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로 배우는 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7월29일

by 머니 메이커(MoneyMaker) 2025. 7. 29.
반응형
오늘의뉴스로
배우는세상
2025년7월29일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7월29일

 

(2025.07.29) U.S.  Market 

 

  • DOW ▼ 44,837.56 (-0.1%)
  • S&P500 ▲ 6,389.77 (0.02%)
  • NASDAQ ▲ 21,178.58 (0.3%)
  • RUSS 2K ▼ 2,256.73 (-0.2%)
  • PHLX 반도체 ▲ 5,737.10 (1.6%)

 

뉴욕증시, 실적·FOMC 앞두고 관망세…S&P·나스닥 신기록

 

뉴욕증시, 혼조…다우 0.14%↓

 

 

  • 07/29 미 증시, 미-EU 협상 타결 후 경기에 주목하며 매물 소화하며 혼조 마감
  • 뉴욕증시, 실적·FOMC 앞두고 관망세…S&P·나스닥 신기록
  • S&P 지수는 지난 한 시간 동안 6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오늘 1포인트(+0.02%) 상승 마감
  • S&P500은 6일, 나스닥은 4일 연속 사상 최고…테슬라, 3% 급등
  • 뉴욕증시, 금리·관세 '신중모드'…엔비디아 최고가, 테슬라 3% ↑ 
  • 엔비디아 주가, MS·애플 실적 발표 앞두고 175달러 돌파...역대 최고치
  • ‘엔비디아 최고가…테슬라 3% 급등’ 뉴욕증시 혼조 마감
  • 뉴욕증시 엔비디아 돌연 급등 MS 애플 실적발표 "예상밖 폭발"
  • 모건스탠리 "S&P500 12개월내 7,200포인트"로 상향
  • 레이달리오,법정화폐 평가절하를 막기 위해 포트폴리오의 15%를 비트코인에 투자할 것을 권고 
  •  "암호화폐 사겠다" 한마디에 CEA 인더스트리 550% 폭등
  • 나카모토 CEO, 수주 내 비트코인 6,000개 매입 계획 밝혀 
  • Bakkt Holdings Inc.가 비트코인 매수를 위한 자금 조달을 발표합니다💥Bakkt는 로열티 사업을 매각하고 순수 암호화폐로 전환하며,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을 제공합니다.
  • 상장 기업인 Sequans가 8,850만 달러 상당의 755 BTC 를 매수하여 총 보유 3,072 BTC 가 됨
  •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암스트롱이 BITCOIN 에서 가장 큰 팟캐스트 중 하나를 "인터넷화폐" 라고 말함,80억 명이 비트코인을 사용,곧 다가옴 🚀
  • 메타플래닛  비트코인 780개 추가 매입 이제 총 17,132개 입니다
  • [비트코인 119.000하회] 비트코인 $118,306.37 가래중   

 

반응형

 

  • 미 증시는 미국과 EU의 무역협상 타결과 중국과의 협상에서 90일 유예 가능성이 부각되자 상승 출발.
  • 그러나 트럼프가 나머지 국가들에게 15~20% 관세 부과를 언급하면서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크게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매물이 출회.
  • 결국 오늘 시장은 상승 출발 후 매물 소화하며 하락전환 했지만, 장 마감 직전 실적 발표 앞두고 있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 축소하거나 상승 전환하며 혼조세로 마감(다우 -0.14%, 나스닥 +0.33%, S&P500 +0.02%, 러셀2000 -0.19%,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62%)

 

  • 미국 증시는 미국과 유럽연합 간 무역 협정 발표와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ED)의 금리 결정을 포함한 시장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들이 기다리는 가운데 보합세를 보임. S&P500에 속한 150개 이상의 기업이 분기 실적을 줄줄이 발표할 예정.
  • - 미국 국채가격은 장기물의 상대적 약세 속에 하락.
  • - 뉴욕 유가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휴전 합의 시한을 앞당기겠다고 발언한 여파에 급등.
  • - 국제 금값이 약 3주만에 최저치를 기록. 미국과 유럽연합 간 무역 합의 소식이 위험선호 심리를 자극.


*변화요인: 미-EU 협상 타결, 그리고 경기에 주목

  • 백악관이 EU와의 무역 협정 결과 EU 수입품에 대해 15%의 관세를 부과(철강은 50% 유지)하기로 합의.
  • 더불어 EU는 미국산 에너지 7,500억 달러어치를 구매하고, 6,000억 달러 이상을 미국에 투자할 계획도 밝힘.
  • 트럼프는 이번 협정이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거래라고 강조.
  • EU 위원장은 이번 협정이 최대 30%의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언급.
  • 반면 프랑스 총리는 EU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이 항복한 날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으며, 독일 총리도 합의 자체는 다행이지만 이번 조치로 인해 EU 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

  •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대부분 국가에 대해 15~20% 수준의 세계 관세(World Tariff)를 부과 계획을 발표. 
  • 이는 4월부터 시행 중인 10% 보편적 관세는 유지하면서, 상호관세 협상을 타결하지 않은 국가에 대해 이를 대체하는 조치로 해석되어 강경한 무역 정책 기조를 시사. 
  • 중국과의 관세 협상 관련해서는 90일 유예 가능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트럼프는 “지금 우리는 중국을 다루고 있다”며 중국과의 협상에서 미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강조

  • 전반적으로 트럼프의 발언 이후 관세 협상 종료 기대감이 부각되며 시장은 일시적으로 안도하는 흐름을 보였지만, 유로화 약세에 따른 달러화 강세가 본격화되자 투자자들은 경기 및 실적에 다시 주목하며 매물 소화 과정에 들어간 모습. 
  • 실제 시장에서는 이번 미-EU 협상 결과로 유로존의 성장률이 기존 1.0%에서 0.5~0.7%로 하향 조정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음. 
  • 이는 ECB의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하며 유럽 주요국 국채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 유로화는 달러 대비 1% 넘게 약세를 보였고, 이에 따라 달러화도 약 1% 강세.

  • 결국 2018년처럼 중국과의 협상 타결에 따른 상승 이후, 경제지표 부진으로 하락 전환했던 흐름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발표될 경기 지표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리가 확대되고 있음

시총 상위 순위 주가

 

 

*특징 종목: 테슬라, 엔비디아 강세 Vs. 제약, 금융, 팔란티어, 아이온큐 부진

테슬라, 자동차

  • 테슬라(+3.02%)는 삼성전자와 165억 달러 규모의 AI 칩 공급 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특히 지난주 캘리포니아 자동차국(DMV)이 테슬라의 로보택시 계획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는 보도 이후 규제 리스크 우려로 테슬라 주가가 하락.
  • 하지만 DMV가 테슬라와 로보택시 사업 관련 협의를 시작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지난주 하락이 과도했을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상승폭이 확대.
  • 리비안(-1.64%)은 수익감소와 인센티브 축소로 인한 소비자들의 구매 의욕 감소 등의 부각으로,
  • 루시드(-4.45%)는 우버(-0.76%)와의 로보택시 협력이 회의적이고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는 소식에 부진.
  • GM(+0.09%)는 상승했지만 포드(-1.66%)는 부진.
  • 스텔란티스(-4.24)등 유럽 자동차 회사들 대부분 하락. 투입비용 증가 등에 대한 불안이 높아진데 따른 것으로 추정


2차전지, 리튬 관련주

  • 퀀텀스케이프(-8.27%)는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출회되며 하락.
  • 더 나아가 주요 자동차 회사들이 전기차 생산 계획을 조정하고 있다는 점, 투입비용 증가에 따른 불안 등으로 대부분 2차 전지 업체들도 동반 하락.
  • 앨버말(-10.71%)는 스코티방크에서 최근 리튬 가격의 상승이 일시적이며, 일부 리튬 광산이 곧 생산이 재개될 예정이라 공급 과잉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자 부진.
  • 더불어 중국 정부가 금속 시장에 대한 투기 억제 정책을 언급하자 중국 탄산 리튬가격이 8% 급락한 점도 부담.
  • SQM(-6.05%), 리튬 아메리카(-7.21%)등 대부분 리튬 관련 기업들도 크게 하락. 

 


엔비디아 등 반도체

  • 엔비디아(+1.88%)는 대형 기술주들의 자본지출 확대 기대감이 높아지며 데이터센터 확대 계획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기반으로 상승. 더불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제재에 대한 시행을 유예한다는 소식도 긍정적인 영향.
  • AMD(+4.32%)는 HSBC가 Instinct MI350 AI 가속기 가격을 1.5만 달러에서 2.5만 달러로 인상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자 상승. 이러한 가격 인상해도 엔비디아 경쟁 제품보다 저렴하다는 점이 긍정적. 여기에 UBS가 목표주가를 150달러에서 210달러로 상향 조정한 점도 긍정적.
  • 브로드컴(+1.42%)도 상승. TSMC(-1.16%)는 삼성전자가 테슬라에 파운드리 칩 판매 소식에 하락.
  • 마이크론(-0.01%)도 부진. 인텔(-0.10%)은 실적 발표 후 미래 전략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며 하락.
  • 한편, 슈퍼마이크로 컴퓨터(+10.24%)는 실적 발표(8월 5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AI 인프라 수요 급증 수혜를 반영하며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62% 상승. 


대형 기술주

  • 아마존(+0.58%)은 31일 실적 발표 앞두고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확대 기대가 긍정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며 상승. 특히 최근 애널리스트들이 목표주가,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한 점이 긍정적.
  • 메타 플랫폼(+0.69%)도 실적 발표 앞두고 광고 수익 확대 등을 기대하며 상승.
  • 반면, 애플(+0.08%)은 EU의 독점 금지 판결로 연간 125억 달러 매출에 도움되는 구글과의 검색엔진 제휴가 제한될 가능성이 부각되며 하락 후 장 마감 직전 상승 전환.
  • MS(-0.24%)는 실적 발표 앞두고 AI 투자 확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부족과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자 하락 후 장 마감 직전 낙폭 축소.
  • 알파벳(-0.33%)은 EU의 독점 금지 소송의 최종 결정이 8월 8일 예정돼 있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하락

 

팔란티어, 소프트웨어

  • 팔란티어(-0.58%)는 미 국방부가 민간 기업에 대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MS와 OpenAI의 AI 모델을 이용해 자체적인 AI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민간 기업에 대한 AI 기술 의존도를 낮추려고 한다고 소식이 전해지자 하락. 다만, 여전히 반발 매수세도 강해 장 후반 낙폭 축소.
  • 인튜이트(+1.63%)는 새로운 앱 파트너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인튜이트 생태계에 대한 혁신을 촉진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상승.
  • 서비스나우(+1.75%)는 지난 주 양호한 실적에도 구글 클라우드와 10억 달러 계약 체결 등 자금 활용에 대한 불안으로 상승 반납하거나 하락한 뒤 오늘은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 오라클(+1.06%), 서비스나우(+0.42%)도 상승.
  • 어도비(-0.34%)는 부진

 


아이온큐 등 양자 컴퓨터, AI 활용한 바이오테크

  • 아이온큐(-1.92%)는 JP모건에서 2020년 이후 양자 컴퓨터 분야 등을 이끌던 인물을 영입했다는 소식에도 하락. 그동안 상승에 따른 과도하다는 평가가 유입되며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 리게티컴퓨팅(+0.84%)는 상승 전환했지만 디웨이브 퀀텀(-2.76%), 아킷퀀텀(-4.15%) 등은 실적 발표 앞두고 매출 및 순이익 구조에 대한 불안이 부각되자 하락.
  • 템퍼스 AI(-3.86%)는 변화 요인이 없는 가운데 수급적인 요인으로 하락.
  • 옙사이(+2.77%)는 는 일부 기관 투자자의 매수 사실이 알려지며 상승.
  • 슈뢰딩거(+0.72%)는 실적 발표(8월 6일) 앞두고 소프트웨어 매출 성장 기대가 부각되며 상승하는 등 AI 활용한 바이오테크 기업들은 혼조 양상. 

 


금융주, 에너지주

  • JP모건(-0.11%), BOA(-0.45%) 특히 웰스파고(-1.48%) 등은 경기 둔화 우려로 부진.
  • 비자(-0.44%), 마스터카드(+0.01%) 등 카드사는 소비지출 감소 우려로 부진을 보이다 보합권 등락으로 마감.
  • 페이팔(+0.31%)은 조만간 100종 이상의 자상자산을 결제 수단으로 받을 수 있는 암호화폐로의 결제 기능을 가맹점 대상으로 출시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상승.
  • 엑손모빌(+0.94%), 셰브론(+0.93%) 등 에너지 기업들은 국제유가가 상승하자 강세.
  • 체니에르 에너지(+1.38%)는 EU의 LNG 수입 확대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 반면, 킨더모간(-0.66%)등은 부진을 보이며 천연가스 기업들은 혼조 양상

 


일라이릴리 등 제약주

  • 일라이릴리(-0.56%), 노보노디스크(-3.77%) 등은 미국내 복제약 사용 금지에 따른 기대에도 불구하고 체중감량 산업의 경쟁이 심화될 수 있나는 소식이 전해지며 하락. 특히 분기 실적에서 예상보다 부진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 점도 영향.
  • 여기에 트럼프의 제약 산업에 대한 관세 부과 이슈가 재 부각되며 에브비(-0.92%), 머크(-0.77%), 암젠(-1.73%), 길리어드사이언스(-2.73%) 등 대부분 제약 회사들이 부진. 


리츠금융, 유틸리티, 광산, 비트코인, 기타

  • 아메리칸 타워(-2.46%)를 비롯해 웰타워(-2.02%) 등 특수목적 리츠 금융회사들은 높은 수준의 국채 금리와 실적에 대한 불안 여파로 부진.
  • 넥스트라 에너지(-0.71%), 듀크 에너지(-1.94%) 등 유틸리티 업종도 높은 금리 여파로 부진.
  • 뉴몬트(-3.18%)는 금 가격 하락 여파로 부진.
  • 프리포트 맥모란(-2.45%) 등 구리 광산 기업들도 부진.
  • 나이키(+3.89%)는 JP모건이 턴어라운드 기대를 이유로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상회로 상향 조정하자 상승.
  • 비트코인의 하락으로 코인베이스(-3.11%), 서클 인터넷(-3.89%), 스트레티지(-0.51%), 라이엇 플랫폼(-0.21%) 등 비트코인 관련주 및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는 부진

 

도널드 트럼프, 세계가 ‘물러서자’ 500억 달러 관세 수확

 

7월 29일 시황. 반도체 강세, 슈퍼 위크 경계에 혼조

 

  • EU와의 합의. 반도체 강세에 나스닥, S&P500 상승
  • 트래블러스, 버라이즌, 제약 부진에 다우는 하락
  • 미국 - EU 관세 합의로 불확실성 추가 해소
  • 미국 기업들 입장에서는 불리할 것 없는 상황
  • 트럼프, 주요 교역국 관세율 15~20% 선에서 결정
  • 관세 불확실성 해소 과정이라는 평가
  • 기업들 양호한 실적도 지수 움직이는 요인
  • 당초 이번 분기 수익 증가률은 4.6% 정도 예상
  • 80% 기업들이 예상 넘긴 가운데 6% 이상으로 수정

 

  • 이번주 예정된 150개 기업들 추이도 다르지 않을 듯
  • 다만 EU와의 합의는 지난 주말 1차 반영된 재료
  • 또 일정에 대한 부담도 있어 지수 움직임 제한
  • 메가캡 실적, FOMC, 물가 및 고용 지표 예정
  • 특히 파월의 회견 관심. 9월 인하론 열려있는지 주목
  • 국채 금리가 상승한 점도 지수 둔화에 영향
  • 이 날 2년물 690억달러, 5년물 700억달러 국채 발행
  • 대규모 국채 발행이 있는 날 금리가 오르는 경향
  • 엔비디아 등 반도체주 상승하며 지수 견인
  • 언론은 무역전쟁 완화. 삼성-테슬라 계약 영향으로 해석
  • 메가캡 실적 발표 앞두고 AI 지출 공개 기대감 반영도
  • 캐피털닷컴. 메가캡 자본 지출 발표로 엔비디아 수혜
  • 알파벳 이어 아마존, MS, 메타 등 실적 긍정적 영향 예상
  • 울프리서치.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업황 개선 주목
  • 레거시 반도체 회복기. 비중 확대. 목표가 230달러 제시.

 

  • AMD는 제품 가격 인상 소식에 4.3% 상승
  • ASML 반도체 장비 무관세 합의 기사에 상승
  • 마이크론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반도체주들 동반 상승
  • 바클레이즈, 반도체 장비 실적 좋지만 기대 너무 높아
  • 월가에서 제시하는 내년 컨센 지나친 측면
  • 램 리서치 등 대부분 목표가 높이나 시장 비중 유지
  • 유럽의 에너지 구매 보도에 관련주 상승
  • JP모건. 나이키 투자의견, 목표가 상향 64 → 93달러

 

  • 모닝 스타. 이번주 변동성은 관세 보다 실적이 될 듯
  • 오펜하이머. S&P500 연말 전망 5,950 → 7,100 상향
  • 무역 협상 진전되며 불확실성 제거되었다고
  • UBS. 밸류 부담, 관세, 재정 문제 등 불확실성 
  • 단기로는 헤지 필요. 그러나 장기로는 다시 오를 것
  • 골드만삭스. 지난주 헤지펀드들 기술주 많이 팔아
  • 대신 식음료 등 필수소비재 관련 종목들 매수했다고
  • 한편 일본측은 5,500억달러에 대해 투자는 1% 예상
  • 나머지는 대부분 대출 형태가 될 것이라고 주장
  • 미국에 50대 50 이익 제시했으나 미국측이 9 : 1 
  • 대출에 대해서는 일본이 이자를 받을 것이라고
  • 그 부분은 오히려 일본이 돈을 버는 것이라 주장

 

엔비디아(NVIDIA), 사상 최고가 경신… 불과 4개월 만에 시가총액 2조 달러 증가..이는 테슬라(Tesla), 팔란티어(Palantir), ASML, AMD 시가총액을 모두 합친 규모와 맞먹음

 

Market Summary - 2025년 7월 29일

 

미국 정치

  • 트럼프 대통령,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시한 10~12일로 단축… “새 제재·2차 관세 가능성” 경고
  • 트럼프 대통령, 푸틴에 “실망했다”… 메드베데프 “전쟁 위협” 반발

  • 트럼프 행정부, 특허 제도 전면 개편 검토 — 보유 특허 가치의 15% 부과 논의 (WSJ)
  • 트럼프 행정부, 대만 라이 총통의 뉴욕 경유 불허… 중국 반발 고려 (FT 보도)
  • 미 국무부, 팔레스타인 2국가 해법 회의 참여 거부
  • 백악관, CFTC 위원장 표결 연기 요청


국제 정치 및 무역

  • 트럼프 행정부, EU와 무역 합의 체결 — EU 수입품 15% 관세·미국 수출품 0% 적용, EU 3년간 미 LNG 7,500억 달러 구매
  • 유럽, 미-EU 무역 합의 후 경기 침체 우려로 유로화 급락

  • 프랑스, EU에 “미국에 맞서 무역 보복 필요” 압박
  • 독일 메르츠 총리 “미국 관세, 독일 경제에 상당한 부담”
  •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 “가자지구 상황 어렵다…

  • 미·유럽·국제기구와 협력해 대규모 지원 지속”
  • 사우디 외무장관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사우디-이스라엘 관계에 필수적”

 

연준 및 미국 경제

  • FOMC 이번 주 수요일 개최 — 시장, 금리 인하 여부 주목
  • 미 재무부, 3분기 차입 규모 $1조로 상향 (기존 $5,540억 달러) — 현금 보충 목적

  • 10월~12월에도 $5,900억 달러 추가 차입 계획, 연말 현금잔고 $8,500억 달러 목표

  • 미국 달러, 무역 합의 낙관론 속 5월 이후 최대 상승
  • JPMorgan “최근 반등은 전술적 강세… 불확실성 여전”


미국 주식

  • S&P 500 +0.02%(6,388.25) — 6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 나스닥 상승, 다우 -0.17%(44,827.01)

  • NVIDIA, 시총 $4.31조 돌파 — 아마존($2.47조)+메타($1.8조) 합산보다 큼
  • 52주 신고가 기록 종목 다수: NVIDIA, AMD, Boeing, Caterpillar, Goldman Sachs, Cloudflare, Wayfair 등

암호화폐

  • 비트코인 $118,000 회복 — 트럼프-EU 무역 합의 효과
  • ETH ETF에 $18.5억 달러 유입 — 11주 연속 순유입

  • XRP $3.14 거래 — 단기 약세, 장기 강세 유지
  • 대규모 블록체인 이체 지속: Galaxy Digital·Coinbase Institutional 간 ETH·BTC 거래 활발
  • 백악관, 7월 30일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 정책’ 보고서 공개 예정

 

기타 뉴스

  • Spirit Airlines, 조종사 270명 무급휴직·기장 140명 강등
  • Bain Capital, BMY와 함께 면역학 신약 개발사에 $3억 달러 투자

 

페이팔 공식 트윗에서 코인 언급✔️이제 진짜 코인 결제가 다가온 듯

 

美증시 Summary

  • [미국-EU 무역 프레임워크가 발표되었지만 증시에 선반영된 만큼 영향이 크진 않았습니다]

  • 이번 프레임워크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EU 제품(자동차 포함)에 대해 15%의 관세 부과
  • - 향후 3년간 미국 에너지 부문에 7,500억 달러 투자
  • - 미국산 군수 장비 수천억 달러 규모 구매
  • - 그 외 미국 내 다양한 분야에 6,000억 달러 추가 투자
  • - 한편, 유럽산 항공기 및 반도체 장비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이날 트럼프는 글로벌 기준 관세가 '15%~20%'가 될 듯 하다고 전했습니다(생각보다 낮은 수준)

  • 섹터별 흐름을 살펴보면 임의소비재와 에너지가 좋은 흐름을 보였습니다. 
  • 임의소비재 부문에서는 나이키(투자의견 상향), 테슬라, 그리고 여행·레저, 주택건설업체, 유통업체 전반이 양호했습니다. 에너지 섹터 역시 유가 2.9% 상승하면서 강세를 보였고, 미국 천연가스 및 LNG 관련 종목들도 EU 무역 협정 수혜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 기술주도 강세를 보였는데, 특히 반도체가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무역 협정 및 테슬라가 삼성과 165억 달러 규모의 차세대 AI 칩 8년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긍정적으로 반응했습니다

  • 반면, 소재(광산 및 화학 업종 약세), 유틸리티(대부분 약 1% 하락), 부동산 섹터는 시장을 하회했습니다

  • 두 건의 국채 입찰 결과는 엇갈렸습니다. 
  • 5년물 입찰은 다소 부진한 반면 2년물은 강한 수요를 보였습니다. 
  • 경제지표로는 달라스 연준 제조업 서베이가 발표되었는데 전월 대비 여러 항목에서 큰 개선을 보였습니다. 
  • 특히 생산, 전반적 전망, 근로시간 항목의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 이날 국채금리는 소폭 상승했으며 달러지수는 비교적 큰 폭 상승했습니다

  • 🛢국제 유가는 약 2.9% 상승했는데 이는 무역 합의가 수요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됩니다.
  • OPEC 산하 JMMC 회의에서는 기존의 원유 생산 계획에 변동이 없었으며(예상된 내용),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와 10~12일 내에 평화 협정을 체결하라고 압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이날 유럽 증시는 포르쉐, BMW, 메르세데스, 폭스바겐 등 자동차 제조사들이 하락하며, 무역 협정 기대감으로 올랐던 상승 폭 일부를 반납했습니다. 
  • 반면, 노르웨이, 네덜란드, 아일랜드 등 다른 유럽 시장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ASML이 4% 상승하며 이 같은 흐름에 기여했습니다

  • NEXT👉
    내일은 JOLTS 구인 보고서, 무역수지, 재고, 주택가격 지표가 발표되며, 7년물 국채 입찰도 예정돼 있습니다. 실적 발표 기업으로는 UPS, 유나이티드헬스, 보잉, 비자, 캐리어, 머크, P&G, 로열 캐리비안 등이 있습니다

    수요일에는 FOMC 회의가 있는데 연준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투자자들은 9월 금리 인하 단서를 찾고자 할 것입니다. 수요일에는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도 쏟아집니다

 

1BTC를 소유하면 전 세계 인구의 99.73%보다 앞서 나갈 수 있음

 

7월 29일 52주 신고가 종목들

  • 엔비디아 (NVIDIA, 티커: NVDA)
  • AMD (티커: AMD)
  • 브로드컴 (Broadcom, 티커: AVGO)
  • 보잉 (Boeing, 티커: BA)
  • 캐터필러 (Caterpillar, 티커: CAT)
  •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티커: GS)
  • GE 에어로스페이스 (GE Aerospace, 티커: GE)

  • 레이시온 (Raytheon, 티커: RTX)
  • 클라우드플레어 (Cloudflare, 티커: NET)
  • 블룸 에너지 (Bloom Energy, 티커: BE)
  • CBRE 그룹 (CBRE Group, 티커: CBRE)
  • 크레도 (Credo, 티커: CRDO)
  • 도어대시 (DoorDash, 티커: DASH)
  • 이튼 (Eaton, 티커: ETN)
  • 퍼스트 호라이즌 (First Horizon, 티커: FHN)

  • 파이브 빌로우 (Five Below, 티커: FIVE)
  • 컴포트 시스템즈 (Comfort Systems, 티커: FIX)
  •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Interactive Brokers, 티커: IBKR)
  • 아이덱스 (Idexx, 티커: IDXX)
  • 인튜잇 (Intuit, 티커: INTU)
  • 존슨 콘트롤즈 (Johnson Controls, 티커: JCI)
  • 루멘텀 (Lumentum, 티커: LITE)
  • 나스닥 (Nasdaq, 티커: NDAQ)
  • 오클로 (Oklo, 티커: OKLO)
  • 랄프 로렌 (Ralph Lauren, 티커: RL)
  • 로열티 파마 (Royalty Pharma, 티커: RPRX)
  • 뉴스케일 파워 (NuScale, 티커: SMR)
  • 토스트 (Toast, 티커: TOST)
  • 태피스트리 (Tapestry, 티커: TPR)
  • 트림블 (Trimble, 티커: TRMB)
  • 울타 뷰티 (Ulta Beauty, 티커: ULTA)
  • 비바시스템즈 (Veeva Systems, 티커: VEEV)
  • 웨이페어 (Wayfair, 티커: W)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Warner Bros. Discovery, 티커: WBD)

 

7월29일 주요일정

 

7/29(화) 국내

● 세계
· 트럼프 “푸틴에 실망…종전 합의에 준 시간, 50일보다 줄일 것” 
· 미중 '관세 휴전' 90일 연장 가닥 
· 국제 여론 악화…이스라엘, 가자지구 3곳 매일 10시간 교전 중단 



● 정치
· 장동혁 “안철수 사퇴하라…당론 어기고 탄핵 찬성” 
· 속보 특검 압수수색에 이준석 “시기 공교로워”…송언석 “전방위 무차별적”
· 국힘 대선 경선 신천지 개입설에…민주당 “위법 사항 검토” 


● 경제
· 김은혜, ‘국내 최초’ 원화 스테이블코인법 입법 착수…“이용자 안전장치 마련” 
· 정부, 세제개편안 사실상 확정…법인세 최고 25%
· CU, 건기식 판매 시작…“소용량·고품질·합리적 상품 선보일 것” 


● IT, 과학
· SKT, 개인정보 유출 조회 서비스 시작…오늘부터 문자 안내
· GPU 1.3만장 확보사업에 네이버·NHN·카카오 선정
· "수학에서 아이디어"…크래프톤, SKT와 손잡고 추론 특화 AI 공개 



● 사회
· 김건희특검, 김 여사 인척 소환... 목걸이 발견 경위 조사 
· 포천 농협 직원, 80대 고객집서 강도질 
· 양궁동호회 잔인한 도륙…개조한 활로 야산 흑염소 14마리 사냥

 

미국증시


Morning Report(2025.07.29.화) 


1. 시장 요약

  • - 나스닥(+0.33%)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1.62%)는 테슬라, 엔비디아, AMD 등의 상승 주도에 힘입어 강세 마감.
  • - S&P500(+0.02%)는 장중 사상 최고치 - 경신 후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보합권 마감.
  • - 다우지수(-0.14%)는 경기 둔화 우려와 고점 부담 속 소폭 하락.

2. 주요 이슈 및 경제 환경

 

  • ▸ 미-EU 무역협정 타결
    - 미국과 EU, 15% 일괄관세 부과 및 미국산 에너지 7,500억 달러 구매 등 대규모 협정 체결.
    -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에 15~20% '세계관세' 도입 가능성 시사.
    - 유럽 경기 위축 우려 확대, 유로존 성장률 하향 조정 전망 → 달러 강세, 유로 약세.

  • ▸ 경기 지표 주목
    - 이번 주 FOMC, 대형 기술주 실적, 고용지표(PCE·JOLTS·ADP·고용보고서), 2Q GDP 발표 등 '빅위크' 진입.
    - 시장은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 유지, 9월 인하 가능성 단서에 주목.

 


🚀예상 주요 섹터

  • 머스크 "실제 몇 배 더 된다"...삼성, 테슬라 수주 '잭팟'🔥

  • 삼성전자와 165억 달러(약 22조 8천억 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계약을 맺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실제 생산 규모는 훨씬 더 클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머스크는 현지 시간 27일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다른 이용자 게시물에 대한 답글에서 “165억 달러 수치는 단지 최소액”이라며 “실제 생산량은 몇 배 더 높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삼성전자는 28일 글로벌 대형 기업과 165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는데 최종적인 거래 규모는 그 몇 배로 더 늘어날 것 같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 머스크는 또 이에 앞서 올린 게시물에서 “삼성의 텍사스 대형 신공장은 테슬라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하게 될 것”이라며 “이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 머스크는 이어 “삼성은 현재 AI4 칩을 생산한다”며 “TSMC는 설계가 막 마무리된 AI5 칩을 우선 대만에서, 나중에 애리조나에서 만들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 또 “테슬라가 생산 효율성 극대화를 돕는 것을 허용하기로 삼성이 동의했다”며 “내가 직접 진전 속도를 올리기 위해 생산 라인을 둘러볼 것이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지점”이라고 말했습니다.

 

날짜별 이벤트

 

7/29(화) 지난밤 글로벌 뉴스

 

1. 7월 28일 2400시(현지 시간), 태국과 캄보디아 간의 휴전 협정이 발효되었습니다.


2, 트럼프는 금리 인하에 대한 열망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인하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3, 미국 재무부는 부채 한도의 영향으로 분기 연방 차입금 규모 추정치를 1조 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했습니다.


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 일 제프리 엡스타인의 섬을 방문하는 "영광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는 엡스타인의 초대를 거절하면서 현명한 결정이라고 말했습니다.


5, 골드만삭스 마스터 브로커리지 사업부는 7월 25일로 끝난 주에 헤지펀드가 2024년 7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미국 기술, 미디어 및 통신 주식에 대한 노출을 줄였으며, 롱 포지션 매도가 숏 커버링을 앞질렀다고 보고했습니다.


8월 28일 러시아 법률 포털이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는 2025년 8월 1일부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도로 및 철도 국경 횡단 20곳을 폐쇄하는 정부 법령을 발표했습니다.


7,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7월 28일(현지 시간) 평시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 정원을 2만 7,000명에서 3만 7,000명으로, 특별 기간 정원을 3만 1,000명에서 4만 1,000명으로 늘리는 법에 서명했습니다.


8, 이스라엘 측에서 이스라엘 내각이 가자 지구에 대한 완전한 군사 점령을 고려하고 있으며이 지역의 일부 도심에 대한 포위 공격을 강화하고 있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9. 니코바르 제도에서 진도 6.6의 지진이 10km 깊이의 니코바르 제도를 강타했습니다.


10,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월요일 밤새 역환매조건부채권(RRP) 사용 규모가 1,746억 6,300만 달러, 마지막 거래일은 1,505억 9,000만 달러라고 발표했습니다.


11, 미국 3대 주가지수는 혼조세로 마감, 다우 지수는 0.14% 하락, 나스닥 지수는 0.33% 상승, S&P 500 지수는 0.02% 상승, 나스닥 중국 진룽 지수는 0.69% 하락, 대부분의 중국 인기 주식이 하락했습니다.


12, WTI 원유 선물은 배럴당 2.38% 상승한 66.71달러로 마감했습니다. 브렌트유 선물은 2.34% 상승한 배럴당 70.04달러로 마감했습니다.


13, COMEX 금 선물은 0.65% 하락한 온스당 $3,314에 마감했고, COMEX 은 선물은 0.09% 하락한 온스당 $38.33에 마감했습니다.

 

 

지난밤 미국 주요 종목 동향 (시간외 반영)

 

 

지난밤 글로벌 주요 ETF 동향

 

국내외 주요 마감지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