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2월14일
오늘의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5.02.14) U.S.Market
- 02/14 미 증시, 물가 불안 완화 및 상호관세 4월 이후 시행 소식에 상승 확대
- 상호 관세는 행정명령이 아니라 각서 (memorandum) 인 점, 당장 시행이 아니라 4/1 시행이라 협상할 시간이 많이 남은 점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 더불어 우크라이나-러시아 정전 분위기가 무르익은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어제 CPI 와 오늘 PPI 까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면서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가 일었으나 이역시 PCE 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은 크게 상승하지 않은 점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 시장이 좋은 점들만 선택적으로 보며 시장을 상승으로 이끌었음.
-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 뉴욕증시 3대 증시 일제 상승…나스닥 1.50%↑
- 뉴욕증시, 상호 관세 불확실성 제거에 `반색`…나스닥 1.5%↑ 마감
- 트럼프 상호관세 즉각시행 보류...뉴욕증시 일제히 상승
- 뉴욕증시,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여지에 ‘반색’…다우 0.8%↑
- 美 1월 CPI, 예상치 상회···연준 올해 금리 인하 중단↑
- 미국-러시아-우크라이나, 14일 뮌헨안보회의 회동
- 트럼프 美 대통령, 상호관세 서명
- 트럼프 상호 관세, 4월부터 나라마다 차등 부과… 백악관 “한국도 미국 이용”
- 日 혼다·닛산, 합병 없던 일로…글로벌 3위 목표 무산
- “머스크 영향력 커질 것” 테슬라, 정책 기대감에 주가 6% 반등
- 머스크 특혜논란에…美국무부, '테슬라 장갑차' 구매 계획 보류
- 머스크, "1~2주 내 Grok-3 출시 예정" - 몇 주 내 GPT-4.5, Claude 4, Llama-4-mini, Grok-3를 보게 될 듯
- 게임스톱, 비트코인 투자 검토 중
- 코인베이스 지난해 4Q 매출 $23억... 예상치 대폭 상회
- [뉴욕 코인시황/마감] PPI·상호관세 소화하며 횡보 … 비트코인 9.6만달러 부근 안정세
- 미 증시는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 후 국채 금리 큰 폭 하락과 달러 약세에 힘입어 상승 출발.
- 특히 최근 변화가 컸던 테슬라(+5.77%), 엔비디아(+3.16%)가 상승을 주도.
- 여기에 일부 언론에서 상호 무역의 실제 시행은 4월 1일이 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상승이 확대.
- 한편, 오후 들어 트럼프의 상호 무역 관련 부과가 아니라 연구에 대한 메모를 발표해 시장에 안도감을 높였고 여기에서 실제 시행이 4월 2일부터 시작할 것을 언급하자 상승이 확대(다우 +0.77%, 나스닥 +1.50%, S&P500 +1.04%, 러셀2000 +1.17%,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29%)
- *변화 요인: 생산자 물가지수, 상호 관세 부과 관련
-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0.35%(전월 0.5%)로 둔화된 가운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생산자 물가지수도 전월 대비 0.30%(전월 0.4%)로 둔화.
- 주목할 부분은 세부 내용에서 헬스케어 부문이 전월 대비 0.10% 감소한 가운데 항공여객 서비스가 0.3% 하락하는 등 운송 서비스가 0.11% 상승에 그쳤고, 보험도 0.04% 상승에 그침.
- 여기에 중간수요에 대한 서비스 가격이 0.2% 감소로 전환하는 등 세부적인 생산자 물가가 약한 모습.
- 전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후 물가에 대한 우려를 높였지만 이를 약화 시켜 달러 약세, 국채 금리 큰 폭 하락, 주요 지수 상승
- 이런 가운데 징 초반 트럼프가 현지시각 오후 1시에 상호 관세에 대한 발표를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 일부 언론에서 이번에 발표되는 새로운 관세는 즉각 발표가 되지 않고, 수개월의 유예기간을 가진 후 4월 1일에 시행될 것이라고 보도.
- 이에 달러화 약세, 국채 금리 하락, 주식시장 상승 확대
- 한편, 트럼프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이 아닌 연구를 위한 메모랜덤(대통령의 지시)에 서명.
- 이후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VAT(부가가치세)도 관세로 간주될 것이라고 발표.
- 루트닉 상무장관이 관련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언급. 이번 관세는 보조금과 환율 조작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
- 또한 철강과 알루미늄은 별개이며 자동차와 반도체, 제약도 별개의 사안이며 자동차 관세가 곧 부과될 예정이라고 언급.
- 이번 조치로 물가가 다소 오를 수 있지만, 일자리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금리는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
- 또한 '보편적 관세'는 배제하지 않지만 먼저 '상호관세'로 시작 할 것이라고 주장.
- 더불어 트럼프는 대만이 미국의 칩 사업을 앗아갔다고 언급하고 백악관 관계자는 EU, 일본, 한국이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
- 루트닉 상무장관은 VAT는 일종의 수출 보조금이라고 주장. 관련 사안은 4월 1일까지 모든 연구가 종료돼 4월 2일 이후 상호 관세가 시작 될 수 있다고 발표.
- 관련 내용에 상호 관세가 즉각적인 내용이 아니라 4월에 시작한다는 점에 안도.
- 결국 트럼프의 관세에 대해 집행보다는 협상 카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이번 발표로 더욱 확고히 했다고 볼 수 있음.
- *특징 종목: 엔비디아, 테슬라 상승
- 앤바다어(+3.16%)는 HP엔터프라이즈(+0.90%)가 블랙웰 제품군으로 구동되는 솔루션 출하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특히 액체 냉각 기술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고 있는 HPE의 관련 제품 출시는 향후 엔비디아 제품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높임.
- 경쟁 업체인 브로드컴(-0.23%)와 AMD(+0.08%)는 보합권 등락.
- TSMC(-2.20%)는 관세 부과 우려와 트럼프가 대만 반도체 업체가 미국것을 빼앗아갔다고 언급하자 하락 확대.
- 인텔(+7.34%)은 최근 반스가 AI 산업에서 미국내 기업 위주로 칩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 TSMC에 대한 피 인수설 등이 이어지며 오늘도 급등.
- 마이크론(+4.34%)은 웰스파고가 HBM의 도전과 전략적 성장 회복력을 이유로 매수 의견을 언급하자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29% 상승.
- 테슬라(+5.77%)는 최근 머스크의 정치 활동, OpenAI, 자율주행 경쟁, 부진한 실적, 위축된 1월 판매량으로 하락을 이어왔지만, 전일에 이어 주식옵션 거래 등 수급적인 요인에 힘입어 큰 폭 상승. 특히 미 행정부의 장갑전기차량 4억 달러 규모의 계약 검토 소식, 인도 모디 총리와의 회담에서 트럼프가 머스크와 동행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인도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장중 자동차 관세 면제는 없다는 트럼프의 발언에도 영향은 제한.
- 리비안(+6.57%), 루시드(+13.59%)도 큰 폭으로 상승. 특히 루시드가 구동장치와 배터리, 전력 전자 장치를 개발하는 Dlala를 수석 부사장으로 승진시키자 관련 부문에 대한 기대가 확대된 점이 영향.
- 양호한 실적을 발표했던 퀀텀스케이프(+7.04%)와 앨버말(+3.46%)도 상승 하는등 2차전지 관련 기업들도 실적 발표 후 상승.
- 오로라 이노베이션(+46.05%)은 2025년에 무인트럭을 배치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큰 폭으로 상승.
- 애플(+1.97%)은 팀 쿡 CEO가 2월 19일 아이폰 SE 출시 암시하자 상승. 여기에 AI 산업에서 관련 자본지출이 확대되지 않은 가운데 AI 산업을 이용한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
- MS(+0.37%), 아마존(+0.63%), 알파벳(+1.32%)등은 클라우드 매출 부진 우려를 반영하며 하락하기도 했지만,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후 상승 전환.
-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기업인 패스트리(-20.85%)가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 발표 및 분기와 2025년 전망을 발표하자 큰 폭 하락한 점이 대형 기술주 장 초반 하락 요인.
- 더불어 데이터독(-8.24%)도 부진한 올해 전망발표로 하락한 점도 영향. 메타(+0.44%)는 최근 상승에 따른 매물 출회되며 하락하다 장 후반 상호관세 우려 완화로 19일 연속 상승.
- ARM(+6.06%)은 새로운 반도체 프로젝트의 첫 고객으로 메타를 확보했다는 소식에 상승한 반면, 메타는 영향이 제한
- 클라우드스트라이크(+4.40%)는 트러스트가 강력한 AI 기반 성장을 언급하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자 상승.
- 팔로알토(+2.62%), 포티넷(+2.12%), 클라우드플레어(+2.12%)등 사이버 보안회사들도 상승. 다만, 장 마감 후 팔로알토가 부진한 실적 발표로 5% 하락하자 대부분 부진.
- 시놉시스(+3.65%)는 차세대 반도체 및 설계 혁신 촉진을 위한 하드웨어 지원 검증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는 소식에 상승.
- 비트코인 하락에 마이크로스트레티지(-0.58%)는 하락한 반면, 코인베이스(+8.44%)는 로빈후드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급증했다는 소식에 큰 폭 상승.
- 라이엇 플랫폼(+9.59%)은 비트코인 채굴 자산을 AI로 전환한 경험이 있는 자문위원을 임명 했다는 소식에 급등. 이를 통해 AI 및 소성능 컴퓨팅 분야의 잠재적 기회를 얻을 것으로 시장은 기대.
- 노보노디스크(-3.62%)는 지난 일요일 슈퍼볼에서 GLP-1 기반 경쟁사 중 하나인 힘스 앤 허스 헬스케어(+27.71%)가 노보노디스크를 비판 후 지속적으로 하락.
- 힘스 앤 허스는 급등.
- 일라이릴리(-0.13%)는 소폭 하락. 체중 감량제에 비판적인 케네디의 보건복지부 장관 승인 소식도 영향.
- 화이자(+0.67%), 바이오엔텍(+9.73%), 모더나(+4.54%)등은 최근 케네디 보건복지부 장관 지명 우려로 부진을 보여왔지만 상원에서 통과됐음에도 상승. 시장에서는 백신에 대한 긍정적인 발언, 최근 하락에 따른 선반영 등을 기반으로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 여기에 모더나는 13F에서 일부 투자사가 신규 주식 매입 소식도 영향.
- 템퍼스AI(+13.36%)는 일부 연구기관과 연구를 발표한 데 힘입어 상승.
- 슈뢰딩거(+2.39%), 깅코 바이오웍스(+9.98%)등 AI 활용한 바이오 관련 기업들도 동반 상승.
- 웨스트 파마슈티컬(-38.22%)은 부진한 실적과 전망 발표로 큰 폭으로 하락.
- 로빈후드(+14.11%)는 암호화폐 거래 매출이 700% 이상 상승하며 예상을 크게 상회한 실적 발표하자 큰 폭으로 상승.
- 반면, 개인투자자 중심의 SNS 플랫폼 회사인 레딧(-5.32%)은 양호한 실적에도 활성 유저수가 예상에 미치지 못하자 하락.
- 광고 기술회사인 트레이드 데스크(-32.98%)는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자 큰 폭으로 하락.
- 농기계업종 디어(-2.17%)는 전년 대비 급감한 실적 발표로 하락.
- 또 다른 기계 업종 캐터필라(+0.47%)는 상승.
- 록히드마틴(-1.64%), 제너럴 다이나믹(-2.06%)등 방위업종은 트럼프가 중국, 러시아와 군사비 지출에 관해 회담을 할 것이라고 언급하자 하락
2월 14일 시황. 트럼프 관세, PPI 우려가 '안도'로 바뀌며
- 관세 뉴스, PPI 이어진 가운데 기술주 강세에 상승
- 개장 전 나온 생산자물가지수는 예상 상회
- 1월 헤드라인 전년 3.5%, 전월 0.4%. 예상 3.2%, 0.3%
- 근원은 3.6%, 0.3%. 예상은 3.3%, 0.3%였음
- 상품 지수 0.6%로 큰 영향. 서비스 지수는 0.3%로 낮아짐
- 12월 수치 보다는 낮았고 PCE 적용되는 항목은 오히려 하락
- 무난한 수준으로 평가되며 국채 금리 하락
- 관세 뉴스 나왔지만 시행 시점이 당장 아니라는 점에 '안도'
- 트럼프는 모든 국가들에 상호관세 부과하는 행정명령 서명
- 4월 1일까지 검토 후 국가별로 다룰 것. 차등적인 관세율 시사
- 자동차 관세 역시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발언
- 소비자 가격 상승할 수 있으나 일자리 늘어날 것라고
- 관세 부과 폭, 정확한 시점은 공개되지 않은 점 주목
- 이 역시 협상용으로 평가하며 일단 '안도'하는 모습
- 날짜 줄테니 국가별로 알아서 카드 준비하라는 의미
- 한편 반도체법은 조건을 일부 변경하는 것 검토한다고
- 계약 조건 변경. 몇몇 보조금 재협상 계획
- 다만 기존 계약에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음
- 전쟁 리스크 완화에 따른 긍정적 효과 기대감도
- 곡물 가격, 유가 끌어 올렸던 요인이 제거되는 것
- 유럽 정세 안정에 유로화 상승, 달러 하락 가능성
- 엔비디아 등 주요 빅테크주 오르며 지수 견인
- 엔비디아는 HPE에서 블랙웰 기반 솔루션 첫 출하에 강세
- Arm. 메타를 첫 고객으로 하는 자체칩 출시 보도에 상승
- 테슬라는 규제 완화 기대, 오픈AI 인수 철회 가능성에 상승
- 오픈AI가 비영리 조직으로 남으면 인수 진행 안 할 것
- 트럼프가 국방비 지출 줄일수 있다고 언급하자 방산주 하락
- BNP파리바. 노동, 기대인플레. 관세 등 인플레 불안 요인
- 반면 최근 인플레 악재에도 시장 버티는 점 주목
- 야후. 미시건대 기대인플레, 전일 CPI에도 시장 방어
- 여전한 추가 인하 기대. 인상 주장도 전제가 깔린 것
- 파이퍼샌들러. 중국과 무역마찰시 대형 IT주 피해
- IT 업종 매출 중 14% 중국에서 발생. 반도체 20%
- 에너지, 소비재, 자동차 등도 중요한 리스크 노출
장중움직임이 있는 종목
- 로빈후드
— 디지털 거래 플랫폼의 주가는 예상보다 강력한 4분기 매출에 따라 11% 상승했습니다. Robinhood는 이 기간 동안 10억 1,000만 달러의 매출을 보고했으며,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의 합의 추정치인 9억 4,460만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 하네스브랜드
— 4분기 매출이 기대치에 못 미치고 CEO 스티브 브랫스피스가 2025년 말까지 사임 할 것이라고 발표한 후 의류 주식은 약 18% 하락했습니다 . 이 기간 동안 Hanesbrands는 FactSet에서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했던 8억 9,920만 달러보다 낮은 8억 8,85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 웨스트제약 서비스
— 회사가 전체 연도에 대해 예상보다 약한 지침을 발표한 후 주가가 약 34% 폭락했습니다. West Pharmaceutical Services는 조정된 수익이 주당 $6에서 $6.20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FactSet에서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은 주당 $7.45를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이 기간의 수익 측면에서 회사는 $28.8억에서 $29.1억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합의 추정치인 $30.4억보다 낮습니다. - 엔비디아
— Hewlett Packard Enterprise가 첫 번째 Nvidia Blackwell 시스템을 출하 했다고 발표한 후 인공지능 칩의 달링이 3% 이상 상승했습니다 . Hewlett Packard Enterprise 의 주가는
처음에는 이 소식에 상승했지만, 최근 주가는 침체되었습니다. - Trade Desk
— 디지털 마케팅 회사의 분기 매출과 전망이 부진한 데 이어 주가가 약 33% 폭락했습니다. Trade Desk의 4분기 매출은 7억 4,100만 달러로 LSEG 합의 7억 5,900만 달러를 밑돌았습니다. 현재 분기의 매출 전망은 최소 5억 7,500만 달러로 5억 9,200만 달러 추정치보다 낮습니다. - 앱러빈
— 4분기 실적이 월가 추정치를 넘어선 후 주가가 26% 급등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 회사는 매출 13억 7천만 달러에 주당 1.73달러를 벌었고,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은 매출 12억 6천만 달러에 주당 1.24달러의 수익을 예상했습니다. - MGM 리조트
— 리조트 및 카지노 운영자는 뛰어난 수익 보고서 이후 주가가 17% 이상 급등했습니다. MGM은 LSEG에 따르면 4분기에 43억 5천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합의 추정치인 42억 7천만 달러보다 높았습니다. 이 회사는 또한 공동 소유의 온라인 스포츠 베팅 서비스인 BetMGM이 올해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합니다. - 레딧
— Reddit의 4분기 사용자 수가 분석가의 기대치를 밑돌 면서 주가가 7% 이상 폭락했습니다 . 일일 활성 고유 방문자 수는 평균 1억 170만 명이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39% 증가를 의미하지만 StreetAccount의 합의치인 1억 310만 명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Reddit은 이 기간 동안 매출과 순이익에서 모두 앞서 나갔습니다. - 디어
— 농업 기계 제조업체의 회계 1분기 보고서가 수요 감소를 반영한 후 주가가 2% 하락했습니다. 수익은 추정치를 상회했지만 매출은 미달했습니다. LSEG에 따르면 Deere는 매출 85억 1,000만 달러에 주당 3.19달러를 벌었고, 추정치는 매출 77억 달러에 주당 3.11달러를 벌었습니다. - 바클레이스
— 회사가 2025년에 대한 실망스러운 지침을 발표한 후 미국 상장 주식은 약 5% 하락했습니다 . - 더치 브라더스
— 커피숍 체인은 강력한 4분기 실적과 매장 동일 매출을 발표한 후 27% 이상 급등했습니다. Dutch Bros는 품목을 제외하고 주당 7센트를 벌어들였고, 매출은 3억 4,300만 달러였습니다. 반면 LSEG가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은 주당 2센트의 이익과 3억 1,800만 달러의 매출을 예상했습니다. 이 회사는 또한 연간 매출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제공했습니다. - 몰슨 쿠어스
— 이 음료 회사가 4분기 조정 순이익이 주당 1.30달러로 FactSet에서 조사한 애널리스트의 예상 순이익 1.13달러를 넘어선 후 주가가 7% 이상 급등했습니다. 매출은 27억 4천만 달러로 합의 추정치인 27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Molson Coors는 FactSet에 따르면 애널리스트가 예상한 3% 성장률에 반해 연간 순이익이 높은 한 자릿수 속도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소니
— 일본 전자 및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미국 상장 주식은 강력한 회계 3분기 보고서 이후 5% 상승했습니다. 소니는 4조 4,100억 엔의 매출로 3,737억 엔을 벌었습니다. StreetAccount에 따르면 분석가들은 3조 7,640억 엔의 매출로 2,940억 8,000만 엔의 이익을 예상했습니다. 소니는 또한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2/14(금) 국내
● 세계
· 속보 트럼프 ‘상호 관세’에 비관세장벽도 반영…“자동차 관세도 곧 발표”
· 美 소비자물가지수 3.0% 상승… 韓 가공식품물가도 2.7% 급등
· 日 ‘세기의 합병’ 무산…혼다·닛산, 통합 협의 무산
● 정치
· 與 “교원 정신질환 검사 의무화”…‘하늘이법’ 추진
· 헌재 속도전 ‘심판 불복’ 빌미 우려에 尹측 증인채택 검토 尹 탄핵심판
· 속보 정부 "北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일방 철거중…즉각 중단해야"
● 경제
· 롯데관광개발,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 달성했다
·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 사임…송영숙 회장, 대표 선임
· '금 투자 광풍'에 사라진 골드바...비상 걸린 제조현장
● IT, 과학
· 카카오 "오픈AI와 개발 'AI 에이전트' 연내 공개 목표"컨콜 종합
· 컴투스홀딩스, 지난해 영업손실 481억원…"적자 지속"
· '4조 클럽' 가입한 넥슨, '카잔' 등 대형 신작 줄줄이 대기
● 사회
· 서울시 "시 공무원 명의 해킹 메일 확인…北 해커 의심"
· 항소심도 故박원순 시장 성희롱 인정…"인권위 결정 타당"
· '배현진 습격' 중학생, 오늘 1심 결론…'심신미약' 인정될까
2/14(금) 주요 언론
(조선)
- 1면 : 우크라 ‘빈손 종전’ 서두르는 트럼프
- 1면 : “홍장원 메모, 내용·장소 신뢰성 의문”
- 1면 : 미국에만 유리한 ‘상호관세’ 눈앞에
- 사설 ① : 민주당은 감사원 농단, 헌재는 재판 방치
- 사설 ② : ‘홍장원 메모’ 작성 시간·장소 모두 거짓, 진위 밝혀야
- 사설 ③ : ‘전 국민 25만원 중단’도 유턴, 이 대표는 어떤 사람인가
(중앙)
- 1면 : 살다살다 금 품절사태, 김치 프리미엄 20%까지 붙었다
- 1면 : “의원들 끌어내라 지시 받았다” 국회 계엄군 현장지휘관 증언
- 사설 ① : 헌재는 헌정질서 최후의 보루…‘흠집’도 ‘흠결’도 안 된다
- 사설 ② : 관세 파고 높지만 ‘한·미 산업동맹’에서 활로 찾아야
(동아)
- 1면 : 헌재, 尹 탄핵 심판… 이르면 3월초 선고
- 1면 : 이재명의 ‘전국민 25만원’ 이름만 바꿔 추경案에 포함
- 1면 : ‘韓 AI인재’ 노리는 딥시크, 스카우트 전쟁
- 1면 : 피겨 김채연 亞게임 金, 차준환도 金
- 1면 : 트럼프, 푸틴과 통화 “우크라 종전협상 즉각 시작”
- 사설 ① : 민주당 35조 추경안, 李 포기한다던 ‘전국민지원금’이 13조
- 사설 ② : ‘대장동 3억 수수’ 박영수 1심 징역 7년… 이 정도로 덮이고 마나
- 사설 ③ : 의대 3곳 ‘불인증 유예’… 졸속 증원으로 신입생도 못 뽑을 판
(경향)
- 1면 : 조성현 “이진우에 의원 끌어내라 지시받아”
- 1면 : 트럼프식 ‘우크라 종전’ 시동…“미·러, 즉시 협상 시작 합의”
- 1면 : 북,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도 철거…남북 단절 심화
- 1면 : 김채연 금빛 연기, 하얼빈 빙판 물들이다
- 사설 ① : 윤석열이 안중근인가, 일제 순사보다 못한 현직 검사장
- 사설 ② : 강남 토지거래허가 해제, ‘집값 들썩’ 불쏘시개 우려한다
- 사설 ③ : 이산가족면회소 철거, 인도주의 교류도 끊긴 ‘적대국 남북’
(한겨레)
- 1면 : 트럼프-푸틴, 우크라 빼고 종전 협상한다…세계질서 변화 예고
- 1면 : 통일부 “북,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철거”
- 1면 : 살해 암시 ‘노상원 수첩’에 문재인·유시민 등 500명…“확인사살”
- 사설 ① : ‘트럼프 관세’ 중소기업도 직격, 정부 차원 지원해야
- 사설 ② : ‘탄핵 공작’ 주장에 ‘민주당 기획설’로 떠받치는 권영세
- 사설 ③ : 궤변·거짓말 얼룩진 탄핵심판, 헌재 이젠 결단 내려야
(한국일보)
- 1면 : 트럼프·푸틴 "종전 협상 개시 합의"... 우크라 '배제', 세계 안보 질서 '요동'
- 1면 : 이재명 '25만 원' 이름 바꾼 '소비쿠폰'... 野 추경안에 與 "대선 노린 포퓰리즘"
- 1면 : 尹 측, 탄핵심판 막판까지 '헌재 흔들기'... 18일 추가 변론기일
- 1면 : 김부겸 "이재명도 '임기 단축 개헌' 대국민 약속해야"
- 사설 ① : 위험 교사 걸러내는 ‘하늘이법’ 급물살… 낙인 부작용 없도록
- 사설 ② : 군함 건조 급한 미국, K조선 기회 살리길
- 사설 ③ : '전 국민 25만 원' 다시 꺼낸 민주당, 추경하지 말자는 건가
※ 2/14(금) 키워드 : 민주당·추경·이재명·전국민25만원 / 트럼프·푸틴·종전협상
- 트럼프 상호관세 도입 서명
- - 4월 1일까지 각국별 검토 마치겠다고 발표. 실질적인 관세 적용은 그 이후가 될것
- -트럼프는 상호(reciprocal) 관세 부과를 위한 플랜을 지시
- -미국 상무부에 의하면 플랜은 4/1일까지 완성될 예정이며 부과 대상 국가별로 조치를 취할 계획(국가별로 관세율이 다르다는 의미)
- -일반적인 관세를 비롯해 VAT(부가가치세)와 같은 비 관세(non-tariff) 조치에도 대응할 것을 지시. 미국 테크 기업들에 부과한 Digital Service Tax도 해당되며 인위작으로 환율을 조정하거나 임금을 닞추는 조치도 대응 대상
- -해당 조치를 통해 각 국가들에게 협상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했다는 평가. 미국 주식 시장 상승, 달러 약세
- -실제로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들이 관세를 내리면 같이 내릴 의향을 가지고 있다’라는 스탠스를 전달
- -다만 상호 관세와는 별개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는 검토 중
🇺🇸 美증시 Summary
- 물가지표를 소화한 미증시는 트럼프의 상호 관세 협상 여지에 희망을 보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 어제 CPI와 마찬가지로 생산자물가지(PPI)도 예상치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그러나 시장은 0.7%에서 0.3%로 낮아진 개인소비 인플레이션의 둔화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 연준의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는 PCE이며, 이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소(금융 및 의료 서비스)만 살펴보면 인플레이션이 우려스럽지 않다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 WSJ은 최신 수치를 사용해보면 1월 핵심 PCE는 2.5%~2.6%로 12월의 2.8%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이날 발표된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지난주 대비 감소하면서 견조한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 국채금리는 어제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소재가 초반 증시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 앨버말, 듀폰, 스머핏 웨스트록, 에코랩이 실적 발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IT도 반등하며 강세를 보였는데 (⚡️휴랫팩커드가 엔비디아 블랙웰 칩을 사용한 솔루션을 발표한 후 NVIDA의 주가는 +3.16% 올랐습니다/
- ⚡️인텔은 TSMC와의 파트너십 가능성으로 +7.34% 상승했습니다)/
- 📍ARM홀딩스는 자체 칩 출시 계획을 발표하며 8% 급등했습니다/
- ARM홀딩스는 고객으로 메타를 이미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호텔, 여행, 식당 업종이 상승했고 건설업종도 대부분 오름세를 보였으며 케네디가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확정되면서 헬스케어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 ⚡️트럼프의 국방비 감축 가능성 발언 후 국방주는 비교적 부진했습니다
- 🔉🇺🇸이날 트럼프의 발언을 살펴보면 상호 관세가 공정성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우리는 동등한 경쟁 환경을 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지난번 유럽이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관세 인하를 협상 카드로 준비 중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이날 트럼프는 아직 수치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유럽이 미국에 대한 관세를 2.5%p 인하할 것으로 보여 이는 '큰 승리'라고 말했습니다/
- 미국은 모든 국가와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들이 원한다면 관세를 낮추는 데 기꺼이 나설 것이라고 했습니다
- 이어서 상호 관세는 일단 철강, 자동차, 의약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고/
-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브릭스를 향해서는 달러로 장난치면 관세는 최소 100%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 ▶️ "어떤 나라가 너무 높은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고 느낀다면, 그들이 해야 할 일은 우리에게 적용하는 관세를 낮추거나 없애는 것뿐이다/
- 미국에서 제품을 제조하거나 만드는 경우에는 관세는 없다."
- 🗞기타이슈로는 🍎팀쿡이 2월19일 신제품 출시를 암시하는 SNS글을 올렸습니다
-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에어비엔비는 호실적을 내놓으며 시간 외에서 +10% 이상 상승 중입니다
- NEXT👉
소매판매, 수출입가격, 산업생산 데이터가 발표됩니다/ 글로벌로는 인도와 독일의 PPI, EU GDP 수정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연준 인사들의 발언도 이어지며/ 뮌헨 안보 회의에서는 러·우 평화를 다룰 것으로 보입니다
2/14(금) 지난밤 글로벌 뉴스
1, 2월 13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 관세 조치를 시행하는 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가가치세 제도를 사용하는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다른 국가를 통해 상품을 배송하는 관행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의 상무부 장관 후보자인 하워드 러트닉은 백악관에서 상호 관세 조치가 4월 2일부터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2, 미국 증시는 목요일 나스닥 1.5%, S&P 500 1.04%, 다우 0.77% 상승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메타는 19거래일 연속 상승했고, 총 시가총액은 1조 850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계속 경신했습니다. 인텔은 7% 이상 상승하며 작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나스닥 중국 골든 드래곤 지수가 1.20% 상승하는 등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대부분의 유럽 증시가 상승했고, 독일 DAX 30 지수는 2.09% 상승하며 나흘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코멕스 금 선물은 0.99% 상승하여 $2,950을 넘어섰고, 코멕스 은 선물은 0.76% 상승한 온스당 $33.035에 마감했습니다.WTI 3월물 원유 선물은 0.11% 하락한 배럴당 $71.29에, 브렌트유 4월물 원유 선물은 0.21% 하락한 배럴당 $75.02에 마감했습니다.
4.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 공보실장은 13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협상에서 미국을 주요 대화 상대로 간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푸틴과 트럼프가 언제 서로를 방문할지에 대해 이야기하기에는 너무 이르며 푸틴과 트럼프의 만남은 준비하는 데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것입니다.
5, 팀 쿡 애플 CEO는 2월 19일 소셜 미디어 X에 올린 글에서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여러 차례의 폭로와 새로운 iPhone SE의 출시와 함께 말이죠.
6, 이 문제에 익숙한 사람들은 애플이 새로운 파트너인 알리바바 그룹과 손을 잡았지만 여전히 중국 아이폰 사용자의 인공 지능 기능을 바이두와 공동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7일, 베조스의 블루 오리진 최고 경영자는 전체 전화 회의에서 전사적으로 인력의 "약 10%"를 감축하고 우주 및 발사 운영을 정비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8일, 유럽 안경 제조업체인 Essilor Lucentica의 CEO 프란체스코 밀러리는 내년 말까지 연간 1천만 쌍의 생산량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Ray-Ban Meta 스마트 안경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9, 베트남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 VinFast의 2024년 연간 글로벌 배송량은 총 97,399대로 수정된 8만 대 배송 예상치를 초과했으며, VinFast는 올해 연간 글로벌 배송량을 최소 두 배 이상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10, 미국...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13,000건으로 예상치 216,000건, 그 전의 219,000건과 비교했을 때 213,000건을 기록했습니다.
11, 목요일 (2 월 13 일), 마지막 거래일 인 67.820 억 달러 규모의 연준의 야간 역 환매 계약 (RRP)은 67.670 억 달러 (2021 년 4 월 이후 사상 최저치)를보고했습니다.
1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1월 아르헨티나의 물가상승률은 2.2%, 지난 12개월간 누적 물가상승률은 84.5%를 기록했습니다.
13, 노르웨이 국방부 장관은 2 월 13 일 (현지 시간) NATO가 북극 지역에 항공 작전 센터를 설립 할 것이며 센터는 노르웨이에 위치 할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 나토는 현재 스페인 토레온과 독일 독일에 두 개의 공동 항공 작전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4, 미국 해군은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2월 12일 저녁 이집트 포트 사이드 인근 지중해 지역에서 미국 니미츠급 항공모함 '해리 S. 트루먼'이 상선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사고 원인은 아직 조사 중입니다.
15,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지원 정책 전망에 힘입어 코인베이스의 회계연도 4분기 매출이 22억 7천만 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인 18억 7천만 달러보다 훨씬 높았으며 순이익도 12억 9천만 달러로 예상보다 높았습니다.
포르쉐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주펜하우젠과 바이작 공장에서 약 1,900명의 직원을 해고할 예정이며 2029년까지 해고할 예정이라고 포르쉐의 인사 책임자 안드레아스 하프너와 노조가 13일 밝혔다.

2/14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 Bloomberg
2/14개장전꼭 알아야할 5가지Bloomberg 1) 트럼프 상호관세 4월부터트럼프가 무역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교역 국가별로 상호관세 부과를 검토하도록 지시하는 내용의 조치에 서명.하워드 루
moneymaker1000.com
디지털 금융 기술 분야에서 미국 리더십 강화 행정 명령
디지털 금융 기술 분야에서 미국 리더십 강화 행정 명령 2025년 1월 23일 번역) 미국 헌법과 법률에 따라 대통령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경제적 자유를 보호하는 동시에 디지털
moneymaker1000.com
'뉴스로 배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15일 (0) | 2025.02.15 |
---|---|
2/14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 Bloomberg (0) | 2025.02.14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13일 (0) | 2025.02.12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12일 (1) | 2025.02.11 |
2/11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 Bloomberg (0) | 2025.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