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2월17일
오늘의 뉴스로
배우는세상
이번주 미국 증시
- 17일(월) 미국: 대통령의 날 휴장
- FOMC 의사록 외엔 중요 일정 부재…
- 트럼프 지켜보며 관망할 듯대형지표 부재 속 '트럼프 입'에 주목
- 트럼프 "푸틴과 만남, 금방 이뤄질 수도"
- 비트코인 200만달러 시대 올까… 월가·중동 자금 폭발적 유입
- 비트코인 $97K 반납, 알트코인 하락세–불확실성에 힘빠진 시장
반응형
- 미국 증시는 이번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지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와 소매업체 월마트 및 컴퓨터 네트워킹 기업 아리스타 네트웍스의 실적 발표 외에는 주목할 만한 이벤트가 예정돼 있지 않다. 아리스타는 AI(인공지능) 수혜주 중의 하나다.
- 이번주에는 증시를 움직일만한 굵직한 일정이 없는 가운데 미국 증시가 랠리를 지속하며 사상최고가를 경신할지 관심이 쏠린다.
- 현재 S&P500지수는 0.2%만 더 오르면 사상최고가를 새로 쓰게 된다.
- 다우존스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사상최고가 대비 약 1% 낮은 상태이다.
- 지난주 미국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관세 정책을 쏟아내고 지난 1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웃돌았음에도 상승했다.
- 지난주 다우존스지수는 0.6%, S&P500지수는 1.5%, 나스닥지수는 2.6% 올랐다.
- 기술주 비중이 높은 지수일수록 더 많이 오른 것이다.
- 나스닥지수는 올들어 3.7% 올라 상승률이 4.7%인 다우존스지수와 4.0%인 S&P500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하지만 지난주 AI 수혜주를 중심으로 오름폭을 키웠다.
- 중국의 AI 스타트업인 딥시크 급부상에 대한 우려가 AI 시장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낙관론으로 바뀌면서 오는 26일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 지난주 CPI가 예상보다 뜨거웠음에도 미국 증시가 상승한 것도 CPI로 인한 인플레이션 충격에 증시가 하락하자 기술주를 중심으로 재빨리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덕이었다.
- 지난주에 발표된 지난 1월 생산자 물가지수(PPI)도 전문가 예상치를 웃돌았다.
- 하지만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영향을 주는 PPI의 일부 구성 요소가 예상보다 약하게 나오면서 오히려 증시에 안도감을 줬다.
- 이는 오는 28일 발표되는 지난 1월 PCE 물가지수가 증시 향방에 상당히 중요함을 의미한다.
-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의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검토해 국가별로 차등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음에도 증시가 크게 흔들리지 않았던 점도 눈에 띈다.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시행 날짜를 4월 이후로 늦추면서 협상의 여지를 뒀기 때문이었다.
-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실제 시행하려는 의도보다는 협상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더 명확해진다면 증시에 새로운 상승 촉매가 될 수 있다.
- 눈여겨 봐야할 것은 인플레이션 지표나 관세 정책에 대한 증시 반응에서 알 수 있듯 투자자들이 악재 속에서도 긍정적인 점을 찾아내 이왕이면 좋은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이다.
- 이는 투자자들이 그만큼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 다만 이번주에는 17일이 프레지던트 데이로 금융시장이 휴장해 거래일이 4일로 줄어드는 가운데 중요한 일정이 많지 않아 투자자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발표, 특히 관세 정책의 세부 진행 사항을 지켜보며 관망세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 오는 18일 장 마감 후에는 아리스타와 옥시덴탈 페트롤리엄이 실적을 공개하고 오는 20일 개장 전에는 월마트가 실적을 발표한다.
- 오는 19일에는 연준의 지난 1월 FOMC 의사록이 공개돼 인플레이션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판단과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한 생각을 좀더 상세히 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20일에 나오는 지난 1월 경기선행지수와 21일에 발표되는 2월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 지수 확정치도 주시할 만하다.
- 이외에 21일에 지난 1월 기존 주택 판매건수가 발표되는 등 이번주에는 주택지표가 줄줄이 발표된다.
[이번주 포인트]
- 이번 주 글로벌 금융 시장은 대형 경제 지표 부재 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관련 추가 발언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 주요국 시장에 강한 영향을 줄 대형 경제지표 발표는 없지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발표하는 미국 2월 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 정도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이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른다.
- 1월 예비치의 경우 전달 대비 제조업은 확장으로 전환했지만, 서비스업은 둔화하는 엇갈린 결과가 나왔다.
- 투자자는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큰 서비스업 둔화에 더 무게를 실었고, 시장에 충격이 가해졌다.
- 19일에는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가 예정돼 있다.
- 당시 FOMC는 만장일치로 연방기금금리(FFR)를 동결했다.
- 이번 의사록에서 새로운 정보가 나올 가능성은 작다.
- 이 밖에 미국 경제활동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의 간접 지표로도 여겨지는 월마트의 4분기 실적도 20일 발표된다.
2월 17일 시황. 관세, 인플레 지표 다음은 차별화 장세
- 주말 미 증시는 혼조 마감
- 부진한 소매 판매는 긍, 부정적 요인 모두 포함
- 수치 자체가 낮은 점은 물가, 금리에 소비 위축 암시
- 경기 둔화 우려에 GDP NOW도 큰 폭 하락
- 다만 과도하게 해석할 필요 없다는 분석도
- 폭설, 한파, 캘리포니아 산불 등 일시적 요인 여파
- 결과적으로 금리도 내려 증시에는 중립 이슈로 작용
- 관세 뉴스는 나와도 영향은 1~2일에 그치는 중
- 일단 당장 시행이 아니라 대부분 시한을 두는 모습
- 실제 관세 보다 다른 양보 얻기 위한 협상용
- 인도나 일본이 미국산 무기, 에너지 수입 늘린다고
- 이런식으로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대응을 할 듯
- BoA는 인플레 지표 높아 트럼프가 시행하기 어렵다고
- 물가 여파로 바이든에 이긴 것이라는 점 트럼프도 알 것
- 달러와 금리가 내린 점은 우리 증시에 긍정적 요인
- 다만 뚜렷하게 상승할만한 호재성 재료도 없음
- 그간 증시 상승은 호재 보다 악재 완화, 저평가에 오른 것
- 수급상 대형주, 외국인 현물 움직임이 중요한 시기
- 외국인의 선물 매수 여력은 현재 많지 않았다고 판단
- 대형주 강세. 외국인의 현물 매수가 필요
- 특히 삼성전자 같은 지수 견인력 있는 종목들
- 지난주 삼성전자는 거의 매일 호재성 뉴스 등장
- 최근 9일 중 하락은 하루 뿐. 이 흐름이 이어져야
- 자사주 매입도 일단 끝난 상태라 외국인 매수 유입 중요
- 금융투자, 외국인 선물 매수 여력 감안시 수급 중요한 시점
- 지수 제법 올랐지만 아직 가격 부담은 크지 않은 상태
- 종목별 장세 자체는 이어질 수있는 구간
- 최근 코스닥은 대형 업종들 순환이 이어짐
- 로봇, 제약,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한 번씩 움직임
- 제약과 이차전지는 연속성이나 전체 움직임은 아니었음
- 업종, 업종내 종목별 차이가 많이 나는 장세
- 증시 자금 동향 감안하면 비슷한 흐름 이어질 가능성
- 딥시크 이 후 기관 수급 이어진 종목
- 호실적 평가 불구 눌려있는 종목군 관심 지속
이번 주 암호화폐 시장 3가지 관전 포인트
- XRP 및 Solana 선물 상품 출시 가능성 (CME)
날짜: 2025년 2월 17일 ~ 22일
시간: KST 09:00 이후 (미국 시장 개장 시간 기준)
설명: CME에서 XRP와 Solana에 대한 선물 상품을 출시할 가능성 존재하므로 알트코인 변동성에 유의 - 미국 CPI 데이터 발표
날짜: 2025년 2월 18일
시간: KST 08:30 AM (미국 동부 시간 기준)
설명: 소비자 물가 지수(CPI) 발표로 인플레이션 변화가 암호화폐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FOMC 회의록 발표
날짜: 2025년 2월 19일
시간: KST 02:00 AM (미국 동부 시간 기준)
설명: 연준의 금리 및 경제 정책 방향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시장 기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뉴스로 배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19일 (0) | 2025.02.18 |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18일 (0) | 2025.02.17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16일 (1) | 2025.02.16 |
뉴스로배우는세상 2025년2월15일 (0) | 2025.02.15 |
2/14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 Bloomberg (0) | 2025.02.14 |
댓글