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로 배우는 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4월26일

by 머니 메이커(MoneyMaker) 2025. 4. 25.
반응형
2025년 4월26일
오늘의뉴스로
배우는세상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4월26일

 

 

 

(2025.04.26) U.S. Market 

 

  • DOW ▲ 40,113.50 (+0.1%)
  • S&P500 ▲ 5,525.21 (+0.7%)
  • NASDAQ ▲ 17,382.94 (+1.3%)
  • RUSS 2K ▼ 1,951.56 (-0.3%)
  • PHLX 반도체 ▲ 4,251.61 (+1.0%)

 

중국이 자국의 필요에 의해 스스로 일부 반도체 관세를 철회함에 따라 미국증시는 일제히 랠리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로 명명한 지난 4월 2일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증시 하락분을 대부분 만회했다.

 

매7 포함 섹터 + 헬스케어 섹터만 상승. 지수는 상승했으나 최근 상승세가 한풀 죽은 모습

 

 

  • 04/26 미 증시, 경기 불안 속 트럼프 발언 내용에 따라 변화 확대 후 상승 마감
  • 뉴욕증시, 주요 지수 일제히 상승 마감
  • 트럼프-시진핑 통화 불확실…시장은 그래도 "최악 지났다"
  • 나흘 내리 상승…테슬라 10%, 엔비디아 4% 폭등
  • 뉴욕증시, '최악은 지났다' 안도랠리…나스닥 1.26%↑
  •  ‘엔비디아’ 4.3% 상승…110달러선 회복, 모건스탠리 매출 전망 상향
  • 실적·무역협상 기대감 속 4일 연속 상승…테슬라, 9.8% 폭등
  • 미교통부 자율주행 면허 완화, 테슬라 9.8% 폭등
  • 中 반도체 관세 철회, 美증시 일제 상승…나스닥 1.26%↑
  • 트럼프 경제 고문 “연준 규제 완화, 은행 암호화폐 수용 문 열 것”
  • 트럼프는 교황 장례식 참석차 바티칸으로 향하는 에어포스원 기내 인터뷰에서 ‘중국이 뭔가를 내놓지 않으면 관세 인하는 없다’, ‘추가적인 관세 유예는 없다’ 등 강경한 발언으로 상승 무드의 시장에 찬물
  • mstr 마이클세일러, 미국 연준 의 규제 완화로 은행들도 비트코인 지원 가능,“이제 은행들도 자유롭게 #비트코인 을 지원할 수 있다”고 언급.
  • 스트라이브 CEO "게임스탑 내부 BTC 매입 규모 논의 중"
  • 블랙록 BTC ETF 자금 유입량 급증... BTC 공급량 3% 근접
  • 나스닥 상장 의료기술업체 셈러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 나스닥 티커: SMLR)이 25일(현지시간) 111 BTC를 추가 매입했다. 이는 약 1,000만 달러 규모로, 현재 해당 기업은 3,303 BTC(약 3.14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 금 하락. 비트코인 $95K 돌파
  • 비트코인 9.5만달러 터치, 알트코인 혼조세–관세 갈등 완화, 자금 유입 지속

 

반응형

 

  • 미 증시는 보합권 혼조세로 출발한 가운데 개별 대형 기업들의 힘으로 상승 전환. 
  • 여기에 미국의 중국산 특정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에 중국이 의료 장비, 특정 산업용 화학 물질 관세 면제 발표 등으로 관세 우려가 완화되자 상승 확대. 
  • 더불어 트럼프의 관세율 조정 시사도 긍정적. 
  • 그러나 트럼프가 중국과 관세 철회가 없을 것이라고 언급하자 상승 일부 반납하는 등 변동성 확대된 후 상승(다우 +0.05%, 나스닥 +1.26%, S&P500 +0.74%, 러셀2000 +0.00%,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30%)

 

  • 금요일 미국 증시는 기술주가 상승세를 이끌면서 추가 상승 마감함.
  • 긍정적인 실적과 중국과의 교역 갈등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의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임.
  • 빅테크와 인공지능 관련주는 강세를 보였으나 블루칩 종목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임.

  • -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은 Google Cloud관련 매출이 28% 상승했으며 AI투자가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발표한 후 주가가 상승함. 
  • 테슬라는 미국 정부가 자율주행 관련 규제를 완화할 것이라는 방침을 밝힌 후 9.8% 상승 마감함.

  • - 1분기 실적 발표가 본격화되면서 S&P500 기업 중 179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중 73%의 기업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함.
  • LSEG에 따르면 1분기 S&P500 기업들의 총 수익이 전년 대비 9.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 다음 주에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의 실적과 월간 고용보고서, 1분기 성장률과 PCE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예정되어 있음.  

 

공포지수 35

 

 

  • *변화요인: 트럼프의 발언, 대형주 Vs. 중소형주

  • 트럼프는 시진핑과 몇차례 통화를 했다고 했지만, 관세 이후에 통화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건 말하고 싶지 않다고 언급. 
  • 관세 이후 실제 통화했는지 여부는 여전히 부정확함. 
  • 더불어 일본과 무역협상 체결에 근접했으며 관세 계획은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 
  • 결국은 많은 거래들이 성사될 것이라고 주장. 
  • 영국 재무장관도 미국과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언급. 
  • 더불어 미국이 중국산 자동차 특정부품 면제에 이어 중국이 미국산 의료 장비와 특정 산업용 화학 물질에 대한 관세 면제 시행 하는 등 관세 완화 조짐도 유입

  • 물론, 중국 주미 대사관은 미국과 어떤 협상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해 트럼프 발언과 다른 모습. 
  • 이런 가운데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미국 관세 남용이 글로벌 경제 성장을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 
  • 더불어 중국은 내수를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준율 인하 및 정책 금리 인하 정책을 할 것이라고 발표. 
  • 결국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각국의 대응이 협상, 외면, 비관세 제재 등 여러 정책이 혼재되는 모습

  • 장중에는 트럼프가 "관세에 대해 합리적으로 책정하겠다"고 언급하며 관세율 수정 가능성을 시사. 
  • 더불어 시장이 관세 정책에 적응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주장. 
  • 그러나 트럼프가 곧 이어서 유예된 상호관세에 대한 추가적인 유예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 
  • 더불어 “중국이 우리에게 뭔가를 주지 않는 한 중국에 대한 관세를 낮추지 않을 것이다”, “중국을 개방하는 것은 큰 승리가 될 것이다” 라고 주장. 
  • 결국 트럼프는 전체적으로 관세율 전환을 시사했지만, 중국과의 마찰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등 불확실성은 여전

  • 한편,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타 종목군은 대부분 하락하는 차별화가 진행. 
  • 이는 소비자 심리지수 확정치가 50.8에서 52.2로 상향 조정했지만 전월 57.0보다는 둔화되는 등 4개월 연속 위축. 2022년 7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 소비자들이 무역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다가올 인플레이션 재상승 가능성을 우려하며 경제 상황에 대한 불안이 확대. 
  • 관련 불안은 재료가 있고, 수급의 쏠림이 집중된 개별 대형 기술주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종목군의 하락을 부추김. 
  • 그렇기 때문에 다가온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 월말, 월초 주요 경제지표, 그리고 주말에 있을 유럽에서의 트럼프와 각 국가 정상들과의 만남(교황성하 장례식) 후 발언 등이 중요

 

- 빅테크와 기술주 상승하며 3대 지수 + 러셀 2000 4 거래일 연속 상승

 

 

  • *특징 종목: 테슬라, 로보택시 기대 반영하며 큰 폭 상승

  • 테슬라(+9.80%)는 전일 미 정부가 자율주행차를 더 빨리 출시할 수 있도록 일부 규정을 완화하는 내용을 발표한 데 이어 오늘은 6월 로보택시 출시를 위해 300명 운전자를 통해 ‘프로젝트 로데오’를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큰 폭으로 상승. 여기에 인도 현지 런칭 준비를 임박을 앞두고 있다는 내용이 알려진 점도 우호적. 이는 2016년 이후 예약금을 환불하고 조만간 가격 확정되면 재접수 하겠다는 내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 
  • 리비안(+4.38%), 루시드(+2.04%)등도 강세. 
  • 퀀텀스케이프(-0.51%), 앨버말(-0.76%), 리튬아메리카(-2.03%)는 부진, 
  • GM(+0.49%), 포드(-0.20%)등은 소비 위축에 대한 불안에 부진. 

  • 엔비디아(+4.30%)는 모건스탠리가 추론 컴퓨팅 수요의 급격한 증가를 시사하며 장기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자 상승. 결국 전일 아마존의 케민 밀로가 데이터 센터 계획이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언급하는 등 자본 지출 축소는 없다고 발표 한 데 이어 알파벳의 실적 발표에서 자본지출 유지 언급도 우호적.  
  • 브로드컴(+2.21%), AMD(+2.30%), 마이크론(+3.05%)이 상승한 가운데 TSMC(+0.56%)는 관세 이슈를 반영하며 상승이 제한. 
  • 인텔(-6.70%)은 양호한 실적에도 다음 분기 매출 전망이 예상에 미치지 못했다는 소식에 큰 폭으로 하락. BOA가 강력한 경쟁사들로 인해 몇년안에 상황을 반전시키기 어렵다고 언급한 점도 부담.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03% 상승

  • 알파벳(+1.47%)은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발표 후 4% 넘게 상승하기도 했지만, 자본지출 증가로 인해 향후 감가상각비 확대 등으로 마진율이 부담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축소. 여기에 신 성장 동력인 웨이모와 테슬라의 로보택시의 경쟁이 본격화 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된 점도 상승 축소 요인. 
  • 이런 가운데 메타 플랫폼(+2.65%), 레딧(+5.21%), 핀터리스트(+1.20%)등 광고 수익 관련 기업들도 알파벳의 영향으로 상승. 
  • 아마존(+1.31%), MS(+1.17%)등 여타 대형 기술주도 실적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하며 상승. 
  • 애플(+0.44%)은 무역 분쟁으로 하락 출발 했지만, 인도에서 2026년 말까지 미국향 아이폰 생산을 할 것이라는 소식 등에 반등에 성공. 다만 여전히 무역 분쟁에 대한 불안에 상승 제한

  • 바이두(+1.39%)는 추론형 AI인 Ernie AI 모델을 업그레이드하고 가격을 인하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 진둥닷컴(-0.18%)은 메이투안과의 경쟁 심화로 수익에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소식에 전일에 이어 하락이 지속됐지만, 인민은행의 적극적인 내수 부양정책에 기대 보합권 등락. 
  • 알리바바(+0.83%), 핀둬둬(+0.72%)등도 상승 전환에 성공. 다만, 무역분쟁의 지속 등으로 제한적 상승에 그침. 
  • 온라인 부동산 회사인 KE 홀딩스(-3.08%)는 전일 상승에 따른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 
  • 최근 강세를 보여왔던 니오(-3.59%), 샤오펑(-3.46%), 리 오토(-1.43%)등 중국 전기차 업종은 차익 실현 매물 출회되며 하락. 대체로 중국 기업들은 되돌림이 유입되며 부진. 

  • 노보노디스크(-0.88%)는 싱가포르의 DBS 뱅크가 처방 데이터 부진으로 더 이상 성장주가 아니라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하자 하락. 여기에 Ozempic과 Wegovy에 대한 법적 다툼에서 법원이 복제약 판매 금지에서는 승리 했지만, 모든 조제 판매를 중단하지 않아 FDA가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도 부담.  
  • 경쟁 업체인 일라이릴리(+2.89%)는 이에 상승. 
  • 에브비(+3.15%)는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강력한 실적을 발표한 데 힘입어 상승. 
  • 머크(+3.63%)도 견고한 실적에 상승.  

  • 써밋 테라퓨틱스(-36.06%)는 파트너사인 Akesso가 머크의 키트루다와 경쟁할 항암제 개발 위해 중국의 승인 소식과 그에 따른 제프리스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 했지만 차익 실현 매물 등으로 큰 폭으로 하락. 
  • 노바벡스(-5.66%)는 장중에 코로나 19 백신에 대한 임상 시험을 완료(추가 임상)하라는 요청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행 못할 수 있다는 보도에 하락.  

  • 아이온큐(+1.80%)는 EPB와 2,200만 달러 규모의 협약을 체결해 미국 최초의 양자 컴퓨팅 및 네트웍 허브를 설립했다는 소식에 한 때 12% 급등하기도 했지만,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 전환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 
  • 라게티컴퓨팅(+0.75%), D-웨이브 퀀텀(+2.45%)등 여타 양자 컴퓨터 관련 기업들 또한 아이온큐를 따라 큰 폭으로 등락을 보이는 등 변동성 확대. 
  • 전일 큰 폭 상승했던 뉴스케일 파워(+0.60%), 오클로(-2.38%)등 원자력 관련 종목군은 매물 소화하며 소폭 상승하거나 하락. 
  • 이와 달리 GE버노바(+3.31%), 콘스텔레이션 에너지(+2.26%), 비스트라(+1.94%)등 전력망 관련 테마주는 구글의 데이터센터 관련 지출 유지 소식등에 엔비디아가 급등하자 동반 상승.

 

흐지부지 사라지는 증권사 추천 포트폴리오(MP)… KB 수익률은 ‘우뚝’

 

4월 26일 시황. 관세 우려 정점 통과, 빅테크 강세

  • 관세 우려 정점 통과, 실적 기대에 4일 연속 상승
  • 다만 업종별 차이가 나며 하락 섹터도 많았음
  • 미중 관세 관련 사안은 계속 오락가락하는 중
  • 일부 미국산 수입품 관세 면제에 외교부는 모른다고
  • 미국과 관세 관련 어떤 협상도 현재 없다고 발언
  • 트럼프는 타임지와의 인텨뷰에서 많은 발언을 쏟아냄
  • 우선 시진핑이 전화 걸어와 관세 이야기를 했다고
  • 향 후 3~4주 안에 무역 관련 많은 거래가 발표될 것
  • 1년 후 수입품에 20~50% 관세 부과한다면 완전한 승리
  • 미국이 큰 돈을 벌게 되는 것이라 승리가 되는 것이라고
  • 이 발언의 경우 관세 협상 의미를 약화시키는 측면
  • 그 외 금리가 올라 90일 관세 유예를 한 것은 아니었다고
  • 또 기자들에게 중국의 조치가 없다면 관세 철회 없다고

  • 그러나 분석가들은 관세 불확실성 정점 통과로 해석
  • 제이 햇필드. 중국과의 협상 공방있으나 정점 도달
  • 이 후 증시는 부정적 보다는 긍정적 가능성 높아
  • 파이퍼샌들러. 몇 달간 합의 거의 안 될 가능성 높아
  • 큰 경제 충격 없다면 트럼프는 관세 유지하려 할 것 

  • 빅테크가 강하게 오르며 지수 상승 견인
  • 테슬라, 교통부의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보도에 9.8%
  • 알파벳 호실적에 AI 자신감 더해지며 엔비디아도 상승 
  • 알파벳. 호실적, 배당금 상향. 700억달러 자사주 매입
  • JP모건. 알파벳 견고한 매출 주목. 180 → 195달러 상향
  • BoA도 AI 최대 수혜주라며 185 → 200달러로 상향
  • 다만 관세에  따른 영향 제기하며 상승폭은 축소
  • 모건스탠리. 엔비디아 AI수요 강해 낙관적 전망 유지
  • 관세 문제 불구 추론용 칩 공급 부족. GPU 수요는 증가

  • 4월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 52.2
  • 잠정치 50.8 보다 약간 높아짐. 다만 3월 대비 큰 폭 하락
  • 1년 기대인플레는 6.5%로 잠정치 6.7% 보다는 약간 하락
  • 그러나 여전히 1981년 이 후 가장 높은 수준

  • 소시에떼 제네럴. 최근 반등 숏커버링도 일부 일조
  • BoA. 달러나 미국 주식 랠리에 매도해야
  • 연준의 금리인하. 중국과 협정 체결. 소비지출 확인 필요

  • LSEG 기준 6주만에 미국 채권 펀드에 자금 유입. 2.6억달러
  • 최근 금리 상승 주춤. 관세 협상 기대로 침체 우려 약해져
  • 주식형펀드는 전주 $104.9억 유출에서 $13.5억 유출로 축소
  • 골드만삭스, 외국인 미국 주식 3월 이 후 600억달러 매도 추정
  • 유럽이 매도 주도,. 그 외 지역은 매수한 것으로 보임

  • MSCI한국지수 -0.25%, 야간선물 +0.30%

 

스위스 이사회 멤버인 루지우스 마이서 는 "달러와 유로가 약세를 보이는 다극적 질서로 세계가 전환됨에 따라 비트코인을 보유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말함

 

이번주 주간

  • - 미-중 무역 전쟁 긴장 완화 기대감에 3대 지수 + 러셀 2000 모두 5% 이상 큰 폭으로 반등
  • - 필수 소비재 섹터 제외 전 섹터 상승. 기술, 임의 소비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산업, 금융 섹터 5% 이상 상승
  • - 매7 전 종목 8% 이상 상승. 테슬라 $TSLA 25% 상승

 

이번주 주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