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되는정보

최고 연 7% 적금 신청하러가기

by 머니 메이커(MoneyMaker) 2024. 1. 27.
반응형
금융권은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특판 적금을
내놓고 있다.
최고 연 7% 적금을
소개합니다.


최고 연 7% 적금 신청하러가기

 

은행연합회 예금상품 금리 비교표 보러가기

 

우리은행

  • 연 7.0% 금리의 정기적금인 ‘우리퍼스트 정기적금’을 출시했다.
  • 모바일 앱으로만 가입할 수 있는 모바일 전용 상품이다.
  • 기본금리가 연 4.0%, 우대금리가 연 3.0%다.
  • 가입일 기준 직전 1년간 우리은행에서 정기 예·적금에 가입한 적이 없다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 만기는 1년이고 월 최대 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 지난 4일 20만 계좌 한정으로 출시 이후 2주 만에 ‘완판’(완전 판매)돼 판매 한도를 높였다.
 

목돈모으기상품 - 우리은행

 

spot.wooribank.com

 

 

신한은행

  • 기본금리 연 2.0%에 최대 연 3.0%포인트 우대금리를 더한 최고 연 5.0%의 ‘신한 슈퍼 쏠(SOL) 포인트 적금’을 판매하고 있다.
  • 우대금리는 신한카드 결제계좌 신한은행 지정 시 연 0.5%포인트, 마이신한포인트 1000포인트 이상 매달 입금 시 연 0.5%포인트(최고 연 2.5%포인트·최대 5개월 적용)를 제공한다.
  • 월 한도 30만원에 6개월 만기 상품으로 10만 계좌 한정 판매 중이다.
  • 신청하러 가기
 

신한은행 개인뱅킹

 

bank.shinhan.com

 

하나은행

  • 이달 말까지 대표 예·적금 상품인 ‘주거래하나 월복리 적금’과 ‘내맘 적금’ ‘하나의 정기예금’ 등 3종에 대해 금리 우대 쿠폰을 제공한다.
  • 하나은행 모바일 앱 ‘하나 원큐’에서 금리 우대 쿠폰을 받으면 우대금리를 얹어준다.
  • 주거래하나 월복리 적금은 최고 연 5.0%를 적용하고, 내맘 적금과 하나의 정기예금은 각각 최고 연 4.8%와 연 3.9% 금리를 제공한다.
  • 지방은행도 고금리 특판 적금을 선보였다.
  • 신청하러가기
 

(내맘) 적금

저축금액, 만기일, 자동이체 구간까지 내맘대로 디자인하는 DIY 적금

www.kebhana.com

 

대구은행

  • 다음달까지 연 최고 6% 금리를 제공하는 ‘더쿠폰적금’(월 한도 20만원)과 연 최고 4%의 ‘더 쿠폰예금’(계좌당 최대 5000만원)을 판매한다.
  • 모바일 앱 iM 뱅크를 통해 ‘혜택 알림용 앱 푸시’에 동의할 경우 쿠폰을 받아 가입이 가능하다.
  • 신청하러가기
 

DGB대구은행

소 · 중 · 청 따뜻한 금융 프로젝트 DGB대구은행 2024년 ‘지역상생 민생금융지원’ 추진 자세히보기 심플하게 시작하자 잘~츄린 iM뱅크 iM뱅크의 NEW모델 츄! 금융과 생활을 쉽고 편리하게 모바일

www.dgb.co.kr

 

 

전북은행

  • 연 최고 4.1% ‘새해다짐 특판 적금’을 출시했다.
  • 오는 3월 말까지 1만2000계좌 한정 판매한다.
  • 납입액은 월 1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6개월에 최고 연 4.05%, 12개월에 최고 연 4.10% 금리를 제공한다.
  • 신청하러가기
 

전북은행

 

www.jbbank.co.kr

 

 

하나저축은행

  • 연 최고 6% 이자를 주는 ‘잘파(Z+알파) 정기적금’을 내놨다.
  • 만 16세 이하 본인 또는 만 16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연 5%, 12세 이하 가입자 또는 12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연 6%를 적용한다.
  • 월 최대 10만원까지 3년간 납입할 수 있다.
  • 신청하러가기

 

IBK저축은행

  • 연 4.90%의 ‘청룡비상 정기적금’을 내놨다.
  • 월 최대 5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계약 기간은 12개월이다.
  • 신청하러가기
 

메인 | IBK저축은행

보이스피싱사기 주의 대출수수료 및 신용등급 상향비 입금, 고금리대출 받으면 저금리대출로 바꿔준다는 전화는 사기 전화입니다! 보이스피싱사기 바로가기 보호상품금융등록부 보호상품금융

www.ibksb.co.kr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 지난 1일 최대 연 7%의 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상품 ‘크크크777 정기적금’을 출시했다.
  • 오는 31일까지 매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777명씩 가입 신청을 받는다.
  • 7개월 만기로 매달 최대 2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다.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전용상품이다.
  • 신청하러가기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홈페이지

www.sangsanginplussb.com

 

 

고려저축은행

  • 다음 달까지 최대 연 5%의 금리를 주는 특판 상품 ‘GO BANK 정기적금’을 판매한다.
  • 가입 기간은 12개월이며, 월 최대 2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다.
  • 다만 한도가 소진되면 조기 종료될 수 있다.
 

고려저축은행

 

www.goryosb.co.kr

 

 

웰컴저축은행

  • 최대 연 6% 금리를 주는 정기적금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 연 2%의 기본 금리에 더해 예·적금 상품을 최초로 개설한 뒤 한 달 이내에 해당 적금상품에 가입하면 연 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 여기에 가입자의 신용점수(나이스신용평가 기준)에 따라 추가 우대금리를 준다.
 

웰컴저축은행, 웰컴디지털뱅크, 웰뱅, 대출, 햇살론, 중금리대출, 금리, 이자, 대환대출, 신용대

NO.1 디지털뱅킹 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신용대출, 담보대출, 예금, 적금, 카드도 웰컴디지털뱅크에서 간편하게!

www.welcomebank.co.kr

 

 

동양저축은행

  •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도 지난해부터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 18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79개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평균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39%로, 지난해 4월 말(1.61%)부터 꾸준히 오르고 있다.
  • 이날 기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정기예금 금리를 주는 곳은 광주광역시에 본점을 둔 동양저축은행이다.
  •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 온라인 전용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연 2.70%(1년 만기 기준)다.
 

동양저축은행

디지털뱅킹고객센터 24시간 365일 연중무휴

www.dysbank.com

 

 

저축은행이 잇따라 고금리 특판 상품

  • 지난해부터 돈이 저축은행으로 몰리며 예·적금 잔액도 100조원에 육박했다.
  •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상호저축은행의 수신 잔액(말잔)은 98조6800억원으로 지난해 4월(83조7100억원) 이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 저축은행이 잇따라 고금리 특판 상품을 내놓고 예금 금리를 올리는 것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이 예·적금 상품의 금리를 높인 데 따른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조치다.
  • 저축은행의 예·적금 금리는 더 오를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오는 4월부터는 저축은행 예대율(대출 등 여신 잔액을 예·적금 등 수신 잔액으로 나눈 비율)을 100%로 지켜야 한다.
  • 주요 수익원인 대출을 많이 내주려면 예금과 적금 등 예수금을 이전보다 더 확보해야 하는 셈이다.

 

적금 비교

적금_202401121319.xls
0.40MB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무제한교통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Q&A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23일부터 판매 신청 방벙과 Q&A 정리입니다.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 서울시가 23일부터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 판매에

moneymaker1000.com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년1월27일

2024년 1월 27일 오늘의 뉴스로 배우는 세상 2024.01.27 U.S.Market DOW ▲ 38,109.43 (0.2%) S&P500 ▼ 4,890.97 (-0.1%) NASDAQ ▼ 15,455.36 (-0.4%) RUSS 2K ▲ 1,978.33 (0.1%) PHLX 반도체 ▼ 4,342.10 (-2.9%) 미국 증시는최근 데이터

moneymaker1000.com

 

 

자동차세 연납 할인 혜택 및 신청 방법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누구나 자동차세를 매년 납부해야 하죠. 자동차세는 일반적으로 일 년에 두 번, 6월과 12월에 냅니다. 하지만 자동차세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일 년에 한 번, 일 년 치

moneymaker1000.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