나오면서 하락 폭을 확대했습니다.
- 어제 워싱턴에서 열린 회의 후 EU 관리자들이 상호 관세가 "20% 수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FT 보도도 있었습니다.
- 자동차 관세는 곧 발표될 예정입니다
- NEXT👉
내일은 실업수당청구건수, 4분기 국내총생산(GDP), 도매재고 등이 발표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플레이 볼"을 외친 만큼 새로운 관세 정책에 이목이 집중될 것입니다

'뉴스로 배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3월29일 (1) | 2025.03.28 |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3월28일 (2) | 2025.03.28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3월24일 (0) | 2025.03.24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3월23일 (1) | 2025.03.23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3월21일 (1) | 2025.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