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로 배우는 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4월28일

by 머니 메이커(MoneyMaker) 2025. 4. 28.
반응형
2025년 4월28일
오늘의 뉴스로
배우는 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4월28일

 

[이번주 미국 증시]

  • 빅테크 실적, GDP 성장률, 고용지표…랠리 운명 결정할 한 주
  • 4월 28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0.93% 내린 $93,749에 거래되고 있다.  엑스알피 강세–SEC, XRP 선물 ETF 승인
  • 미국 증시가 최악의 무역 갈등은 지났다는 분위기 속에 급반등한 가운데 이번주에는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과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4월 고용지표 등 중요한 일정들이 줄줄이 이어진다.
반응형



매그니피센트 7 중 4곳 실적 벌표

  • 이번주는 S&P500 기업 중 180개 이상이 실적을 발표하며 올 1분기 어닝 시즌 중 가장 바쁜 절정기를 지나게 된다.
  • 특히 매그니피센트 7 중 4개 기업의 실적 공시가 몰려 있어 증시 향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매그니피센트 7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플랫폼스가 오는 4월30일에, 애플과 아마존이 5월1일에 각각 실적을 공개한다.

  • 또 4월29일에 코카콜라와 크래프트 하인즈, 스타벅스, 5월1일에 맥도날드와 에어비앤비 등 소비자들의 지출 추이를 가늠할 수 있는 기업들의 실적 발표도 줄을 잇는다. 
  • 4월29일에 화이자, 5월1일에 일라이 릴리와 모더나 등 제약회사들의 실적 공시도 이어진다.

  • 이외에 4월29일 자동차 회사인 GM과 4월30일 중장비 기업인 캐터필러, 5월2일 석유회사인 엑슨 모빌과 셰브론의 실적 발표도 주목된다.

 


나스닥, 이달 들어 강세로 전환

  • 지금까지 어닝 시즌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 팩트셋에 따르면 올 1분기 실적을 공개한 S&P500 기업 157곳 가운데 76%가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를 뛰어 넘었다.
  • 이에 따라 실적을 이미 발표한 기업을 포함해 올 1분기 S&P500 기업들의 실적 성장률은 8%로 전망돼 지난 3월31일 기준으로 예상됐던 7.2%에 비해 개선됐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에 대한 비난을 중단하고 중국과의 무역 긴장도를 낮추려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기업들의 실적 호조세가 지난주 미국 증시를 랠리로 이끈 것으로 보인다.

  • 지난주 미국 증시는 4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S&P500지수가 4.6%, 나스닥지수가 6.7% 뛰어 올랐다. 다우존스지수도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긴 했지만 2.5% 올랐다.

  • 특히 나스닥지수는 지난주 급반등으로 4월 들어 수익률이 소폭 강세로 전환됐고 S&P500지수는 하락률이 1.5%로 축소됐다. 다우존스지수는 4월 들어 4.5% 내려갔다.


4월 고용지표 둔화 지속 전망

  • 미국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유화적 제스처가 지속되고 기업들의 호실적이 뒷받침되며 반등세를 이어갈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주에는 증시 영향력이 큰 경제지표 발표도 줄줄이 예정돼 있다.

  • 가장 주목도가 높은 데이터는 5월2일에 나오는 4월 고용지표다. 
  • 고용지표는 기업들의 고용 여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 소비자들의 씀씀이와도 직결돼 미국의 경기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 다우존스가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월 비농업 부문의 취업자수 증가폭은 13만명으로 지난 3월의 22만8000명에 비해 대폭 줄었을 것으로 전망된다. 
  • 하지만 월간 10만~20만명의 취업자수 증가폭은 실업률을 변동 없이 유지시킬 수 있는 견조한 수준이다.

  • 실제로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과 동일하게 유지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도 전월비 0.3%로 지난 3월과 같았을 것으로 관측된다.


3월 PCE 물가상승률 하락 기대

  • 4월30일에는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3월 PCE 물가지수가 발표된다.
  •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조될 것으로 우려돼 3월 물가지표는 이미 지나간 과거 데이터로 시장의 주목을 덜 받을 가능성이 있다.

  • 그럼에도 3월 PCE 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완화된 것으로 전망되는 점은 긍정적이다. 
  • 3월 PCE 물가지수는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며 전년비 상승률이 2.2%로 지난 2월의 2.5%에 비해 낮아졌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3월 근원 PCE 물가지수는 전월비 0.1%, 전년비 2.5% 올랐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전월비 상승률은 지난 2월의 0.4%에서, 전년비 상승률은 지난 2월의 2.8%에서 각각 떨어진 것이다.

  • 4월30일에는 올 1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도 공개된다. 
  • GDP 성장률은 미국 경제에 대한 종합 성적표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 올 1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는 0.4%로 지난해 4분기 2.4%에서 대폭 둔화됐을 것으로 전망된다.

  • 이외에 4월29일에 나오는 컨퍼런스 보드의 4월 소비자 신뢰 지수와 5월1일에 발표되는 4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지수도 미국 경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주목할 만하다.

미국 증시 주간 일정

 

 

4월 28일 시황. 관세 협상, 본격적인 대선 국면 돌입 

  • 주말 미 증시는 협상 기대, 빅테크 강세에 상승
  • 트럼프, 중국과 협상 진실 공방은 일부 경계 요인
  • 양측이 생각하는 협상의 기준이 다른 것으로 보임
  • 또 전략적으로 상대에게 부담을 주기 위한 측면도
  • 어쨌든 접촉 자체는 있다고 투자자들은 평가

  • 빅테크주들이 오르며 나스닥이 상대적으로 강세
  • 테슬라 자율주행 규제완화, 알파벳 호실적
  • 최근 반복 제기되고 있는 AI 투자 지속 보도 등
  • 특히 테슬라는 10% 가까이 급등하며 공매도 청산 추정
  • 다만 대형주 중심 강세로 하락 업종도 많았음
  • 전반적으로 관망세 속 빅테크가 지수 올린 것

  • 지난주 이 후 증시 주변 상황은 일부 완화
  • 냉정하게 보면 호재가 아니라 악재가 약해진 것
  • 하락한 것 복원 일부는 가능하나 대세 전환은 아직
  • 추세 전환을 위해서는 주포과 주도주가 나와야
  • 지난주 외국인 순매수 종목은 조선, 방산, 전력 등
  • 반면 매도 상위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
  • 관세를 의식한 매매 동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
  • 순매수 자체 보다 어떤 것을 매수하는지도 중요
  • 오늘 이 후 외국인 수출주 매수 붙는지 체크해야

  • 실제 지난주 강세 업종은 조선과 증권 금융 등이었음
  • 공통적으로 관세 이슈에서 벗어난 종목군
  • 반면 삼성전자는 지난주 내내 코스피 지수 보다 부진
  • 자동차 역시 지수 보다 강하지는 못했음
  • 증시가 완전히 자리잡지는 못하고 있다는 의미
  • 가장 큰 이슈에 눌린 종목들이 풀리는지가 중요

  • 한미 2+2 협의, 대선 국면이 변수되는지도 주목
  • 미국과 협상을 벌인 국가들 증시는 상대적으로 선전
  • 우선 협상국들인 일본, 독일과 협상한 이탈리아 선전
  • 우리나라도 이런 흐름 맞춰가는지 외국인 수급으로 가늠

  • 다만 이미 저점 대비 제법 올라 과매도는 해소
  • 이제는 종목별 차별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구간
  • 기관, 외국인 매수 누적 종목. 실적주 선별 필요

 

26일 미국 주요 종목 동향 (시간외 반영)

 

 

 

4월 28일 주말 마감 시황🇺🇸

 

  • ✔️ 요약 : 뉴욕증시 나흘 연속 상승마감 | 테슬라 급등 | 이번주 빅테크 실적 예정

  • ☑️주요 지수
    -다우존스 :40,113.50(+0.05%)
    -S&P500 : 5,525.21(+0.74%)
    -나스닥종합 :17,382.94(+1.26%)
    -필라델피아 반도체 : 4,251.6(+1.03%)
    -Vix공포 : 24.84(-6.16%)
    -러셀2000 : 1,957.62(%)

  • ☑️상품시장
    -WTI유 선물 : 63.02(+0.37%)
    -금 선물 :3,298.40(-1.50%)
    -은 선물 :33.010(-1.47%)
    -구리 선물 :4.8950(-0.33%)
    -비트코인 :94,394.7(+0.04%)

  •  ☑️채권수익률 
    -미국 30년물 국채 :4.72(-0.94%)
    -미국 10년물 국채 :4.26(-1.16%)
    -미국 2년물 국채 :3.76(-0.92%)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99.59(+0.21%)
    -달러/원 :1,439.80(+0.48%)
    -달러/엔 :143.67(-0.20%)
    -달러/위안 :7.2854(-0.04%)
    -엔/원 : 10.02(-0.13%)
    -유로/달러 :1.1406(+0.33%)

  • 🔎Marketcap & 특징주 
    -애플[AAPL] :209.28(+0.44%)
    -MS[MSFT]:391.85(+1.17%)
    -엔비디아[NVDA] :111.01(+4.30%)
    -아마존[AMZN] : 188.99(+1.31%)
    -알파벳A[GOOGL] :161.96(+1.68%)
    -메타[META] :547.27(+2.65%)
    -버크셔B[BRKb] : 530.96(-0.13%)
    -테슬라[TSLA] : 284.95(+9.80%)
    -팔란티어[PLTR] : 112.78(+4.64%)

  • 📰주요 뉴스
    -美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 52.2 잠정치서 소폭 개선 
    -美 연준 금융안정보고서 “최근 증시 조정에도 주가 여전히 높아”
    -트럼프, 젤렌스키와 충돌 두 달만에 독대••“생산적인 회담”
    -시진핑 ”AI자립자강“ 선언 美•中 AI 패권 경젱 주도권 강조
    -中, 美 반도체 8종 125% 관세 철회 • 메모리칩은 제외
    -#테슬라, 로보택시 출시 준비 분주. 미국 자율주행 규제완화에 주가 9.8% 급등 + 캐나다 가격인상 관세부과 전 구매 권장
    -일론머스크이 #xAI홀딩스 최대 200억 달러 규모 투자유치 추진
    -#알파벳 구글 검색 광고 • 클라우드 부문 실적 호조, 스페이스엑스 투자로 순이익 급증 
    -#애플 아이폰 조립 공정 중국서 인도 이전 계획•• 비현실적이라고 평가
    -#엔비디아 모건스탠리, 장기 전망치 상향 조정 ”추론 컴퓨팅 수요의 급격한 증가 시사“ 110달러선 탈환
    -#메타 신규 앱, 이틀만에 70만 다운로드 돌파. 수요일 1분기 장마감 후 실적 발표 예정
    -#애브비 1분기 매출 및 EPS 예상 상회
    -#인텔(-6.7%) 2분기 실적 매출 전망 예상 하회 
    -#노바맥스(NVAX) FDA, 코로나 백신 ‘시판 후 의무’ 데이터 요청. 정식 승인 기대했지만 지연 가능성 제기. 주가 -5.66%
    -#T모바일 1분기 무선 가입자 수 , 예상 하회 
    -#아이온큐 EPB와 2200만달러 규모 협약 체결해 12%급등하다 차익실현 매물로 소폭 상승 마감
    -유럽증시 2주 연속 오름세 (DAX +0.81%, CAC 0.45%) 씨티은행 ”증권사 유럽증시 수익률 하향 조정, 역발상 매수 신호”
    -英 3월 소매판매 전월비 0.4% ↑ 예상 상회 


  • 📆 이번주 주요 일정 : #미국_4월_PCE  #고용지표#빅테크실적 
    1)4월 28일 : 4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제조업지수

    2)4월 29일 :3월 상품 무역수지, 2월 S&P/Case-Shiller 주택가격지수, 4월 콘퍼런스보드(CB) 소비자신뢰지수, 3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 구인 건수, #비자#제너럴모터스#스타벅스 실적 발표

    3)4월 30일 : 4월 ADP 고용 증감, 1분기 GDP 성장률, 3월 잠정주택 판매,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 4월 미 에너지정보청(EIA) 휘발유·원유 재고,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퀄컴  장후 실적 발표

    4)5월 1일 :4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4월 ISM 제조업 PMI, #애플#아마존#마스터카드 실적 발표

    5)5월 2일 :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수·실업률, 3월 공장주문, #셰브론 #엑손모빌  실적 발표

 

트럼프 가 11월에 당선 된 이후 100BTC 이상을 보유 한 비트코인 ​​주소수 가 12% 이상 증가 👀

 

 

이번주 미국 시장 주요 이벤트

  • 이번주는 1분기 실적 피크 주간이면서 동시에 중요한 경제 지표들이 주 후반에 많이 발표됨.
  • 더불어 다음주 FOMC를 앞두고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금지되는 블랙아웃 기간에 돌입.
  • 이번주 후반부터 다음주 FOMC 까지가 시장이 반등세를 이어갈지, 상승세가 한풀 꺾일지 중요한 고비가 될 듯. 

  • 경제 지표
    1.4월 고용 보고서:  5/2 금. 이외에 고용 관련 데이터는 화요일 졸츠 구직 공고, 수요일 ADP 민간 고용, 목요일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 전망치는 비농업 고용 지난달 228K에서 크게 감소한 129K, 실업률 지난달과 동일한 4.2%. 시장은 6월 FOMC 에서의 금리인하를 기대하고 있는 가운데 파월 의장은 고용이 심각하게 훼손되는 경우에만 금리를 인하할 것임을 밝힌 바 있음. 4월 2일 ‘미국 해방의 날’ 이후 첫 고용보고서 인데 당장 심각한 고용 불안이 보일 것 같지는 않지만 추세가 중요할 듯.

    2. 1분기 GDP 속보치: 5/1 목. 전망치는 0.4%. 그러나 아틀란타 연은의 GDPNow는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찍고 있고 이 점이 관세로 인한 경기침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어왔기에 실제 데이터에서 미국 경제 수축이 나타날지 여부가 매우 중요. 

    3. 4월 ISM 제조업 PMI: 5/1 목. 전망치는 지난달 49.0에서 감소한 48.0. ISM 제조업 PMI는 2022년 12월 이후 수축 영역인 50이하로 내려가 이후 단 세달 만 50을 상회. 트럼프가 관세 정책으로 제조업 경기를 살리겠다고 하는 와중에 트럼프 취임 직후 2, 3월에 50을 상회한 후 지속 감소세.

    4. 4월 컨퍼런스 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4/29 화. 전망치 지난달 92.9에서 감소한 87.4. 지난해 11월 111.7을 찍은 후 지속 감소 중이며 2월 이후에는 100 하회 중. 

    5. 시카고 제조업 PMI: 4/30 수. 전망치 지난달 47.6에서 감소한 45.9. 캐나다 관세 부과로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은 디트로이트 자동차 산업 지역을 포함하는 시카고 지역 연은의 제조업 PMI. 수축 영역인 50 이하지만 지난해 12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세. 그러나 이번달은 감소 전망.

  • 기업 실적
    S&P 500 기업 약 180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하며 이는 전체 시총의 40%를 차지하는 실적 피크 주간. 매7 기업 중 애플 $AAPL, 마이크로소프트 $MSFT, 아마존 $AMZN, 메타 $META 등 4개 기업이 실적 발표. 이외에도 비자 $V, 마스터카드 $MA, 페이팔 $PYPL 등 금융 기업, 엑손 모빌 $XOM, 셰브론 $CVX 등 에너지 기업, 코카콜라 $KO, 맥도날드 $MCD 등 소매 기업 등 실적 발표. 이들의 관세에 대한 언급, 가이던스에 관세가 미칠 영향, 빅테크의 AI 투자 축소 여부 등이 주된 관심사.

    알파벳 $GOOG, 테슬라 $TSLA, 인텔 $INTC, 보잉 $BA, 서비스나우 $NOW, 펩시 $PEP, 버티브 $VRT, 넥스트에라 에너지 $NEE, GE 베르노바 $GEV, 머크 $MRK, 애브비 $ABBV 등 실적 발표


  • 기타
    1. 트럼프 취임 100일: 4/30 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의 취임 100일 지지율은 지난 70년간 어떤 대통령 보다도 낮다고. 트럼프가 여론에 귀를 기울여 정책 스탠스에 유연성을 보일지 여부가 관심사

    2. 미-중 무역 전쟁 진행상황: 협상 진행 여부에 대한 진실게임 진행 중이며 미-중 서로가 먼저 움직이지 않으면 협상은 없다고하는 상황

 

다음주 주요 실적 발표

 

 

4/28(월) 국내

● 세계
· 새 교황 뽑는 콘클라베…이르면 내달 6일 시작 
· '무슨 내용이길래'…경매서 5억7000만원에 낙찰된 엽서
· “중국 ‘체화지능’ 로봇, 세계 시장의 70% 차지” 

 


● 정치
· 이재명, 89.77%로 대선후보 확정…“새 시대 서막 될 것” 
· 국민의힘 "아버지 이재명 후보 추대식…일극체제 그대로"
· 국민의힘 경선 흥행 성공? 첫날 당원 투표율 42.13% 



● 경제
· “지난해 정답 좀 ㅠㅠ” 간절히 찾는 이 시험…‘도입 30주년’ 됐다
· “좋다가 말았어요”...복덕방 사장님 3월까지만 웃었다, 
· 주말 기차표 취소 수수료·부정 승차 부가운임 2배 


● IT, 과학
·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 속보‘유심 해킹’ SKT “보호 서비스 가입에도 피해 생기면 100% 책임” 
· "SKT 유심, 공짜로 교체하는 법" 검색했더니 '헉'…불법 사이트·스미싱까지 등장 

 


● 사회
· 납북자가족모임, 파주 임진각서 새벽 대북전단 살포 
· 검찰, 노태우 비자금 의혹 계좌추적…300억원 실체 드러날까 
· 의대협, 수업복귀 설문에 ‘모두 동의해달라’요구 

 

26일 글로벌 주요 ETF 동향

 

4/28(월) 주요 언론

  • (조선)
    - 1면 : “관세로 제조업 부흥? 트럼프 찍은 직원들 해고돼 집에 있다”
    - 1면 : 이재명, 87체제 이후 가장 강력한 대선 후보
    - 1면 : 북한판 이지스함, 핵미사일 탑재 가능... 김정은 “다음은 핵잠”
    - 사설 ① : 경로도, 피해도 불분명한 SKT 해킹이 남긴 불안감
    - 사설 ② : 이어도까지 시비 걸고 나오는 중국의 서해 공정
    - 사설 ③ : 이재명 세 번째 대선 도전을 바라보는 기대와 우려

  • (중앙)
    - 1면 : 이재명 경선 압승 “제1 과제는 국민통합”
    - 1면 : 교황 마지막 길, 노숙자·각국정상…40만이 배웅했다
    - 사설 ① : 통합·실용 앞세운 이재명 후보, 유권자 신뢰 확보가 관건
    - 사설 ② : 해킹 사고 늑장 대응 SKT…소비자 불편·불안 어떡할 건가

  • (동아)
    - 1면 : ‘89.77%’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에
    - 1면 : 교통사고 사망 주는데, 고령운전 사망 3년째 증가
    - 1면 : 트럼프 100일, 세계 채권시장 요동… 韓기업 돈줄 달러채 발행 한달간 ‘0’
    - 1면 : 묘비엔 이름만, 마지막 길도 ‘빈자들의 성자’
    - 사설 ① : 민주 대선후보 이재명 확정… ‘2등 없는 1등’이 넘어야 할 산
    - 사설 ② : 尹 파면 직후 도이치 재수사… 임기 내내 뭉개고 미루더니
    - 사설 ③ : 1년 새 신용불량 29% 폭증… 빚으로 연명하는 자영업의 ‘현실’

  • (경향)
    - 1면 : 이재명 “분열 반복할 시간 없다…국민통합 최우선”
    - 1면 : 교체 대상 2500만명인데 보유 물량 100만개…SKT, ‘유심 대란’ 우려
    - 1면 : 프란치스코의 ‘마지막 초대장’도 난민·수감자·노숙인 약자에게 향했다
    - 사설 ① : 이재명, 내란극복·국민통합·민생회복 큰 정치 제시하길
    - 사설 ② : 경선보다 ‘한덕수 단일화’에 혈안된 국민의힘 주자들
    - 사설 ③ : ‘이자 장사’로 떼돈 번 은행들, 기업·자영업자 지원 제대로 하라

  • (한겨레)
    - 1면 : 이재명, 89.77%로 대선후보 확정…“새 시대 서막 될 것”
    - 1면 : 한국 ‘신중론’ 미국 ‘보채기’ 통상협상…“시간에 쫓기면 망한다”
    - 1면 : SKT, 국민 절반 피해자 만들고도 ‘이용자 책임’ 따지나
    - 사설 ① : 관세협상 몰아치는 미국…우리 페이스 잃지 말아야
    - 사설 ② : 해킹 피해 당한 가입자가 ‘오픈런’까지 해야 하나
    - 사설 ③ : 민주당 대선후보 이재명, 확장과 통합으로 나아가길

  • (한국일보)
    - 1면 : 이재명 "압도적 정권 탈환으로 구시대 청산... 국민 대통합시대 열 것"
    - 1면 : '더 빠르고 더 위험해진' 트럼프 2기… 100일간 전 세계 혼란에 빠뜨려
    - 1면 : SKT "유심 무상 교체" 발표에 주말 대리점 앞 길게 늘어선 줄
    - 1면 : 경찰, 경호처서 '비화폰 서버' 받는다... 尹 판도라 상자 열리나
    - 사설 ① : 거듭되는 GTX 공약, 집값만 자극하고 선언에 그칠라
    - 사설 ② : '득표율 90%' 민주당 후보 이재명, 국민통합 과제 크다
    - 사설 ③ : 협상 테이블에 '환율' 올린 미국... 일본 전철 밟지 않도록

    ※ 4/28(월) 키워드 : 이재명·경선·승리 / SKT·유심·무책임 / 윤석열·수사·도이치·비화폰

 

mstr 세일러 비트코인 구매암시

 

<이번주 증시 주요 일정>

 

 

  • 월요일 - (미) RSA 컨퍼런스 (미 국제 정보보안 컨퍼런스)
                  (미) AACR (미국암연구학회)

  • 화요일 - (일) 일본 휴장일 (쇼와의 날)
                  (미)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미) JOLTs 구인,이직 보고서
                  (미) GDPnow
                  (미) 라마콘 (메타개발자컨퍼런스)
                  실적발표: 코카콜라,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GM, 시스코

  • 수요일 - (미) ADP 민간고용보고서
                  (미) PCE, 근원PCE
                  (미) 1분기 GDP 속보치
                  실적발표: 비자, 스타벅스, 캐터필러


  • 목요일 - (한,중) 휴장일 (근로자의 날)
                  (미) 제조업 PMI
                  (미) ISM제조업
                  (미)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한) 4월 수출입동향
                  (일) BOJ 금리결정
                  실적발표: MS, 메타, 퀄컴, 
                  일라이릴리, 마스터카드, 맥도날드, 
                  엑셀론, 도미니언에너지, 모더나

  • 금요일 - (중) 중국 휴장일 (근로자의 날)
                  (미) 고용보고서
                  실적발표: 애플, 아마존닷컴, 암젠, 
                  엑손모빌, 셰브론, 이튼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4...탐욕→중립

 

 

4/28(월) 지난밤 글로벌 뉴스

  • 1, 미국 증시는 금요일 상승 마감했고, 다우 지수는 0.05%, 나스닥 지수는 1.26%, S&P 500 지수는 0.74% 상승했습니다. 이번 주 다우지수는 2.48%, 나스닥은 6.73%, S&P 500은 4.59%의 누적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2, 연방 준비 은행은 반기 "금융 안정성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응답자의 73 %가 "글로벌 무역 위험"을 주요 관심사로 꼽았으며,이 비율은 작년 11 월 보고서의 두 배 이상에 달했으며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응답자의 절반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응답자의 절반도 '정책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작년 보고서에서 1위를 차지했던 미국 정부 부채의 지속 가능성은 3위에 만족해야 했습니다.


  • 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0일 관세 유예를 추가로 승인할 가능성이 낮으며 다양한 국가와 무역 협정을 체결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 4. 유럽의 주요 주가지수는 독일의 DAX 30 지수가 0.81%, 영국의 FTSE 100 지수가 0.09%, 프랑스의 CAC 40 지수가 0.45% 상승하는 등 전반적으로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 5, 국제 귀금속 선물은 대체로 하락 마감했으며, COMEX 금 선물은 온스당 3330.20달러로 0.55% 하락했고, COMEX 은 선물은 온스당 33.34달러로 1.43% 하락했습니다.


  • 6, WTI 6월물 원유 선물은 0.37% 상승한 배럴당 63.02달러, 브렌트유 6월물 원유 선물은 0.48% 상승한 배럴당 66.87달러로 마감했습니다.


  • 7, 최근 경제학자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2025 년 1.4 %, 2026 년 1.5 %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달 설문 조사에서 2 %와 1.9 %의 예측과 비교하여 예상됩니다. 현재 설문조사에 참여한 경제학자들의 평균 전망치는 향후 12개월 내 경기 침체 확률이 45%로 3월의 30%에서 상승했습니다.


  • 8, 트럼프 행정부는 유럽에 더 엄격한 AI 행동 강령을 포기하도록 압력을 가했습니다.


  • 9,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갑작스럽게 합법적 신분이 종료된 수천 명의 미국 유학생의 학생 비자 등록을 복원한다고 밝혔습니다.


  • 10, 최근 발표된 여러 새로운 여론조사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 정책에 대한 지지율이 올해 초보다 하락한 46%로 나타났다고 CNN이 보도했습니다.


  • 11, 미국 제약 산업 무역 협회가 의뢰한 보고서에 따르면 의약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의약품 비용이 연간 510억 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약품 관세가 완전히 전가되면 미국 의약품 가격은 12.9퍼센트까지 상승할 것입니다.


  • 12, 카자흐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금 채굴 회사인 솔리드코어의 CEO 비탈리 네시스는 금 가격이 12개월 이내에 2,500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