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뉴스로
배우는세상
2025년10월26일

10/27 주간 이슈 점검: FOMC, 미-중 정상회담, 대형기술주 실적
* FOMC: 양적 긴축 종료 여부 주목
- 시장은 10월 FOMC에서 연준은 연방기금 금리를 25bp 인하할 것으로 전망.
- 이는 9월 FOMC 이후 연준 위원들이 고용 시장의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정책 스탠스의 재조정 필요성을 시사했기 때문.
- 다만, 일부 위원들은 관세 인상으로 인한 높은 관세를 지적하고 있어 신중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추가 인하에 대한 여지를 열어둘 것으로 전망.
- 이번 FOMC에서 금리 인하 여부보다 더 중요한 관심사는 양적 긴축(QT)의 조기 종료에 대한 논의.
- 시장은 당장 QT종료를 기대하고 있지만, 투자회사들은 연준이 단기 자금 시장 압력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IORB(지급준비금 이자)를 인하하는 기술적 조정을 단행하는 정도에 그칠 것으로 전망.
- 이처럼 QT 종료를 두고 엇갈린 모습이 나타나고 있어 결과에 따라 주식 및 채권 시장의 변화를 촉발 할 것으로 예상
- 한편,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노동 시장에 대한 우려를 다시 한번 강조할 것으로 전망.
- 최근 발언에서 언급했듯이 고용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되었다는 점을 들어 고용 시장의 하방 위험을 재차 강조할 듯.
- 더불어, 예상보다 견고한 성장 데이터와 고용 둔화 간의 괴리가 향후 통화 정책 경로를 결정할 주요 변수임을 언급하며, 연준이 정책을 신중하게 조정할 것을 시사.
- 특히, 파월 의장이 양적 긴축(QT) 시점에 대해 어떤 신호를 주는지 여부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판단
* 미-중 정상회담
- 10월 31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의 정상 회담이 있음.
- 주요 의제는 무역 및 관세 문제가 중심이며, 미국 측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해제와 미국산 대두 수입 재개를 , 중국은 관세 인하와 중국 기업에 대한 수출 통제 및 제재 해제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
- 이 외에도 펜타닐 문제, 핵 군축, 대만 문제 등 비경제적 사안까지 논의도 있을 것으로 판단.
- 시장은 양국 갈등이 높아져 있는 만큼 관계의 안정화 및 갈등의 완화 등 상징적인 의미 정도 합의될 것으로 전망.
- 다만, 핵심 쟁점에 대한 근본적인 합의보다는 상호 입장을 재확인하는 수준에 그치거나, 첨단 기술과 같은 민감한 분야에서는 구체적인 합의 도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또한 있음.
- 미-중 갈등 완화에 대한 기대는 시장에 많은 부분 반영이 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합의가 나오지 않을 경우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
* 대형기술주 실적: 수익화 논란 해소 여부 주목
- 애플(AAPL)은 이번 실적 발표에서 서비스 부문의 견고한 성장세와 대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의 지속 여부에 주목.
- 특히 서비스 매출 증가율이 컨센서스 전망치를 계속 상회하는지, AI 투자 및 맞춤형 Siri 등 장기 성장 전략 여부등을 주목
- 알파벳(GOOG)은 구글 클라우드의 시장 점유율 확대 모멘텀과 앤트로픽과의 TPU 계약에 따른 영향이 핵심.
- 주의할 부분은 광고 부문에 제미나이가 통합된 후 실제 검색과 광고 수익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투자로 인한 클라우드 부문의 마진 개선 추세가 훼손되지 않는지 여부.
- MS(MSFT)는 Azure의 성장 가속화 여부가 가장 중요한 동력이며, 시장의 이목은 AI 워크로드 수요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애저가 가이던스를 달성하는지 여부에 주목.
- 특히 설비투자의 규모와 수익성 간의 균형에 집중해야 함. 신규 투자 규모와 수익화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도 중요
- 아마존(AMZN)은 미국 소매 부문의 물류 효율화에 따른 영업이익률 확대 추세가 지속되는지와 고마진 사업인 AWS 및 광고 부문의 성장률이 핵심.
- 주목할 부분은 관세 리스크 등 단기 불확실성이 아닌, AWS의 대규모 장애 등이 아닌 장기적인 이익 성장 가능성을 시장이 어떻게 평가하는지와, 고마진 사업의 기여로 인해 전체 EPS 증가율이 매출 성장률은 어떻게 되는지 가 중요.
- 메타 플랫폼(META)은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와 그로 인해 광고 수익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줬는지 수익화 논란에 대한 부분이 중요.
- 시장은 메타는 코어위브등과의 대규모 계약을 하는 등 AI 인프라 집행력을 강하게 드러낸 만큼 이번 분기에서도 대규모 투자를 기대
*요일별 주목할 이슈
- 월요일(27일): 미-중 무역협상 사전협상 결과
- 화요일(28일): 소비자신뢰지수, APEC CEO 서밋
- 수요일(29일): MS, 알파벳, 메타 실적 발표
- 목요일(30일): 애플, 아마존 실적 발표
- 금요일(31일): 미-중 정상회담
*주간 주요일정
- 10/26(일)
미-중 정상회담 사전 협상
유럽, 서머타임 해제 - 10/27(월)
독일: IFO 기업환경지수
중국: 중국 공업이익
미국: 내구재주문, 신규주택매매
채권: 미국 2년물 국채 입찰, 5년물 국채 입찰
장후 실적: NXP세미(NXPI), 누코어(NUE) - 10/28(화)
한국: 3Q GDP 성장률, 소비자신뢰지수
미국: 소비자신뢰지수, 주택가격지수
채권: 미국 7년물 국채 입찰
회담: 유로존 재무장관희의
행사: APEC CEO 서밋
장전 실적: 유나이티드헬스(UNH), 넥스테라에너지(NEE), UPS(UPS), 소파이(SOFI), VF코퍼(VFC)
장후 실적: 비자(V), 부킹닷컴(BKNG), 시게이트(STX), 불룸에너지(BE) - 10/29(수)
일본: 소비자신뢰지수
회담: 유로존 재무장관 회담
은행: FOMC. BOC 통화정책회의
발언: 파월 연준의장
장전 실적: 캐터필라(CAT), 보잉(BA), 버라이존(VZ), UBS(UBS), CVS헬스(CVS)
장후 실적: MS(MSFT), 알파벳(GOOG), 메타(META), 서비스나우(NOW), KLA(KLAC), 스타벅스(SBUX), 카르바나(CVNA), 치폴레 멕시칸 그린(CMG), 이베이(EBAY) - 10/30(목)
유로존: 3Q GDP 성장률
미국: 3Q, GDP성장률
은행, BOJ, ECB 통화정책회의
발언: 우에다 BOJ 총재, 베일리 BOE 총재, 로건 총재
장전 실적: 일라이릴리(LLY), 마스터카드(MA), 머크(MRK), 알트리아(MO), 로블록스(RBLX)
장후 실적: 애플(AAPL), 아마존(AMZN), 코인베이스(COIN),스트레티지(MSTR), 길리어드사이언스(GILD), 웨스턴디지털(WDC), 레딧(RDDT), 퍼스트솔라(FSLR), 로쿠(ROKU) - 10/31(금)
일본: 산업생산, 소매판매
중국: 제조업, 서비스업 PMI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PCE 가격지수
발언: 보스틱, 로건, 해맥 총재
행사: APEC 정상회담, 미-중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장전 실적: 엑손모빌(XOM), 에브비(ABBV), 셰브론(CVX) - 11/01(토)
관세: 미국, 대 중 100% 추가 관세11월 1일) - 11/02(일)
미국 서머타임 해제

[뉴욕증시-주간전망]
- 그야말로 슈퍼위크…美中 정상회담·FOMC·빅테크 실적
- 이번 주(10월 27일~10월 31일, 이하 미 동부시간) 뉴욕 증시에는 그야말로 '메가톤급' 이벤트가 한꺼번에 몰아칠 전망이다.
- 월스트리트에서 가장 주목하고 있는 이벤트는 미국과 중국의 정상회담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오는 30일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연다.
- 두 정상의 발언 파급력은 말할 필요도 없다.
- 지난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반발해 대중(對中) 관세를 100% 올리겠다고 하자 뉴욕증시는 일제히 급락했다. 당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56% 빠졌다.
- 정상회담의 전초전 격인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무역 회담은 순항 중이다.
- 미 재무부는 스콧 베선트 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의 첫날 회담이 종료된 시점, "매우 건설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전했다.
- 미·중 정상회담만큼이나 시장이 주목하는 이벤트는 28~29일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다.
-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 정지(셧다운)로 중요 데이터가 공표되지 않는 상황에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현재의 경기를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특히,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은 꼭 챙겨봐야 한다.
- 시장은 FOMC가 연방기금금리(FFR·정책금리)를 25bp 인하할 것으로 전망한다.
- 이번 FOMC에서 양적 긴축(QT)도 종료되는지도 관전 포인트다.
- 연준이 QT 종료로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지 않는다면 이론적으로 '미 국채 금리 하락→증시 랠리'라는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 14일 QT 종료 시점에 대해 "우리는 향후 몇개월 내에 그 시점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판단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표들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 투자자는 이번 주 매그니피센트(M7) 가운데 다섯 곳의 실적을 마주하게 된다.
-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플랫폼(페이스북 모회사), 알파벳(구글 모회사) 등은 오는 29일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 애플과 아마존은 그다음 날인 30일 성과를 내놓는다.
- 월가에서는 이들 기업의 인공지능(AI) 관련 자본지출(CAPEX) 규모와 성과에 주목하고 있다.
- 웰스 인핸스먼트 그룹의 요시오카 아야코 포트폴리오 컨설팅 디렉터는 메타를 거론하며 "자본지출 둔화나 정체는 우려스러운 신호가 될 수 있지만,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며 "메타가 AI 지출을 줄인다면 그것은 곧 회사가 AI에 대한 야심을 접는 신호로 시장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 프리덤 캐피털 마켓의 글로벌 수석 전략가인 제이 우즈는 "다섯 기업의 실적, 그리고 3~4주 후 발표될 엔비디아 실적까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면서 "이것이 2025년 말까지 이어질 랠리의 기반을 마련하고 2026년에 대한 기대감을 형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이외에도 길리어드 사이언스·바이오젠·일라이릴리·머크앤코(이상 30일) 등 글로벌 바이오 기업도 실적을 들고 투자자를 찾는다.
- 미국 셧다운은 지난 1일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이에 따라 미국 노동부 상무부가 발표하는 핵심 지표는 여전히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 셧다운이 아니라면 9월 개인소비지출(PCE)과 3분기 국내총생산(GDP) 예비치 등이 발표될 예정이었다.
10/26(일) 국내
● 세계
· 트럼프 “캐나다에 관세 10% 추가 인상”
· 트럼프 “北, 핵무기 다수 보유…일종의 핵보유국이라 생각”
· 트럼프 "한미협상? 韓 준비되면 나도 준비돼"…美 제안 수용 압박
● 정치
·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부 차관, 사의 표명
· 장동혁 “도합 8억 아파트 6채 문제라면, 李 분당아파트와 바꾸자”
· 김용범 “APEC 계기로 무역 협상 타결? 갈 길 멀다”
● 경제
· 환율 어디까지 오를까 “단기 고점 1440원 선이지만…” 머니뭐니
· "천장 뚫은 실적"…삼성·SK하닉 얼마나 좋아질까반도체 슈퍼사이클③
· 주유소 휘발유 2주 연속 하락세…국제유가는 상승 전환
● IT, 과학
· MS 코파일럿 대규모 가을 업데이트…“AI, 사람 곁으로 더 밀착”
· LGU+, 금오공대 캠퍼스에 오픈랜 실증단지 확대 구축
· 박대리보고서 K-배터리, 3Q 실적 '희비교차' 되나…볕드는 양극재
● 사회
· 김민석 총리 "이태원 참사 이후 진상규명 미흡... 징계는 부실
· '이공계의 봄' 다시 올까…4대 과기원 수시 지원자 수 5년 만에 '최고'
· 건진은 왜 진술을 바꿨나..."전달만 했다" 강조
반응형

반응형
'뉴스로 배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10월27일 (0) | 2025.10.27 |
|---|---|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10월25일 (0) | 2025.10.25 |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10월24일 (0) | 2025.10.24 |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10월23일 (0) | 2025.10.23 |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10월22일 (0) | 2025.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